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호남성의 중의약산업 발전 우위

  • 등록일2009-07-28
  • 조회수863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9-07-23
  • 출처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중의약산업#호남성#중의약산업 발전
호남성의 중의약산업 발전 우위
 
     
호남성 중의약산업의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호남 중의약산업 발전에 유리한 조건을 탐색하고, 호남 중의약산업의 발전을 제약하는 주요 요소를 연구해서 확실한 대응책을 제기해야 한다. 호남성의 중의약산업 발전우위는 다음과 같다.
 
1. 중의약자원 풍부
 
중국의 중남지역에 위치한 호남성은 약재재배 역사가 유구한데, 융회(隆回)의 백합, 자리(慈利)의 두충나무 등은 천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다. 호남성은 아열대기후를 위주로 하는 다양성 기후, 복잡한 지형, 다양한 토양유형으로 각종 생물의 번식에 양호한 자연조건을 제공하였으며, 특히 중약재 생장이 적합해서 중국의 중약재 주산지를 형성하였다.
 
관련 통계에 의하면, 전 성이 보유한 약재품종 수는 전국의 18.7%인 2,384종인데, 그중 식물약은 2,077종, 동물약은 256종, 광물약은 51종에 달하고, 약재의 총 보존량은 1,200여톤, 연간 생산량은 1만 7,000톤에 이르러 전국에서 상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국의 361종의 중점 중약재 품종 가운데 호남성은 241개 품종을 보유해 전체의 66.8%를 차지하였으며, 전국 2위를 기록하였다. 두충나무, 후박나무, 광귤, 백출, 파파야, 죽대, 인동덩굴, 백합, 복령, 연밥, 귀갑 등의 중약재는 품질이 좋고 시장경쟁력이 강해서 중국내외에서 유명하다. 그중 두충나무 재배면적은 74.6만무로 전국 재배면적의 20%를 차지하는데, 중국의 두충나무기지중의 하나에 속한다. 또 평강(平江)의 백출 생산량은 전국 2위, 광귤생산량은 전국 1위이며, 정현(靖?)의 부령은 국제시장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호남성은 전국 8개 중약재재배기지중의 하나로서, 그 재배면적이 410만무에 달한다.
 
2. 중의약 공업 기반 양호
 
개혁개방 30년 동안은 호남성의 중의약 산업이 급속히 발전한 기간이었다. 호남성의 중의약은 이미 과학연구, 생산, 판매, 서비스가 부대된 비교적 완벽한 산업시스템을 형성하고, 주목할 만한 성과를 취득하였으며, 호남성이 향후 새로운 비약적인 발전을 위해 튼튼한 기반을 조성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 호남성의 중의약산업은 비교적 빠르게 발전하였다. 2006년 전 성의 중약완제품 매출액 수익이 동기대비 22.8% 증가한 46억 9,900만 위엔을 기록하였다. 2007년 전 성의 중약완제품 공업생산액은 58억 6,000만 위엔, 중약음편은 11억 6,000만 위엔을 기록하였다. 2020년에 이르러 호남성의 중약산업 연간 매출액은 1,000억 위엔 이상, 연간 성장률은 20% 이상, 전성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몇 년 동안의 구조조정을 거쳐 각종 자원의 배치가 한층 더 최적화 되었으며, 호남성의 의약산업은 클러스터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국내외에서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호남중의약대학과 호남성 중의약연구원은 중약연구에 전문 종사하는 많은 연구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호남성의 중의약산업은 과학연구, 인재, 지리 등의 우위에 장사를 핵심으로 하고, 장사(?沙)-주주(株洲)-상담(湘潭)을 핵심지역으로 하며, 악양(岳?), 형양(衡?), 상덕(常德), 소양(邵?) 등을 확장지역으로 하고, 기타 지역에 파급영향을 미치는 중의약산업 발전구도를 형성하였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