부처보도자료
보건복지부, 치의학 산업 육성 현장간담회 개최
- 등록일2019-02-22
- 조회수3020
-
발간일
2019-02-21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치의학 산업#치의학
- 첨부파일
보건복지부, 치의학 산업 육성 현장간담회 개최
- 치의학산업 육성정책 관련 학계·산업계 의견수렴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월 20일(수) 오후 3시, 치의학 산업 분야 학계 전문가와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장, 5개 치과의료기기 기업대표와 만나, 향후 정부가 치의학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에 대하여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간담회는 △국내 치의학산업 현황 및 전망에 대한 발표(발표:서울대조병훈교수), △치의학산업 육성정책 관련 건의사항 논의, △㈜스피덴트 연구소 및 생산시설 시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국내 치의학 산업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분야로, 국가 차원에서 적절히 지원하면 충분히 세계선두권으로 진입할 수 있는 분야이다.
2017년 기준 국내 의료기기 생산액 상위 10대 품목 중 3개*가 치과 의료기기이며,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중 3개**도 치과 의료기기이다.
* 생산액 상위 10대 품목 :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1위, 6,444억 원,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3위, 2,445억 원, (치과용임플란트시술기구) 7위, 1,145억 원
** 수출액 상위 10대 품목 : (치과용임플란트고정체) 4위, 1억4000만 $, (치과용전산화단층촬영엑스선장치) 8위, 7,600만 $, (치과용임플란트상부구조물) 10위, 6,300만 $
치과 임플란트와 치과용 CT(컴퓨터단층촬영)의 경우, 국산 브랜드(상표)가 국내시장 점유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또한 구강질환에 대한 의료수요 및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치의학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방법을 개발하여 국민 구강건강증진 및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7년 진료인원에 따른 상병 순위 : (치주질환) 2위, 1,518만 명, (치아우식) 6위, 587만 명
* ‘17년 치과 병의원 요양급여 비용 : 약 3조9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14% 증가
보건복지부 장재원 구강정책과장은 “정부의 치의학산업 육성추진에는 학계 및 산업계 현장의 의견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이번 간담회에서 제기된 학계와 산업계의 정책 건의사항을 정리, 의제화하여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치의학산업 육성 현장간담회 개요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