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일본의 바이오 테크놀로지 산업 동향 및 정책 발전
- 등록일2010-05-31
- 조회수621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0-05-31
-
출처
KIET 해외산업정보
- 원문링크
-
키워드
#일본바이오
일본의 바이오 테크놀로지 산업 동향 및 정책 발전
◆ 주요 내용
□ 머리말
- 미국 컨설팅업체 프로스트&설리반(F&S, Frost & Sullivan)의 자료에 따르면, 2003년 일본 바이오 테크놀로지 산업의 점유율은 아시아 시장에서 1위, 전세계 시장에서 2위를 차지하였음. 또 다른 제약산업 정책 연구조사 자료에 따르면, 일본 제약산업의 시장 규모는 1997년의 469억 달러에서 2007년에는 657억 달러로 늘어나 2,869억 달러의 미국의 뒤를 이었음.
- 2000년 이후, 일본의 미국 바이오 테크놀로지 관련 특허 총수는 이미 25,916건으로 전세계 2위를 차지하여 독일을 크게 따돌리고 미국의 뒤를 바짝 쫓고 있음. 일본바이오산업협회(JBA, Japan Bioindustry Association)의 2007년 자료에 따르면, 2006년 일본의 신흥 바이오 벤처기업 수는 1994년의 102개에서 586개로 증가.
- 전세계 금융 위기가 심각했던 2009년에도 일본 경제산업성(METI)은 185억 엔을 바이오 산업에 투자하여, 바이오매스 에너지, 전사연구, 유전자 제약, 줄기세포 연구 등의 관련 기술 연구를 지원.
□ 일본 바이오 산업 관련 정책의 변화
- 1981년, 일본 통상산업성(현 경제산업성)은 「차세대산업기반기술연구개발제도」를 통해 바이오 기술을 3대 중점 성장분야로 지정하고 장장 10년에 걸친 바이오 테크놀로지 기초 연구를 진행.
- 1997년 5월 “경제구조의 변혁과 창조를 위한 행동계획”을 시행하면서 바이오 테크놀로지를 15개 신성장 분야 중 하나로 정함. 1999년 1월 “바이오 테크놀로지 산업의 창조를 위한 기본방침” 마련, 7월 “바이오 테크놀로지 산업의 창조를 위한 기본 전략” 수립. 같은 해 12월 “밀레니엄 프로젝트” 초안 마련.
- 2009년 글로벌 금융 위기에도 불구하고 일본 경산성은 바이오산업정책의 지속적인 시행을 위해 185억 엔을 투자. 정책 주요 내용 : “건강 안심 이노베이션 프로그램”(128.9억 엔), “환경 안심 이노베이션 프로그램”(20.3억 엔) 및 “안전관리 수준 향상 및 바이오 테크놀로지에 대한 국민 인식 강화”(35.6억 엔) 등.
□ 일본 바이오 산업 개황 분석
- 각 연도별 일본 《바이오산업창조기초조사보고서(BIO産業創造基礎調査報告書)》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일본 바이오 산업의 출하총액은 1999-2003년 빠른 성장세를 보이다가 2003-2007년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며 심지어 소폭의 하락세가 나타나기도 하였음. 하지만 2001년 이후 일본 바이오 산업의 연간 출하액은 7조 엔 이상의 수준을 유지.
- 2007년 일본의 바이오 제품 연간 출하액은 7조 4,222억 엔으로, 이중 바이오 식품의 비중이 64.8%(4조 8,123억 엔)로 가장 컸으며 바이오 관련 의약품, 진단의약, 의료기기 등이 11.7%(8,693억 엔)로 그 뒤를 이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