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정기총회 개최

  • 등록일2019-05-02
  • 조회수2794
  • 발간일
    2019-04-3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생물다양성기관
  • 첨부파일
    • hwp 190502 조간 (보도)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정기총회 개... (다운로드 6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정기총회 개최

- 전국 55개 생물다양성기관 워크숍, 추자도 일대 공동학술조사 결과 발표 -

 

 

□ 국립중앙과학관(관장직무대리 임승철)은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제23차 정기총회 및 워크숍을 5월 2일(목)에 경상북도 환경연수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정기총회에는 국립중앙과학관, 국립수목원 등 국·공립 기관 및 대학자연사박물관 등 55개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원의 기관장 및 간사 60여 명이 참석한다.

○ 회의는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회장인 임승철 단장(직무대리)이 주재하며, 22차 총회 결과 및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한국사무국(KBIF)** 운영 경과에 대한 보고를 시작으로, ‘19년도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운영 계획 및 부회장 선출, ‘20년도 DMZ 일원에 대한 공동학술조사 지역 선정, 신규가입기관(2개 기관) 승인 등 총 9건의 안건에 대해 심의·의결한다.

* GBIF(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2000년 OECD에서 승인 설립된 국제기구로, 현재 총 97개 국가 및 국제기구의 참여를 통해 약 13억 건의 전 세계 생물다양성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음. 한국은 2001년 정회원국으로 참여하고 과기정통부가 정부대표이며 한국사무국은 국립중앙과학관이 담당함.

** KBIF(Korean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의 한국사무국으로 국내 55개 생물다양성(자연사) 유관기관 협력망(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을 구축하여, 생물다양성 관련 실물 및 정보의 발굴과 관리, 활용 등의 사업을 운영함.

 

□ 총회에 이어서 진행되는 워크숍에서는 2018년에 추자도 일대에서 수행된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 공동학술조사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자도 일대의 생물다양성 분포 및 변화상‘ 이라는 주제로 조류, 곤충, 식물 등의 분류군에 대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 공동학술조사 연구결과 발표에 이어, 경상북도 환경연수원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는 시간을 갖는다.

 

□ 국가생물다양성기관연합은 생물다양성의 실물과 정보의 지속적인 발굴·확보, 체계적인 보존·관리 체계 구축 및 활용을 위해 ’07년 16개 기관으로 출범하였으며, ‘19년 4월 현재 총 55개 기관으로 확대·운영되고 있다.

○ 또한, 회원기관과 공동으로 독도 등 전국 10개 권역에 대한 장기적 모니터링을 통한 생물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공동학술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조사를 통한 연구결과는 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수목원이 공동으로 발행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지역 생물다양성 전문학술지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JAPB)*를 통해 게재되고 있다.

* JAPB: ’08년 「Journal of Korean Nature」로 창간되었고, ‘13년 JAPB로 명칭을 변경하여 국내 지역성을 탈피하고 온라인 논문투고시스템으로 전환 및 국제 논문 접수를 시작함. ’15년에 국제학술출판 색인 DB인 스코퍼스(SCOPUS)에 등재되었으며, ‘18년에 ESCI(Emerging Sources Citation Index) 학술지로 등재되어 현재 총 12권 1호(연4회 발행)까지 190여편의 논문이 발표되어 ScienceDirect(국제과학기술연구자료 제공 웹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 서비스되고 있음.

 

□ 한편, 공동학술조사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NARIS*(www.naris.go.kr) 및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포털(www.gbif.org)을 통해 전 세계에 서비스 하고 있다.

* NARIS: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Korean Natural History Research Information System)의 약어로, 국내 기 구축된 자료 및 과학관, 대학 등에 분산된 자연사 관련정보를 통합DB로 연계?구축하여 2004년 12월 31일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시작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