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10년 4월 뉴잉글랜드 BT 산업동향

  • 등록일2010-05-04
  • 조회수695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0-05-01
  • 출처
    주 보스턴 총영사관
  • 원문링크
  • 키워드
    #뉴잉글랜드
  • 첨부파일

2010년 4월 뉴잉글랜드 BT 산업동향

 

 

 

1. MA주 경제 동향 ------------------------- 2

  가. MA주 고용 동향

  나. 테크놀로지 리더에 MA주 선정

 

2. BT 산업 동향 --------------------------- 3

  가. 의료보험개혁에 대한 주요 BT기업의 반응

  나. NE지역 벤처캐피탈 유치 호전

 

3. 그린에너지 개발 동향 --------------------- 4

  가. Cape Wind 프로젝트 동향

  나. 보스턴 풍력발전 프로젝트 제안

  다. Westfield 발전소 세제혜택 1억불 수혜

  라. MA주 소기업, 환경청 지원금 수혜

  마. MA주 태양광판 리베이트 신청 조기마감

  바. 가정 에너지효율화 리베이트 입법추진

 

4. 연구기관 동향 -------------------------- 6

  가. 기관 동향

  나. 연구 동향


5. 기업 동향 ----------------------------- 8

  가. BT 분야

  나. 그린에너지 분야

  다. 첨단공학 분야

 

 

 

1. MA주 경제 동향

 

가. MA주 고용 동향

 

○ Massachusetts Executive office of Labor and Workforce Development에 따르면 MA주의 10.3월 실업률이 9.3%로 3년만에 첫 감소를 기록

_ 동 수치는 전월과 달리 소매업, 기술, 금융 등 전분야에 걸쳐 고용이 증가한 결과이며 구직 포기자 다수가 고용시장에 재진입한 것을 감안해도 고무적인 성과임

_ 이는 뉴잉글랜드 지역의 여러 산업분야에서 광범위하게 경기회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4.14 보고한 연방준비은행(FRB)의 분기별 경기 설문조사인 Beige Book의 결론과 일관적

 

○ 전문가들은 미국의 테크놀로지 산업 고용 시장이 확연히 회복되고 있으며 특히 상대적으로 보스턴 지역의 회복이 빠르다고 분석 (하단 그림 참조)

_ 전문기술직 고용 웹사이트인 Dice.com에 따르면 09년 대비 미국 전체의 테크놀로지 분야 채용이 20% 증가한 반면, 보스턴 지역은 24% 증가

_ 시장조사 기업 Forrester Research사에 따르면 금년 테크놀로지 시장은 7.9% 축소했던 전년 대비 8.4% 성장, 5500억불에 이를 것으로 분석

_ 보스턴 지역의 대표적인 테크놀로지 기업인 EMC (Hopkinton 소재)사는 10.1분기 총 800여개의 신규 채용을 실시했으며, 캠브리지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테크놀로지 분야의 최대 기업인 Google사도 전세계적으로 동 분기 800여개의 신규 채용을 실시함에 따라 중소기업 및 관련 서비스 업계에도 고용 확대 효과가 기대됨


나. 테크놀로지 리더에 MA주 선정

 

○ Massachusetts Technology Collaborative가 실시한 비교 연구에서 MA주가 미국 내 타주 및 세계 기술선진국 대비 테크놀로지 분야에서 선두를 차지 

_ MTC는 반관반민 경제조사 기관으로 캘리포니아, 뉴욕, 미네소타 주 등 기술산업이 발달한 미국내 9개 주와 기술선진국을 비교하는 동 연구를 97년부터 매년 실시

_ 동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개발이 MA주의 경제 총생산의 7%를 차지하였으며 (일본, 한국이 4%대로 뒤따름) 인구 1만명 당 미국특허 수에서도 MA주는 5.4건으로 캘리포니아 (5.2건), 미네소타 (4.9건), 및 커네티컷(3.9건) 대비 월등 (국가로는 대만이 2.8건으로 뒤따름)


