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2017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2017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 발행일 2018-01-17
  •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담당자 김무웅 ( 042-879-8375 / moongkim@kribb.re.kr )
  • 조회수 130751
  • 키워드
    #BT 연구성과
  • 첨부파일

개요

 

2017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

 

가. 발간 개요

○ 본 정부 BT 연구성과 보도자료 모음집은 2017년 국내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된 보도자료 중 BT분야에 해당하는 주요 연구성과를 취합.정리하였습니다.

○ BT 관련 주요 연구성과를 계속적으로 취합.정리, 축적함으로써 연구자 등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활용하고 BT연구를 적극 홍보하기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나. 대상

○ 생명공학분야 R&D 성과의 주요 부처 및 유관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前 미래창조과학부), 보건복지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해양수산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등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유전되는 질 내 박테리아. 비만까지 영향준다 
2. 신경줄기세포의 분화 운명을 결정하는 신호네트워킹 규명 
3. 기후변화 위험요인에 대응하는 식물 신호전달 단백질 찾아 
4. 통증을 조절하는 뇌의 특정 단백질과 메커니즘 최초 발견 
5. 바다의 인삼, 돌기해삼 유전체 최초 해독 
6. 세포의 생존을 조절하는 단백질의 구조, 메커니즘 최초 규명 
7. 식물 뿌리 모방한 새로운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8. 연꽃잎 원리 응용하여 오염물질 센서 개발 
9. 나노입자 검출 예쁜꼬마선충 칩 개발 
10. 식약처, 신종 발기부전치료제 유사물질 규명 세계 최고 수준 
11. 무독성 살모넬라균에 의한 암 치료 강화기술 개발 
12. 조울증 일으키는 핵심 단백질의 작용 메커니즘 규명  
13. 여성 질 점막의 면역반응 비밀 풀렸다 
14. 브로콜리 성분, 뇌유래신경성장인자(BDNF) 발현 최초 규명 
15. 항생제내성균 생장 억제하는 신종 미생물 낙동강에서 발견 
16. KAIST·아주대학교, 공동연구로 단백질 변형기술을 이용한 동물모델 개발 
17. 뇌종양,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으로 정밀의료 실현에 다가서다 
18. 대식세포 생존·증식의 핵심 단백질 최초 발견 
19. 체액으로 작동하는 생체삽입형 전지 개발 
20. 스스로 선택·학습하는 초저전력 인공지능 시냅스 소자 최초 개발  
21. 염증성 질환용 펩타이드 치료제 개발 성공 
22. 금나노입자 통풍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 
23. 나노 옷 입고 혈액 안에서 오래 사는 줄기세포 개발 
24. 인간처럼 학습하고 판단하는 ‘뇌’를 닮은 전자회로 개발 
25. 만성 B형 간염이 잘 낫지 않는 원리 규명 
26. 소리, 혈압에서 체중까지... 인간피부를 능가하는 소프트 로봇피부‘성큼’ 
27. 프린터로 출력해 휴대폰으로 질병 진단 
28. 암세포만 찾아 없애는 생체친화적 암치료 기술 개발 
29. 바이오산업 이끄는 산업 대장균의 최신 유전체 정보 확보 
30. 암세포 전이 억제와 재발 치료에 대한 새로운 길 열려 
31. 바닷속 홍합, 혁신적인 의료접착제로 재탄생 
