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2018년도 정부R&D 예산 총 19조 7,759억원 집행

  • 등록일2019-06-26
  • 조회수2870
  • 발간일
    2019-06-25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정부 R&D예산#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연구책임자 현황
  • 첨부파일
    • hwp 190626 조간 (보도) 2018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발표... (다운로드 7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pdf 190626 조간 (보도) 2018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 발표... (다운로드 64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18년도 정부R&D 예산 총 19조 7,759억원 집행
-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 집행액 전년대비 12.3% 증가 -
- 중소·중견기업, 지방, 여성 지원도 꾸준히 늘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 이하 ‘과기정통부’)는 6월 25일(화) 개최된 제1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에서 「201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결과(안)」을 보고했다.

 ○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은 2018년에 35개 부·처·청·위원회가 수행한 63,697개 과제(전년대비 3.9% 증가)에 대한 예산 집행 및 연구책임자 현황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이다.

□ 2018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집행규모를 보면, 총 집행액은 19조 7,759억원(전년 대비 2.0% 증가)으로 최근 5년간(’14~’18년) 연평균 2.9% 증가하였으며, 정부 총예산의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 5.1%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둔화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부처별로는 과기정통부 6.7조원(33.8%), 산업부 3.1조원(15.7%), 방사청 2.9조원(14.9%), 교육부 1.7조원(8.8%), 중기부 1.0조원(5.3%)으로 이상 5개 부처가 전체의 78.4%를 차지하여,
   - ’17년 상위 5개 부처 집행비중 80.3%에 비해서는 특정 부처에 대한 R&D집중도가 감소하였다(전년대비

   △1.9%감소).

 

 ○ 연구수행주체별 집행규모는 대학 4.7조원(23.6%), 중소·중견기업 4.3조원(21.5%),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3.7조원(18.9%), 부처 직할 출연(연) 3.7조원(18.7%), 경제인문사회계 출연(연) 0.6조원(2.8%), 대기업 0.4조원(2.1%), 국공립연구소 등 기타 2.5조원(12.7%)으로 집행되었으며,
  

    - 벤처·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 확대 등에 따라 중소·중견기업(’14년 3.0조원 →

     ’18년 4.3조)과 대학(’14년 4.1조원 → ’18년 4.6조)의 집행액은 꾸준히 증가한 반면 대기업의 집행액은 꾸준히

      감소 (’14년 0.7조원 → ’18년 0.4조원)하였다.
 

○ 지역별 집행규모는 지방(대전 제외) 7.5조원(37.8%), 수도권(서울·경기·인천) 6.5조원(33.2%), 대전 5.7조원(28.9%) 순으로

    - 지역 과학기술 혁신역량 제고와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등 추세에 따라 최근 5년간 지방 R&D 집행비중은

      꾸준히 증가(연평균 5.7% 증가)한 반면, 수도권 R&D 집행비중은 꾸준히 감소(연평균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자 주도로 자유롭게 주제나 범위를 설정하여 연구하는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은 집행액이 1.42조원으로

     전년대비 12.3%가 증가하였고, 과제 수는 1만 7,547개로 전년대비 6.5%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에 따라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지원사업의 투자를 ’17년 1.26조원에서 ’22년

      2.52조원으로 확대 예정
 

○ ’18년에는 정부R&D ‘과제지원유형’ 통계 지표가 신설되었으며,
   - 자유공모형이 6.1조원(30.7%), 품목지정형이 4.0조원(20.3%)으로 이상 상향식 과제가 10.1조원(51.0%)

     집행되었으  며, 하향식 과제는 9.7조원(49.0%)이 집행되었다.

 

□ 연구개발과제별로 보면, 과제 당 평균 연구비는 3.1억원이며(전년대비 △0.1억원 감소),

○ 연구비 구간별 과제 수로는 5천만원 미만이 22,598개(35.5%, 전년대비 1.7% 증가), 5천만원 이상∼2억원 미만이 25,815개(40.5%, 전년대비 10.6% 증가), 2억원 이상이 15,284개(24.0%, 전년대비 △2.7% 감소)으로,
   - 최근 3년간 추이를 보았을 때, 과제 당 평균 연구비는 감소(’16년 3.5억원 → ’18년 3.1억원)하고, 5천만원 미만

     소액과제의 수와 비중은 증가(’16년 14,380개(26.2%) → ’18년 22,598개(35.5%))한 것으로 나타났다.
 

○ ’18년 신규과제 수는 26,894개(전년 대비 △14.6% 감소), 계속과제 수는 36,803개(전년 대비 23.6% 증가)로서,
   - ’17년 신규과제 31,500개 중 20,103개(63.8%)가 다년도 과제로 진행되어 ’18년 계속과제 수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연구책임자별로 보면, 총 연구책임자 수는 43,254명(전년대비 6.7% 증가), 연구책임자 1인당 평균 연구비는 전년대비 △0.2억원 감소한 3.6억원(최근 5년간 △0.7억원 감소)으로 나타났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