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일본 제네릭 의약품 시장 동향

  • 등록일2009-12-04
  • 조회수1233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09-12-03
  • 출처
    KIET 해외산업정보
  • 원문링크
  • 키워드
    #제네릭 의약품
  • 첨부파일

일본 제네릭 의약품 시장 동향

 

 

□ 시장 개요


- 2008년 일본 의료용 의약품 시장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6조6,500억 엔을 기록함. 이 가운데 제네릭 의약품 시장은 전년대비 8% 증가한 3,608억 엔을 기록함. 제네릭 의약품은 의료용 의약품 전체를 상회하는 페이스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으며, 그 구성비도 매년 상승하고 있음.

 

- 의료 행정에서는 2012년까지 의료용 의약품 전체에서 제네릭 의약품의 비율을 수량 베이스로 3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음. 이로 인해 처방양식이나 조제보수 변경 등 다양한 촉진정책이 실시되고 있는 것이 제네릭 의약품 시장의 확대로 연결되고 있음.

 

- 2009년부터 2회의 약가수재(약가 기준에 기재되는 것. 건강보험이 적용됨)가 본격적으로 개시되어 매년 5월과 11일에 많은 제네릭 의약품 발매가 기대됨.

 

- DPC(진단그룹 분류에 기초한 의료비의 포괄청구 제도) 도입 병원 증가도 제네릭 의약품 시장 확대에 기여하고 있음. DPC 도입 병원에서는 주사제 등 병원 내에서 사용되는 약제를 중심으로 제네릭 의약품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음.

 

- 앞으로도 행정에 의한 제네릭 의약품 보급 촉진정책이나 참가 기업의 적극적인 전개에 의해 의료용 의약품 시장이 약간씩 증가하는 가운데서도 제네릭 의약품 시장은 연 6-9% 성장률을 보이며 2011년에는 4,479억 엔, 구성비는 6.3%가 예측됨.

 
□ 주목 시장


○ 강압제
-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강압제는 의료용 의약품 시장의 약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큰 시장임.

 

- 2008년 34종의 제네릭 의약품이 발매되어 제네릭 의약품 보급을 촉진시킴. 발매 초부터 60억 엔의 실적을 올려 2009년에는 108억 엔이 전망됨.

 

- 고혈압은 대표적인 생활습관병이므로 치료환자, 잠재환자 모두 많아 앞으로도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자 수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강압제는 장기간에 걸쳐 복용하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약값을 낮출 수 있는 제네릭 의약품의 메리트는 큼. 2010년에는 2008년 대비 64.5% 시장 확대가 예측됨.

 

- 한편, 제네릭 의약품이 발매된 선발 의약품은 복용하기 쉬운 OD정으로 전환되는 등 방어정책을 펴고 있지만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음. 따라서 선발 의약품을 포함한 강압제 전체적으로는 보합세가 예상됨.

 

○ 항생물질
- 항생물질은 내성균 문제에 따른 적정 사용으로 인해 처방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어 시장은 축소되고 있음. 이런 가운데 2007년과 2009년에 제네릭 의약품이 발매됨으로써 제네릭 의약품 시장은 활성화되고 있음.

 

- 2008년 제네릭 의약품 시장은 전년대비 12.4% 증가했으며, 2009년에도 전년대비 11% 증가해 두 자릿수의 성장을 유지할 전망임.

 

- DPC 도입 병원에서는 주사제를 중심으로 제네릭 의약품으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어 제네릭 의약품은 매출을 늘려나가겠지만, 항생물질 전체적으로는 시장은 축소를 지속할 전망임.


○ 항암제
- 항암제는 선발 의약품에서 분자표적 치료제 발매가 이어지고 있고, 또한 환자 수도 증가하고 있어 시장은 확대를 지속하고 있음.

 

- 제네릭 의약품은 항암호르몬제, 대사길항제, 백금제제, 미소관저해제 등이 발매되고 있지만, 분자표적 치료제는 아직 발매되고 있지 않음.

 

- 제네릭 의약품 시장도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2009년에는 전립선암 치료제 발매를 시작으로 제네릭 의약품이 발매됨으로써 전년대비 37% 증가가 전망됨.

 

- 항암제는 신용도 문제로 인해 제네릭 의약품 사용이 경원시되기 쉬워 현재로서는 다른 약효 영역에 비해 제네릭 의약품의 구성비가 낮음. 그러나 항암제 약값이 높기 때문에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잠재 수요도 많아 제품이 많아지면 존재감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병원 처방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DPC 도입병원 증가도 시장 확대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임.

 

○ 당뇨병 치료제
- 당뇨병은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고 투명 기간도 장기화되고 있어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 제네릭 의약품 시장은 선발 의약품인 상위 브랜드의 제네릭 의약품이 중심이 되어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음. OD정이 발매됨으로써 2008년 제네릭 의약품 시장은 전년대비 36.8%로 크게 확대됨. 2009년에도 24.4% 증가가 전망됨. 또한, 참가 기업도 많아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외에 2009년에는 신제품이 발매되고 있어 향후 동향이 주목됨.

 

○ 체내 진단약
- 체내 진단약은 X선 조영제를 사용하는 X선 검사 수가 감소하고 선발 의약품에서 제네릭 의약품으로의 전환 등으로 시장 전체적으로 기세 감소가 지속되고 있음.

 

- 제네릭 의약품은 X선 조영제를 중심으로 발매되고 있으며, 입원비용에서 조영제의 약제 비율이 높기 때문에 DPC 도입 병원 수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확대되고 있음.

 

- X선 조영제의 제네릭 의약품이 실적을 올리고 있는 외에 2008년에는 MRI용 조영제 제네릭 의약품이 발매되어 새로운 수요 개척이 기대됨. 2008년 실적은 근소하지만 향후 확대가 예측됨.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