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신성장동력] 산업분석

  • 등록일2009-09-02
  • 조회수6947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08-31
  • 출처
    주간조선[2070호]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성장동력#녹색기술#첨단융합#고부가서비스
[신성장동력] 산업분석
 
녹색기술 6, 첨단융합 6, 고부가서비스 5
3대 분야 16개 산업이 뛴다
 
 
MB정부의 신성장동력 정책은 2008년 2월 25일 이명박 대통령의 취임사에서 비롯됐다. 이 대통령은 취임식에서 “경제 살리기가 무엇보다 시급한 만큼 신성장동력을 확보하여 더 활기차게 성장하고 더 많은 일자리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서남표 KAIST 총장을 단장으로 한 신성장동력기획단이 꾸려졌다. 이 한시적 단체는 지식경제부가 신성장동력 발굴을 위해 구성한 민간 중심의 기획단으로 산·학·연 전문가 360여명의 활동을 통해 21개의 신성장동력을 발굴했으며, 이를 다시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회의 심의·선별을 거쳐 올 1월에 최종적으로 3대 분야 17개의 신성장동력이 확정, 발표됐다. 지경부 허남용 성장동력정책과장은 “신성장동력 선정 과정에는 시장 잠재력, 일자리 창출 가능성, 녹색성장 연관성 등 3가지 요소가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됐다”며 “정부는 미래산업의 비전 제시와 투자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은 자기 책임하에 투자를 확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한국이 아시아에서 혁신주도형 경제성장을 이끄는 리더가 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