 

2. BT 산업 동향

 

가. 의료보험개혁에 대한 주요 BT기업의 반응

 

○ BT 산업단체인 MassBio 주최로 4.1 MA주의 양대 기업인 Biogen Idec사와 Genzyme사의 최고경영자들이 금번 의료보험개혁 통과에 대한 BT산업의 입장을 논의하였으며 이를 오바마 대통령 측에 전달할 예정

_ Biogen Idec의 James Mullen은 금번 개혁으로 미국 보건 산업이 가격규제를 통해 의료비를 통제하는 유럽 시스템에 근접할 것이며, 신약 개발 환경이 악화될 것이라고 평가

_ 반면, Genzyme사의 Henri Termeer는 의약품 특허권 보호 기간으로 12년 지정 및 BT 벤처기업의 치료법 개발 연구에 대한 세제 혜택 등 금번 오바마 정부의 개혁은 과거의 의료개혁 시도와 달리 미국 정부가 동 산업의 혁신에 대한 니즈(needs)를 이해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

 


나. NE지역 벤처캐피탈 유치 호전

 

○ MoneyTree 보고서에 따르면 10.1분기 미국 전체 벤처캐피탈 투자가 전분기 대비 감소한 것과 달리 NE지역은 총 9억 4900만불을 유치해 전분기 대비 8% 상승

_  Biotechnology (2억 5600만불)와 Medical devices and equipment
(1억 5580만불)의 두 BT 산업이 동 지역의 주요 벤처캐피탈 유입을 이끌었으며 청정에너지를 포함한 Industry/energy부문은 8000만불을 유치해 3위 기록

_ 동 지역의 벤처캐피탈 유치 건수는 전분기 총 108건보다 감소한 90건이었으며, 특히 Biotech 및 Medical devices의 양대 산업에 상위 10건의 투자 중 7건이 집중

_ 반면, 미국 전체 성과는 47억불로 전분기 대비 9% 감소하였으며 투자 건수도 18% 감소한 681건 유치하였으나 동 성과는 09.1분기 (635건에 34억불 유치) 대비 상승한 것임

 

 

3. 그린에너지 개발 동향

 

가. Cape Wind 프로젝트 동향

 

○ Cape Wind 풍력발전 프로젝트 개발자측은 4.1 Siemens Energy사로부터 풍력터빈 130기를 주문

_ 동 주문에 따라 Siemens사(독일 Siemens AG의 자회사)는 연안 풍력발전 사업을 위해 미국 내 지사를 10.6월 개설 예정

_ 동 주문의 규모는 1기당 500만불 내지 1000만불로 예상됨

 

○ 역사보존 자문위원회(Advisory Council on Historic Preservation)는 Cape Wind 프로젝트 추진에 반대하는 내용의 권고문을 4.3 미 내무부 Ken Salazar 장관 측에 제출

_ 자문위원회는 동 프로젝트가 아메리카 원주민 Wampanoag 부족이 신성시하는 지역을 포함 동 프로젝트 주변에 34개의 유적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결론

_ 동 프로젝트 지지자들은 Salazar 장관이 동 권고문에 반드시 동의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고려해 프로젝트 추진에 이상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

 

○ Salazar 장관이 4.28 동 풍력발전 프로젝트의 추진을 최종 허가함에 따라 9년간의 추진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미국 최초의 대형 연안 풍력발전이 현실화

_ 개발자 측은 금년 말까지 Cape Cod 연안 5마일 이내 풍력터빈 130기 설치 공사를 시작, 2012년에 완공 계획

_ MA주정부 및 그린에너지 전문가들은 동 결정을 환영하면서 10억불 규모의 동 프로젝트로 인해 1천개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하며 MA주가 미국 내 청정에너지를 선도할 것이라고 분석

_ 동 프로젝트를 반대하는 주요 이해집단인 Wampanoag 부족과 Nantucket만 보호협회(Alliance to Protect Nantucket Sound)는 각각 동 프로젝트 추진을 저지하게 위해 법적인 소송을 불사하겠다는 입장