32. 난공불락의 라스 단백질 공략하는 항체 기술 찾았다  
33. 노화된 갑상선암 종양세포의 역할 최초 규명 
34. 해수부, 세계 최초로 바지락 유전체 해독 성공  
35. 대장균을 활용하여 플라스틱 원료(테레프탈산) 생합성 성공 
36. 세포가 물질을 이동시키는  새로운 경로와 구조 세계 최초 발견 
37. 최초 문어빨판 비밀 밝혀 물속에서 떼고 붙이는 패치 소재 개발 
38. 자연에서 얻은 암 치료 면역 보조제 개발 
39. 암세포 표적률 높인 광역학치료제 개발 성공 
40. 전이성 암 환자 면역세포 기능 회복시켜 치료 길 연다 
41. 실크 단백질로 광학 인공생체조직 최초 개발 
42. 언어학습 관련 뇌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속 유전자를 찾아내 
43. 정상체온에 맞춰 모양이 변하는 스마트 입자 개발 
44. 시냅스 조절하는 핵심단백질 구조 최초 규명 
45. 면역 미세환경 조절을 통한 악성 뇌종양 치료의 새로운 해법 제시 
46. 외상성 치매 인지기능 저하 기전 세계 최초 규명 
47. 체내 이식한 줄기세포, 장기간 추적 가능해진다 
48. 바닷속 해로운 중금속은 제거, 유용한 금속물질은 회수 
49. 세계 최초로 나노 일렉트로닉스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생체 내 세포 운명 전환 기술 개발 
50. 터치스크린 방식을 이용한 도박성 게임 동물 모델 세계 최초 개발 
51. 내성 강한 결핵, 결핵균 단백질에서 치료 해법 찾다 
52. 카드뮴, 납 노출 많을수록 청력손실 위험↑ 
53. 잦은 기상변화에 작물피해 막아줄 실마리 찾아 
54. 소리, 빛, 공기방울로 초소형 세포 제어 기술 개발 
55. 비정상 단백질 처리하는 새로운 경로 발견 
56. 韓 유전자가위 제공, 美 인간배아 유전자 변이 교정 성공 
57. 신약개발 위한 빅데이터 기반 가상인체 시스템 개발 
58. 세포 속에서 빛이 나오는 산화철 광열제 개발 
59. 간경화 환자의 간암 발병 신호경로 규명 
60. 세계최초 차세대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기술 개발 
61. 종이 기반 3차원 마이크로유체칩 개발 성공 
62. IT-BT 융합연구를 통한 간암 치료효과 제고 방법 발견 
63. 비만과 지방간 억제하는 새로운 신호경로 규명 
64. 나이트릴과 반응하는 생체모방물질 합성 성공 
65. 초음파로 역분화 줄기세포 유도 기술 최초 개발  
66. 만성 알레르기 일으키는 기억 T세포 기작 규명 
67. T세포 분화 조절하는 마이크로RNA의 역할 규명 
68. 파킨슨병 발병 원인 ‘뒤집혔다’
69. 두경부암 방사면역치료, 기존 면역치료 보다 치료효과 탁월
70. 아토피 피부염과 스트레스 상관관계 규명
71. 사막에서도 광합성 가능한 ‘인공 잎’개발
72. 생체근육형 고출력 경량의 인공근육 구동기 개발 
73. 손상된 DNA의 복구과정 규명 
74. 유방암 치료제 내성 원인 유전자 찾았다 
75. 미세플라스틱이 물벼룩의 생존을 위협한다
76. 혈액검사로 아밀로이드 PET 검사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신기술 개발
77. 손상된 DNA 복구 조절하는 단백질 규명 
78. 흡연은 대장도 병들게 한다 
79. 하이드로젤 기반 다중 유전자 증폭 기술 개발 
80. 골다공증 치료 물질 개발 및 회복과정 규명 
81. 카드뮴 노출 많을수록 보행속도 늦춰 
82. 이상기후에 대응한 단백질 품질제어 유전자 규명 
83. 모낭을 재생시키는 탈모치료 물질 개발 
84. 뼈, 관절 질환 억제하는 단백질 발굴 
85. 세균의 페놀산 해독효소 생산 조절과정 규명
86. DNA 기반 생체 친화적 무기물 복합체 합성 
87. 초음파를 이용한 빛의 생체조직 침투 깊이 증가 
88. 눈의 부분별 성장속도 조절 원리 규명
89. 대장암 발병 신호전달 동시 억제 물질 규명 
90. 혈당과 비만 동시 조절 단백질 규명 
91. 전기뱀장어를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 개발
92. 암줄기세포 분화 이용한 종양치료법 제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