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국내 제약산업 총생산 9.25% 늘어나… 빠른 성장세 지속
- 등록일2009-06-23
- 조회수1418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9-06-22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청
- 원문링크
-
키워드
#제약산업#의약품산업#의약품
- 첨부파일
국내 제약산업 총생산 9.25% 늘어나… 빠른 성장세 지속
- 식약청, 2008년 의약품 생산실적 등 현황 발표 -
□ 2008년 국내 의약품산업의 총 생산규모는 약 13조 7,636억원으로,
전년 대비 9.2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약품 수입액은 40억 7천만달러, 수출액은 11억 4천만달러로 약 29억 3천만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전년 대비 9.2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약품 수입액은 40억 7천만달러, 수출액은 11억 4천만달러로 약 29억 3천만달러의 무역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 국내 의약품산업, 고령화사회 진입 및 수출 증대 등으로 지속적 성장세 견지
○ 22일(월)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윤여표)이 발표한 2008년 의약품 생산실적 등 현황에 따르면 국내 의약품의 총 생산액은 13조 7,636억원으로 전년 12조 6천억원에 비해 9.25% 성장세를 보였다.
- 이는 우리나라 제조업 GDP(국내총생산) 대비 5.3%, 전체 GDP 대비 1.3%에 해당하며, 국내 전체 보건산업* 생산액(2007) 중 14.3%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 이는 우리나라 제조업 GDP(국내총생산) 대비 5.3%, 전체 GDP 대비 1.3%에 해당하며, 국내 전체 보건산업* 생산액(2007) 중 14.3%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 붙임 1: 국내 의약품 시장 동향(총괄)
※ 국내 보건산업 : 의약품, 의료기기, 식품, 화장품, 의료서비스를 포함하며, 2007년 총 생산액 규모는 95조 6천억원으로 추산(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 국내 보건산업 : 의약품, 의료기기, 식품, 화장품, 의료서비스를 포함하며, 2007년 총 생산액 규모는 95조 6천억원으로 추산(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 2008년 생산 및 수입, 수출실적으로 계산한 국내 의약품 시장규모(생산+수입-수출)는 16조 9,971억원으로,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7,731억 달러)의 1.9%를 점유하고 있다. 국내 제약시장은 상대적으로 북미(40.3%), 유럽(32.0%), 일본(9.9%)에 비해 시장규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 출처 : IMS Health Market Prognosis, March 2009
※ 기준환율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2008년 연평균환율(1,103.36원)
※ 세계 의약품 시장규모 출처 : IMS Health Market Prognosis, March 2009
※ 기준환율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2008년 연평균환율(1,103.36원)
○ 또한 2004년부터 2008년까지의 의약품 전체생산 연평균성장률(CAGR)*은 9.32%로 전체 제조업 GDP 5.9%, 전체 GDP 5.5%에 비해 높다. 이는 최근 제약산업의 성장세가 견고하게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성장률)
- 이러한 국내 의약품산업의 높은 성장세는 국내 제약업계의 GMP* 등 품질관리 인프라 확대 등에 따른 수출 증대, 전반적인 소득수준의 향상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등에 따른 수요 증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 우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 CAGR(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성장률)
- 이러한 국내 의약품산업의 높은 성장세는 국내 제약업계의 GMP* 등 품질관리 인프라 확대 등에 따른 수출 증대, 전반적인 소득수준의 향상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등에 따른 수요 증대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 우수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 완제의약품 1위 베르나바이오텍코리아의 「퀸박셈주」, 박카스(디)액 추월
○ 2008년 총생산액 기준 상위 20개사 중 1위는 동아제약, 2위는 한미약품, 3위는 대웅제약, 4위는 한독약품이다. 이들 20개사가 2008년 전체 생산액중 48.8%를 점유하고 있어 대다수 제약업계의 내수시장 중심의 영세성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붙임 2 : 업체별 생산실적 상위 20개사 현황
※ 붙임 2 : 업체별 생산실적 상위 20개사 현황
○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순위로 보면 “베르나바이오텍코리아”의 「퀸박셈(Quinvaxem)주」가 전년도 1위인 박카스(디)액(1,290억)을 제치고 총생산액 약 1,637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퀸박셈주」는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B형 간염 및 뇌수막염을 유발하는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예방 백신이며 유니세프(Unicef, 국제연합 아동기금)를 통해 전량 해외로 수출되는 완제의약품으로, 2007년 4배, 2008년 2배 넘게 생산실적이 증가하였다.