 


나. 보스턴 풍력발전 프로젝트 제안

 

○ 보스턴시 환경 및 에너지 서비스국 (Offic eof Environmental and Energy Services)은 1.65MW 용량의 풍력터빈 건설을 4.22 제안

_ 동 제안에 따르면 Quincy 부근 Moon Island에 130m 높이의 풍력터빈을 설치, 보스턴시 및 Quincy시 소재 800여 가정에 전력을 공급할 계획

_ 또한, 보스턴시는 가정 및 소규모 사업장의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해 연방경기부양예산 280만불을 수혜했으며 이로 인해 73개의 고용창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


다. Westfield 발전소 세제혜택 1억불 수혜

 

○ MA주가 8개 기업에 대한 총 1억 5000만불 규모의 세제혜택을 부여한 가운데 이 중 Westfield 소재 발전소 건설을 추진중인 개발업체에 약 1억불 규모의 세제감면 혜택을 수혜할 예정

_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며 400 MW 규모의 발전용량으로 2013년에 가동될 예정인 동 발전소의 유치를 위해 Westfield시가 15년간 총 9950만불의 토지세 감면을 제공하였으며 주정부는 이에 매칭(matching)하여 32만불의 세제혜택 제공

_ 동 개발업체는 Cape Wind 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추진중인 Energy Management사의 자회사임

_ 동 발전소 건설로 인해 건설직 200명 및 정규직 16명이 창출될 것으로 분석


라. MA주 소기업, 환경청 지원금 수혜

 

○ 미 환경청(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Program의 일환으로 MA주 소규모 기업 4개사 이상이 선정, 지원금을 수혜할 예정

_ 동 프로그램은 공기 및 수질 개선 및 지구온난화 원인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총 240만불을 지원하며 Marlborough 소재 Aspen Products Group사는 상업용 주방에서 발생하는 온실기체 감축하는 필터 개발에 이 중 7만불 수혜

 

마. MA주 태양광판 리베이트 신청 조기마감

 

○ 상업용 태양광판 설치 프로젝트를 위한 MA주의 리베이트 프로그램인 Commonwealth Solar가 4.9일 개시 1시간 만에 조기 마감

_ 연방경기부양예산의 일부로 총 800만불이 배정된 동 프로그램은 2회에 걸쳐 (각각 400만불) 리베이트 신청을 접수했으며, 10.1월 1차 접수 결과 60여건의 프로젝트 또는 총 4MW 용량의 태양광판 설치 계획

_ 09.10월에도 신청자가 많아 6800만불이 배정된 유사 프로그램이 조기 마감


바. 가정 에너지효율화 리베이트 입법추진

 

○ Edward Markey 의원(Malden시)을 중심으로 미 하원의원들은 Home Star와 연계하여 에너지효율성이 높은 창문 및 단열재 등 가정의 에너지효율성 개선 프로젝트에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일명 “Cash for Caulkers" 프로그램의 입법을 추진할 계획

_ 동 법안 Home Star Energy Retrofit Act of 2010이 통과하면 17만개의 고용 창출과 향후 10년간 95억불의 에너지 절감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

_ 하원 에너지 및 환경 소위원회(House Energy and Environment Subcommittee)는 10.3월 프로그램 비용 상한선을 60억불로 정한 유사 법안을 통과한 바 있음


 

4. 연구 동향

 

가. 기관 동향

 

○ 보스턴대학 공공보건학과 Office of Public Health Practice는 MA주 보건부(Massachuset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로부터 3년에 걸친 지원금 127만불을 수혜

_ MA주는 10.1월 지자체에 보건관련 연수를 제공하는 지방보건기관(Local Public Health Institute)을 경영할 단체로 동 대학을 선정하였으며 동 지원금은 그에 따른 것임

 

○ 보스턴 아동병원과 하버드 의대는 Office of the National Coordinator for Health Inofrmation Technology (ONC)로부터 신개념 의료정보기술 인프라 연구개발에 1500만불 규모의 지원금을 공동 수혜

