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진단·치료·재활을 모두 집에서
- 등록일2010-06-24
- 조회수633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0-06-01
-
출처
중소기업진흥공단 테크타임즈
- 원문링크
-
키워드
#생활의료기기
진단·치료·재활을 모두 집에서
고령자가 있는 집이라면 집안에 서너 가지 생활의료기기가 있기 마련이다. 홈케어가 일반화되고 있는 현재,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생활의료기기 시장은 엄청난 가능성을 품고 있다. 간단한 치료와 진단은 물론이고 재활까지 돕는 의료기기에 반도체, 통신, 나노 등의 첨단 기술이 융합되면서 엄청난 부가가치가 창출되고 있다.
첨단기술 융합된 생활의료기기 시장 무궁무진
일본의 유명 편의점 업체인 로손은 매장 입구에 자동문을 설치하고 안마 의자를 들여놓았다.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일본 실버산업의 현재 모습이다. 일본에 이어 빠르게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실버의료기기 산업 전망도 장밋빛이다. 실버의료기기의 모태 산업인 전자의료기기 산업의 2007년 세계시장 규모는 172억 달러에 달했으며, 올해는 20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이다. 국내시장 규모는 2003년 2조3천억 원을 기록한 이후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실버의료기기는 반도체, 통신, 생명공학, 나노기술, 컴퓨터 산업이 성장기를 맞이한 2000년경에 태동되어 고령인구 비율이 14%가 되는 2015년부터 급속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에는 치료보다는 진단, 진단보다는 예방에 초점이 맞춰진 의료 서비스와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제품 중심에서 환자 중심으로 헬스 케어 트렌드가 변화됨에 따라 신개념의 실버의료기기 핵심기술이 앞으로도 계속해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생활의료기기의 개발은 경제적인 문제와도 직결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 5명 중 4명이 만성질환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은 장기 요양이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2002년 건강보험 지출 비중에서 노인인구가 20%를 초과했다. 노인인구 비중을 고려하면 과다한 지출이다. 따라서 예방과 진단 기능을 가진 의료기기의 개발은 노인인구의 의료비 부담을 덜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