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사우디 의약품 시장 두드려 볼만

  • 등록일2010-04-15
  • 조회수954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사우디 의약품 시장 두드려 볼만

 

 

□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 시장 동향


2016년~2022년 사우디아라비아 의약품 시장 동향

(단위: 백만 USD, %)

1.PNG
주 : f는 전망치

자료원: Fitch Solution

 

ㅇ 다국적 제약회사의 유명 제품이 시장 선도

    - 현지 기업이 사우디 전체 의약품의 1/5 가량 생산 중이나 대부분 다국적 제약회사의 특허 의약품

 

ㅇ 비전 2030 계획에 따라 사우디 정부의 의료분야 적극 투자 및 의료 프로젝트 진행

    - King Fahad Medical City in Riyadh

    - King Abdullah Medical City in Makkah

    - King Khalid Medical City in the Eastern Region

    - King Faisal Medical City for serving the Southern Region

    - Prince Muhammad Bin Abdulaziz Bin Abdulrahman Al Saud Medical City

    - 사우디 국부펀드, 의료 인프라 투자 모색중, 수십억 달러 규모

    - Hassana 투자사, 영국 NMC Health와 제휴로 사우디 의료분야 16억 달러 투자

 

ㅇ 식습관 및 기후에 의한 생활 패턴 때문에 비만, 당뇨 등 비 전염성 질환 만연

    - 뜨거운 기후로 인한 높은 차량 이용률과 야외활동 부족

    - 단 것을 즐겨먹는 식습관 등

 

□ 의약품 부문별 발전 동향


ㅇ 특허 의약품(Patented Drug) 동향

    - 2017년 전체 의약품 시장의 54.5%, 처방약 시장의 61.9% 차지

    - 사우디의 전통적 식습관 및 운동 부족으로 비만, 당뇨 등의 만성질환환자 다수

    - 꾸준한 인구 증가, 유명 제약사 위주의 처방으로 특허 약품의 수요 꾸준

 

ㅇ 일반 의약품(Generic Drug) 동향

    - 신약 관련 까다로운 특허 등록 요건으로 향후 일반 의약품이 특허 의약품의 판매량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

    - 유명 제약사 의약품 선호 경향으로 글로벌 제약사와 로컬 제약사의 제휴로 유명 브랜드 상표 부착 일반 약품 출시 확대 전망

 

ㅇ 비 처방 의약품(Over The Counter Drug, OTC Drug) 동향

    - 처방 의약품 위주의 사우디 제약 제조시설 및 높은 시장 점유율로 비 처방 의약품의 시장 점유율은 계속 저조할 것으로 전망

    - 광고와 프로모션을 제한하는 정부의 엄격한 규제로 사우디 의약품 시장은 처방약이 주도할 것으로 예상

    - 현지 의약산업의 성장에 불구하고 미국 및 유럽 등 선진국의 까다로운 심사와 높은 허가 비용으로 사우디 현지 제약회사의 해외수출 난항

 

□ 진출장벽


ㅇ 모든 제약회사는 사우디 진출 전 반드시 사우디 보건부(Ministry of Health, MoH) 에 등록 필요

    - 등록은 6~18개월 소요되며 5년마다 갱신 필요

 

ㅇ 모든 식품, 의약품, 의료기기는 출시전 사우디 식약청(The Saudi Food and Drug Authority, SFDA)에 등록 필요

    - 수입품은 제품 등록에만 수년 소요

    - 미국 또는 영국 등 선진국에 이미 시판된 제품만 수입 가능

    - 선진국에 수출하는 제품과 동일한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제품만 수입 가능

    - 현지 생산업체나 합작회사는 약 3개월만에 등록 승인

    - GCC내 생산된 제품은 상대적으로 느슨한 규제 적용

 

ㅇ 사우디 식약청에 제품등록 완료 후 출시가격도 승인받아야 최종 판매 가능

    - 출시가격에 대한 엄격한 통제로 사우디 의약품 가격은 GCC 국가 중 가장 저렴

    - 출시 이후의 가격인상도 통제되거나 오히려 인하되기도 함.

 

ㅇ 걸프협력협의회(GCC) 규정에 따르면 회원국내 생산자는 등록 및 면허 취득 불필요

    - 지역 생산자들에게 사우디 시장진출, 특히 공공의약품 구매 입찰 시스템상 특혜로 작용

 

ㅇ 정부의 현지 생산자에 대한 전폭적 지원

    - 새로운 제약회사 설립 시 부동산 임대, 무이자 대출, 정부 보조금 지급

    - GCC 수출 시 5%의 관세 면제

 

  ㅇ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

    - 미국제약협회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사우디 진출 다국적 제약회사의 가장 큰 당면과제는 사우디 특허 시스템

    - 2013년 사우디 특허 연계 시스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제 효과는 미비

    - 2017년 5월 사우디 식약청은 특허기간이 유효한 의약품의 일반(제네릭) 약품 출시 승인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