_ 동 프로젝트는 경기부양예산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Strategic Health IT Advanced Research Projects (SHARP)의 총 4개 프로젝트의 하나로 선정

_ 동 프로젝트의 목적은 SMArt (Substitutable Medical Applications, reusable technologies)으로 불리는 iPhone 형태의 통합 의료정보기술 플랫폼의 유효성을 조사, 검증 및 프로토타입 개발에 있음


나. 연구 동향

 

○ MA주 종합병원 Sreenath Sharma 박사팀은 약물 치료 및 기존 화학요법에 내성을 보이는 암세포의 메카니즘을 역이용하여 암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4.2일자 Cell지에 게재

_ 동 연구팀은 암세포 배양을 통해 일부 종양세포가 강한 약물 치료에 순간적인 내성을 나타내는 것은 특정 효소 (chromatin modifying enzyme)로 인해 유전형질의 변이가 유발됐기 때문임을 규명

_ 동 연구팀은 동 특정 효소에 대한 유발 억제제가 개발되지 않은 현재, 연관 효소 그룹을 억제함으로써 내성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내성 발현을 지연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 추가 임상실험을 실시 계획

 

○ MA주 종합병원 산하 Morgan Institute for Health Policy 연구팀은 전자의료시스템 도입만으로는 의료 서비스 향상과 의료비용 감소를 달성할 수 없다는 연구결과를 Health Affairs지 10.4월호에 게재

_ 동 연구는 American Hospital Association 참여 의료기관의 최고 운영진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기존의 2009 Hospital Quality Alliance 및 2006 Medicare Provider Analysis and Review File에서 추출한 의료기관 순위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이끌어 낸 것임

_ 동 연구는 전자의료기록 시스템 도입의 실효성을 최초로 연구한 것으로 전자의료시스템 도입 장려를 위해 배정된 300억불 규모의 연방 경기부양예산의 효율적 사용법을 모색

 

 

5. 기업 동향

 

가. BT 분야

 

1) Boston Scientific 사

 

○ Natick 소재 Boston Scientific사는 FDA가 제조공정의 변동사항을 승인함에 따라 4.16 심장제세동기 Cognis와 Teligen 모델에 대한 판매를 재개

_ 동사는 과거 공정변경 관련 보고누락이 문제되는 7개 모델을 3.15일 자발적으로 리콜조치하였으며 심장제세동기가 동사의 09년 매출 82억불의 15%를 차지함에 따라 전문가들은 동사에 4억 6900만불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

_ 동사는 06년 Guidant사를 270억불에 인수함에 따라 심장제세동기 사업부문에 진출했으나 안전성 관련 경고 및 리콜 등 일련의 문제 발생

 

○ 동사는 Guidant 관련 소송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배상금 2억 9600만불을 전제로 유죄를 인정(plead guilty)하였으나 St. Paul 지방법원 판사가 이를 거부, 새로운 형량거래(plea deal)를 교섭할 것을 4.27 명령하였으며 동사에 대한 사회봉사, 보호감찰 등 강경한 조치를 취할 것을 시사

_ 이에 따르면 동사 측은 02년 자회사 Guidant사가 심장제세동기 모델 2종의 안전성에 대해 FDA에 거짓 보고 및 보고 누락을 한 혐의를 인정

_ 동 소송은 09.11월 배상금 지급 판결, 10.2월 동사에 대한 형사 고발 조치로 이어짐

 

○ 한편, 동사는 Bladder Health Network (BHN)사와 공동판매 계약을 4.19 체결

_ 동 계약에 따라 동사는 BHN사의 요실금 테스트 기기를 동사의 Urology and Women's Health Division 사업부문 하에 4년간 미국 내 독점 판매유통

 

2) Genzyme 사

 

○ 캠브리지 소재 Genzyme사는 Allston 생산시설 오염문제 등 일련의 품질 문제 조치가 지연된 것과 관련 FDA로부터 최소 1억 7500만불의 벌금 부과가 예상된다고 4.21 발표