※ 붙임 3 : 완제의약품 상위 10품목
※ 붙임 3 : 완제의약품 상위 10품목
□ 약효군별 1위는“항생제”, 혈압강하제 및 동맥경화용제도 큰 폭 증가
○ 약효군별로 살펴본 생산실적 순위는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항생물질제제), ‘해열·진통·소염제’, ‘혈압강하제’, ‘기타의 순환계용약’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혈압강하제는 전년대비 약 19%, 동맥경화용제는 46%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이는 고령화사회로의 진입 및 선진국형 성인병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붙임 4 : 연도별 주요 약효군 생산실적
※ 붙임 4 : 연도별 주요 약효군 생산실적
□ 의약품 무역적자 확대… 5년 전에 비해 2배 규모로 증가 추세
○ 무역수지 규모로 살펴본 의약품산업의 경우 의약품 수출액은 11억 4천만달러로 전년(10억 2천만달러)대비 11.8% 성장하였으나, 수입액은 40억 7천만달러로 무역적자가 29억 3천만달러에 달해 의약품분야 무역역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 의약품 수출도 지속적으로 증가(12.6%)하고 있으나, 수입 증가폭(16.0%)이 커 의약품분야 무역적자는 2004년 15억 4천만달러에 비해 5년 사이 2배 가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2007년까지는 다국적제약사의 영향으로 완제의약품 수입 증가(2004년 10억 4천만달러 → 2007년 21억 3천만달러)가 두드러졌던 것에 비해, 2008년에는 원료의약품 수입의 증가세가 (2007년 17억달러 → 2008년 19억 달러) 눈에 띈다.
※ 붙임 5 : 2008년 우리나라 의약품 수출입 현황
※ 붙임 6, 7 : 2008년도 국가별 수출입 실적
※ 붙임 8, 9 : 2008년도 완제의약품 수출입 상위 10개 품목
※ 붙임 6, 7 : 2008년도 국가별 수출입 실적
※ 붙임 8, 9 : 2008년도 완제의약품 수출입 상위 10개 품목
□ 국내 의약품 자급도 전반적으로 감소추세, 원료의약품 관리강화 필요
○ 2008년 국내 완제의약품의 자급도는 83.3%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86.9%)과 우리나라의 자급도가 높은 편에 속한다.
※ 자급도 = (생산-수출) / (생산-수출+수입)(%)
- 그러나 완제의약품 자급도의 경우 2004년에 비해 지속적인 감소추세에 있으며,
- 원료의약품 국내 자급도 역시 22.3%로 소폭 감소하여 원료의약품의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원료의약품의 경우 대부분 해외 공급선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석면탈크 사건의 교훈에서 보듯 향후 원료의약품의 수입통관 및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자급도 = (생산-수출) / (생산-수출+수입)(%)
- 그러나 완제의약품 자급도의 경우 2004년에 비해 지속적인 감소추세에 있으며,
- 원료의약품 국내 자급도 역시 22.3%로 소폭 감소하여 원료의약품의 수입 의존도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원료의약품의 경우 대부분 해외 공급선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석면탈크 사건의 교훈에서 보듯 향후 원료의약품의 수입통관 및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제약산업 성장전략의 키워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
○ 향후 제약업계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다국적 제약사와의 공동생산, 마케팅 등 전략적 제휴, 연구개발(R&D)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고부가가치 의약품의 생산 및 수출을 증대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 또한 고가의 수입의약품을 대체할 수 있는 신속한 제네릭의약품 출시등 무역역조를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 식약청 역시 우수의약품 제조기반(GMP)을 확대하고 기준 및 규격을 선진화, 국제화하는 등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향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식약청이 발표한 2008년 의약품 생산실적 현황은 식약청 홈페이지(http://www.kfda.go.kr) 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붙임 1]
국내 의약품 시장 동향 (총괄)
(단위: 억원, %)

자료: 한국제약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ECOS)
주1) 완제의약품: 마약, 한외마약, 향정신성의약품 포함
주2) 연평균성장률: (Ending Value/Beginning Value)^(1/#of years)-1
주1) 완제의약품: 마약, 한외마약, 향정신성의약품 포함
주2) 연평균성장률: (Ending Value/Beginning Value)^(1/#of years)-1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