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2018년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BioINwatch(BioIN + Issue + watch)를 통해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2018년 상반기 보고서가 생명공학 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에게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앞으로 보다 양질의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책자신청] 2018년도 상반기 BioInwatch Collection
(2018년 8월 9일(목) 오후 2시부터 선착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소외질병(Neglected Diseases) R&D 투자동향
2. 미국 NIH의 신진연구자 지원 정책, 차세대연구자이니셔티브(NGRI) 추진
3. 2017년 美 FDA 신약 승인 21년 만에 최고치
4. 2018년 제약 및 바이오분야 전망
5. 미국 FDA, 세계 최초 디지털 의약품 승인
6. 미 FDA, 유전자치료제 럭스터나(Luxturna) 최초 승인
7. 제36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8. 유전체 분석장비를 개발하는 주요 업체동향
9. 미국 NSF, 과학?공학 지표 2018 발표
10. 미 FDA, 재생의료 활성화를 위한 규제 재정비
11. 중국, 체세포핵치환 기법으로 원숭이 복제 성공
12. 유럽재판소, 유전자편집기술에 대한 규제 완화 시사
13. 유럽특허청, 브로드연구소의 CRISPR 특허권 취소
14. 구글 생명공학 자회사인 칼리코, 벌거숭이두더지쥐 통해 노화관련 연구결과 발표
15. 실험실(체외)에서 인간난자 배양 최초 성공
16. 트럼프 정부, 2019년 회계연도 예산안 제출
17. Nature에서 전망한 2018년 과학기술 트렌드
18. Science에서 전망한 2018년 과학기술 트렌드
19. MIT, 2018년 10대 혁신기술 선정
20. NIH, 체세포 유전자편집 프로그램 개시
21. 블록체인 기반의 DNA 정보 사고 파는 시대 예고
22. 의약품 유형별(합성, 바이오) 개발 특성
23. 고대 유전체(ancient genomics) 분석 급증
24. 일본 제4기 국가생물자원프로젝트(NBRP) 소개
25. 미국 FDA, 23andMe의 유방암 유전자 DTC 검사 승인
26. 미생물로 무독성?생분해성 페인트 개발 가능성 제시
27. 말기환자들의 개발 중 의약품(Experimental drugs) 접근 법안, 미국 하원 통과
28. 美 농무부, 유전자편집기술 적용한 식물육종 허용
29. 2000~2015년 글로벌 항생제 사용 현황
30. 새로운 단일세포 시퀀싱 기법으로 초기 유방암이 침윤성 유방암으로 진행되는 과정 규명
31. 미 NIH, 오피오이드(Opioid) 위기 종식을 위한 HEAL 이니셔티브 추진
32. 미 FDA, 혁신적인 기기 프로그램(Breakthrough Devices Program) 가이드라인 초안 발표
33. 바티칸에서 질환 치료를 위해 단합하다
34. 10년 후 일자리가 크게 증가할 바이오분야 유망직종
35. 10,000종의 미생물 표준균주(Type strain)의 고품질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 추진
36. 허브경제 트렌드 내에서 강력한 허브기업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바이오 분야
37. CRISPR-Cas9으로 유도된 유전적 흔적을 이용해 세포 유형과 기원을 추적하는 방법 개발
38. 美 FDA, 인공지능 기반 안 질환 진단기기 승인
39. 중국, 유전자편집 임상시험의 글로벌 선두주자
40. 미국, 100만명 건강정보를 수집하는 연구 착수
41. 인간게놈합성프로젝트(HGP-write), 바이러스 저항성 인간세포 합성으로 목표 재설정
42. 인공지능을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AI 스타트업들
43. 인공지능(AI)을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제약사들
44. 미국 NINDS(국립신경질환·뇌졸중연구소), 자금이 충분한 연구자에 대한 연구비 지원 제한 계획
45. 美 바이오메디컬 연구의 중심지, 보스턴(Boston)
46. 유럽연구위원회, 고위험 연구과제 지원으로 탁월한 과학적 발견을 촉진한 것으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