_ 동 벌금부과는 생산규율을 어김으로써 동사가 독점 생산하는 희귀병 의약품에 의존하는 환자의 건강에 해를 가했다는 FDA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며 동사는 10.6월까지 벌금 관련 협의를 마무리할 계획

_ 전문가들은 동사 생산 시설의 전기공급 이상으로 의약품 생산에 사용되는 초청정수 공급에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으며, 향후 수 개월간 Cerezyme 및 Fabrazyme 공급차질이 지속되어 수천명의 Gaucher병 및 Fabry병 환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3) Cubist Pharmaceuticals 사

 

○ Lexington 소재 Cubist사는 심장 수술시 출혈 감소를 위한 의약품 후보 CB-500,929 (ecallantide)에 대한 개발을 중단하기로 4.1 결정

_ 동사는 09.12월 동 의약품 후보의 임상에 참여한 환자 사망이 늘자 신규 환자 등록을 중단

_ 동사는 동 의약품의 화합물을 원천 발견하고 기술을 동사에 라이선싱한 Dyax사와의 협력도 중단할 예정

 

○ 동사는 급성설사 치료제 후보 CB-183,315에 대한 임상 2상이 시작되었다고 4.8 발표

_ 동 의약품 후보는 Clostridium difficile 연관 설사 (C. difficile-associated diarrhea, CDAD)로 알려진 치명적인 설사 치료를 위한 것으로 미국 전체 28곳에서 200여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실시 예정

 

4) Agios Pharmaceuticals 사

 

○ 캠브리지 소재 Agios Pharmaceuticals사는 4.15 뉴저지 소재 Celgene사와 글로벌 전략적 협력계약을 체결

_ 동 협력은 Agio사의 암 대사작용 개발 플랫폼을 바탕으로 종양 치료법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것

 

5) PerkinElmer 사

 

○ Waltham 소재 PerkinElmer사는 워싱턴 주 소재 Signature Genomic Laboratories사를 9000만불에 인수하기로 4.14 발표

_ 동 인수는 유전자 검사 사업부문을 확장하고 분자진단 시장에서의 동사의 조기 진단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것

 

6) AVEO Pharmaceuticals 사

 

○ 캠브리지 소재 AVEO Pharmaceuticals사는 Biogen Idec International GmbH사 (Biogen Idec사의 계열사)와 체결한 기술 라이선싱 협력의 일환으로 500만불의 마일스톤 지급금을 받았다고 4.14 발표

_ 양사는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AVEO사의 인간화 항체(humanized antibody) 후보 ErbB3에 대한 라이선싱 계약을 09.3월 체결

 

7) Thermo Fisher 사

 

○ Waltham 소재 연구기기 제조사 Thermo Fisher 사는 proteomics 분석 전문기업인 덴마크의 Proxeon A/S사를 인수하기로 4.15 발표

_ 동 인수로 Proxeon사는 Thermo Fisher사의 Analytical Technology 부문에 편성 예정

 

8) Javelin Pharmaceuticals 사

 

○ 캠브리지 소재 Javelin Pharmaceuticals사는 Hospira사(일리노이주 소재)가 더 나은 인수제의를 해옴에 따라 09.12월 체결한 Myriad Pharmaceuticals사와의 피인수 계약을 파기하기로 4.19 결정

 

9) Dyax 사

 

○ 캠브리지 소재 Dyax사는 동사의 혈우병 치료제 판매 로얄티 행사권한을 사모투자전문회사 Paul Capital Healthcare에 4.20 매각

_ 동 혈우병 치료제는 Pfizer사가 동사로부터 기술을 라이선싱하여 개발한 Xyntha이며 Pual Capital사는 동사에 선금 1000만불과 향후 마일스톤 지불 예정

 

10) Charles River Labs 사

 

