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일본 기능성 소재 연구 동향
- 등록일2009-11-23
- 조회수694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09-11-21
-
출처
KIET 해외산업정보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 기능성식품
일본 기능성 소재 연구 동향
□ 개요
- 일본 후지경제는 건강식품이나 화장품, 의약품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기능성 소재 관련 시장을 조사해 보고서를 발간함.
- 이번 조사에서는 메타볼릭 신드롬 대응, 안티에이징 대응, 알러지 개선 등 QOL(생활의 질) 개선 분야별로 신기능을 조사해 기능성 소재인 과학적 근거 강화, 안전성 평가 등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함.
- 건강이나 미용 등의 니즈에 대응하는 소재나 성분의 개발은 자연 소재로부터의 탐사·추출, 바이오 기술의 활용에 의한 생성 효율화·안정화나 가공기술의 고도화에 의한 고기능화, 식재로서의 안전성 확보 등의 과제 해결을 거쳐 이루어지고 있음.
□ 메타볼릭 신드롬 대응 분야(4분야)
○ 콜레스테롤 조절(식품·건강식품)
- 이 시장은 2008년 172억 엔을 기록했으며, 2012년에는 198억 엔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주요 소재 및 성분에는 DHA, 키톡산, 식물성 스테롤, 대두단백질 등이며, 특히 주목을 받는 소재로는 장명초(쇠비름)가 있음. 오키나와 등에서 자생하는 다년초인 장명초는 동맥경화에 유효한 성분을 포함해 이미 상품화되고 있음.
- 향후 콜레스테롤 조절 대응 관련 기능성 연구가 진행되어 인지도가 높아지면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측됨.
○ 혈압 조절(식품·건강식품)
- 이 시장은 2008년 146억 엔을 기록했으며, 2012년에는 152억 엔으로 전망됨.
- 이 시장은 2008년 146억 엔을 기록했으며, 2012년에는 152억 엔으로 전망됨.
- 주요 소재 및 성분에는 GABA, 사덴펩티드, 락토트리펩티드, 공펩티드 등이 있지만, 특히 주목을 받는 성분은 올리브입 추출물, 사몬펩티드 등임. 이미 8종류의 펩티드가 특정보건용 식품 관여 성분이 됨.
- 현재 사몬펩티드가 들어간 청량음료가 고혈압에 적합한 특정보건용 식품에 신청되어 있어 인가를 받으면 인지도가 더욱 높아져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 체지방·내장지방 저감(식품·건강식품)
- 이 시장은 2008년 63억 엔을 기록했으며, 2012년에는 85억 엔을 기록할 전망임.
- 이 시장은 2008년 63억 엔을 기록했으며, 2012년에는 85억 엔을 기록할 전망임.
- 이 시장의 주요 소재 및 성분에는 아미노선, 우롱차 중합 폴리페놀, 커피콩 만노올리고당, 카테킨 등이 있으며, 향후 주목을 받는 소재 및 성분에는 카테킨류가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베타크립토키산틴, 안세린 등이 개발되고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