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일본의 바이오벤처 업계 현황과 전망

  • 등록일2009-03-03
  • 조회수1512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일본의 바이오벤처 업계 현황과 전망
 
 
□ 시장 개황
  - 일본 국내의 바이오벤처기업 총 수는 2008년 12월에 536개사로 집계되었음. 사업분야별로 보면 가장 많았던 분야가 창약분야(신약의 연구개발)로 총 기업 수 가운데 85개사(15.9%), 그 다음이 의료기기·장치·시스템분야에서 72개사(13.4%), 환경 관련 사업분야에서 47개사(8.8%)로 집계되었음.
 
- 일본에서는 2002년에 내각부가 제창한 「바이오테크놀로지 전략 대강」을 배경으로 하여 대학과 연구기관에서의 기술 이전 등을 통해 다수의 바이오벤처기업이 탄생하였음.
 
  - 그러나, 수익을 창출하기까지 막대한 시간과 자금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국내 경기의 악화로 투자가가 리스크 회피하는 추세임. 이 때문에 연구개발자금이 감소하여 현재 바이오벤처 업계에서는 기업의 도태·선별이 진행되고 있음.
 
  - 바이오벤처의 상장기업 수는 2008년 12월 현재 18개사였음. 2008년은 3사가 상장하였으나 평균 3개월의 간격으로 신규 상장이 있었던 예전 상황과는 달리 2008년 4월 이후 현재까지 새로운 신규 상장은 없는 것으로 보임. 이와 같이 시황의 악화의 영향으로 상장에 대한 기업방침의 변화가 눈에 띰.
 
□ 주목 동향
 ○ 현재의 사업환경에 관한 과제
  -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의 사업환경의 과제에 대한 설문 중 가장 많이 나온 응답은 ‘인재의 확충’이 50개사의 응답을 통해 나왔으며, 그 다음 과제로 46개사에서‘자금확보’가 과제라는 설문결과가 나왔음. 이 2항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또, 행정에 바라는 지원책·개선책에 대해서도 금융지원책의 정비·확충 또는 세제우대 등 자금과 직접 관련 있는 사항이 상위를 점하였음.
 
 ○ 주력 사업분야에 대한 장래성
  - 주력 사업분야의 장래성(2012년 시점)에 대해 급성장에서 하강까지의 5단계(급성장, 성장, 보합세, 축소, 하강)에서 평가를 구한 결과, 가장 많았던 것이 성장단계, 그 다음이 급성장단계로 전체의 80%에 해당하는 기업이 주력 사업분야의 장래성이 높음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타났음.
 
  - 또, 급성장이 예측되는 사업분야로는 창약분야(신약의 연구개발) 등을 들 수 있는 반면에 축소가 예측되는 사업분야는 체외진단용 의약품으로 나타났음.
 
□ 향후 전망
  - 다수의 바이오벤처기업들이 자금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일본 국내에서도 유럽의 대형 제약회사와 대형 제휴를 실현한 바이오벤처가 탄생하는 등 국내 외의 민간기업과 결합하여 성공한 사례들도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음.
 
  - 향후 바이오벤처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을 명확하게 책정하여 한정된 인재와 자금이라는 제약 속에서 기술개발의 선택과 집중을 실시하며 기반기술의 연구개발 등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보임. 이러한 높은 기술력과 사업계획을 보유한 바이오벤처기업이 업계를 견인하여 갈 것으로 보임.
 
<목차>
 
[조사 요강]
[조사 결과 요약]
[조사 결과 개요]
1. 시장 개황
2. 주목 동향
3. 향후 전망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