○ Wilmington 소재 Charles River Labs사는 중국 제약기업 WuXi AppTec사를 16억불에 인수하기로 4.26 발표

_ 동사는 아웃소싱 형태로 동물 실험 및 신약 개발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08년 상하이에 독물학(toxicology) 및 의약품 테스팅 센터 개소

_ 동사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는 WuXi사는 08년 미네소타 주 소재 AppTec Laboratory Services사를 1억 6000만불에 인수

_ 전문가들은 최근 제약, 의료기기 및 진단 시장이 회복됨에 따라 제약 관련 연구 아웃소싱이 증가할 것을 대비해 동 인수 결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


나. 그린에너지 분야

 

1) American Superconductor 사

 

○ Devens 소재 American Superconductor(AMSC)사는 호주의 Vestas Australian Wind Technology사로부터 대형 전력망 상호연결 시스템 주문을 4.1 유치

_ D-VAR 기반 시스템에 대한 동 주문은 동사의 전력망 상호연결 시스템 주문으로 최대규모

 

○ 동사는 4.6 인도 기업 Ghodawat Energy사로부터 2000만불 규모의 풍력터빈 전기제어 시스템 주문을 유치

 

○ 또한, 동사는 4.21 현대중공업(Hyundai Heavy Industries)으로부터 풍력터빈 파워 전기부품 30기 주문을 유치

_ 현대중공업은 한국 뿐 아니라 미국 및 파키스탄에서 풍력발전소 건설을 수주하는 등 풍력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장하고 있음

 

2) Satcon Technology 사

 

○ 보스턴 소재 Satcon Technology사는 중국의 최대 태양광발전 기업인 GCL Solar사로부터 태양광인버터 (solar PV inverter) 주문을 4.7 유치

_ 동 주문은 09년 동사가 GCL사와 파트너쉽을 체결한 이래 2번 째 유치

 

3) National Grid 사

 

○ National Grid사는 미 에너지로부터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기술 훈련을 위한 지원금 220만불을 수혜할 예정

_ 동 지원금은 스마트그리드 기술에 배정된 연방 경기부양예산 1억불의 일환이며 동사는 MA주 및 NY주에서 추진 중인 440만불 규모의 스마트그리드 프로젝트를 위한 전기 기술자 2600명 내지 4900명의 훈련에 사용할 예정

 

4) FloDeign Wind Turbine 사

 

○ Wilbraham 소재의 FloDesign Wind Turbine사는 MA주정부로부터 300만불의 지원금 및 대출금을 약속받고 본사 및 공장을 타주로 이전하지 않기로 결정

_ 제트엔진 기술을 적용하여 고효율 풍력터빈을 생산하는 동사는 타주로부터 이전 권유를 받아왔으나 MA주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Waltham으로 본사를 이전하고 100여명을 신규 채용하겠다는 계획

 

5) EnerNOC 사

 

○ MA주가 주정부 건축물 및 시설물의 전력 관리 기업으로 보스턴 소재 EnerNOC사를 4.9 선정함에 따라 동사는 3년간 1천만불 규모의 계약 유치

_ 동 계약에 따라 동사는 주정부의 470여개 건물의 전력, 천연가스 및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고, 매년 2억불에 달하는 주정부의 에너지 비용 중 1 천만불을 절약할 것으로 기대

 

6) A123 Systems 사

 

○ Watertown 소재 A123 Systems사는 MA주정부로부터 상환면제가능 대출 (forgivable loan) 500만불을 4.22 유치

_ 주정부는 동사가 MA주민에 250여개의 고용기회를 창출하고 전력망에 연결하는 대형 배터리 생산활동을 확장한다는 조건하에 동 대출을 부여

 


다. 첨단공학 분야

 

1) Kopin 사

 

○ Taunton 소재 Kopin사는 Thermal Weapon Sight Bridge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미 육군으로부터 2700만불 규모의 접안경 (eyepieces) 주문을 4.7 유치

_ 동사는 전자광학 기술을 이용한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을 보유한 동사는 이에 따라 향후 2년간 접안경을 공급할 예정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