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중국의 바이오매스 현황

  • 등록일2008-04-02
  • 조회수975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중국의 바이오매스 현황

 
 
□ 개요
- 2007년 9월에 국무원은 2020년까지의 재생가능에너지의 개발·도입 촉진 등에 관한 전체전략인 ‘재생가능에너지 중장기 발전 비전’을 심의·채결하였음.
 
  - 동 비전에서는 클린 재생가능에너지의 이용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재생가능에너지의 소비량이 최종에너지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2010년까지 10%, 2020년까지 15%로 각각 인상하는 매우 높은 수치목표가 포함되어 있음. 그러나, 2006년 중국에서의 재생가능에너지가 에너지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의 6%정도에 불과, 2020년의 목표인 15%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수준을 2.5배로 끌어올릴 필요가 있음.
 
□ 대기업은 잇따라 바이오매스 개발에 진출
  - 풍력발전, 바이오매스, 태양열·태양광은 재생가능에너지의 주력으로 기대되고 있음. 반면, 현재 중국에서는 연료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매스 발전 등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매스 개발 붐이 일고 있음.
 
  - 중국의 석유 3대기업으로 불리는 중국석유(Petrol China), 중국석화(Siopec), 中海油(CNOOC)의 3사는 석유 메어지에 필적하는 규모의 성장을 올리며 현재 바이오디젤 개발에 주목하고 있음.
 
  - 중국석화는 하북성의 省都石家莊에서 바이오디젤의 파일로트 플랜트의 운전 프로젝트가 종료되어 가까운 장래 본격적인 상업 플랜드의 건설을 계획하고 있음.
 
 - 중국석유는 사천성 남충시에서 바이오디젤의 연구개발을 위한 거점을 설치, 조만간 파일로트 플랜트를 개시할 예정임.
 
  - 中海油도 동남아시아로부터 원료를 수입하여 해남성 동방시에서 연간 5만t에 달하는 바이오디젤의 정제 플랜트의 제1호기의 건설을 계획하고 있음.
 
□ 바이오매스사업 성공여부에 열쇠를 쥔 ‘能源(에너지)林’
  - 현재 중국정부는 ‘能源林’의 개발에 대해 재정자금에 의한 손실을 메우고, 지정지에 대한 보조금, 정부주도에 의한 모델사업 전개, 세수 면의 우대조치라는 4가기 지원책을 내세우고 있음.
 
  - 2006년 11월에 재정성,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국가임업국은 바이오매스의 개발에 관한 정부의 우대조치를 발표한 바 있음.
 
□ 바이오디젤의 향후의 과제
  - 향후 연료가격의 상승으로 바이오디젤사업이 큰 이익을 냈을 경우, 시장에서는 이익이 우선시되어 ‘能林源’재배의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또, 바이오디젤 생산 규모의 확대에 따라 원료가 되는 자트로파 등의 가격은 연료가격의 추이와 연동할 것으로 보임. 이로 인해 코스트 관리, 사업 리스크의 평가 등은 매우 복잡해지고 더 나아가 일반식량의 가격까지 연료가격과 연동할 가능성이 있음. 따라서 바이오디젤의 무계획적인 확대를 피하고, 적정한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정부의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 바이오디젤의 건전한 발전에는 안정적인 원료공급 확보와 함께 원료단위 당 바이오디젤의 수율 향상, 특히 대규모 상업 플랜드 수준에서의 수율 향상이 불가결할 것으로 보임.
 
<목차>
1. 대기업은 잇따라 바이오매스 개발에 진출
2. 바이오매스사업 성공여부에 열쇠를 쥔 ‘能源(에너지)林’
3. 바이오디젤의 향후의 과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