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필리핀 바이오매스 시장진출전략

  • 등록일2010-07-15
  • 조회수1275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필리핀 바이오매스 시장진출전략
-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및 입법체계 완비 -
- 풍부한 원료 자원을 바탕으로 한 우리기업 참여 유망 -


□ 필리핀 신재생에너지 여건

  ㅇ 세계적인 저탄소 녹색성장 추세에 맞춰 필리핀도 만성적인 전력부족 해소를 위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과 기업의 활발한 투자가 이어지고 있음
  ㅇ7,107개 섬으로 이뤄져 있는 필리핀은 풍력, 수력, 지열, 태양에너지 등 클린 자원과 바이오 매스 자원이 풍부해 이를 바탕으로 동남아 최대 풍력 발전과 세계 2위의 지열발전량을 자랑하고 있음
  ㅇ 이를 반영하여 유럽, 북미, 일본 기업을 중심으로 풍력, 바이오 매스, 수력, 지열, 태양열 분야 투자계획이 발표되고 있고 World Bank와 ADB의 자금지원도 매우 많아지고 있음
  ㅇ 필리핀은 이러한 사업여건 변화를 수용, 아시아 최초로 바이오연료법(2007년), 신재생에너지법(2008)을 제정하여 운용하고 있음
  ㅇ 우리기업도 최근 에너지·자원기업, 종합상사 등이 주축이 되어 관심 및 투자가 점차 활기를 띠고 있으며 앞으로의 프로젝트 참여와 설비 및 기자재 수출 등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됨

□ 필리핀의 에너지정책 동향

   ㅇ 필리핀 에너지부(DOE, Department Of Energy)는 이러한 여건을 활용하기 위해 “필리핀 에너지 계획 2005-2014”을 수립하고 2014년 까지 에너지 자립률을 현재의 40% 수준에서 60%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ㅇ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화석연료 외에 신재생에너지(지열, 수력, 풍력, 태양열 등) 전력생산량을 확대가 긴요하다고 보고 현 수준(4,500MW)에서 100% 증가한 9.1GW 대로 높이겠다는 계획임
  ㅇ 필리핀은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바탕으로 '09년 8월 기준 UNFCCC에 등록된CDM 프로젝트 1,788건 가운데 필리핀은 총 39개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어 전체 프로젝트 수에서 중국, 인도, 브라질, 멕시코, 말레이시아에 이어 6위(2.2%)에 올라 있을 정도로 이들 분야에 대한 프로젝트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
  ㅇ 이러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프로젝트 활성화 지원을 위해 ‘07년 바이오연료법을, ‘08에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재생에너지법을 발효시켜 해당 분야의 산업육성과 국내외 투자유치에 노력하면서 외국기업과의 협력도 적극 권장해 오고 있음
  ㅇ 필리핀의 재생에너지 발전 잠재력은 200,000MW로 평가되고 있으며 에너지부(DOE), 환경자원부(DENR)는 물론 대통령까지 나서 재생에너지 분야에서의 국내외 투자가 유치를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ㅇ 필리핀의 재생에너지법이 규정하는 재생에너지는 바이오매스, 풍력, 수력, 지열, 조력, 하이브리드 발전 등이며, 바이오연료법(Biofuels Act)에서는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 등 바이오 연료에 대한 인센티브 등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음

□ 바이오매스 플랜트 및 프로젝트 현황

  ㅇ 현재 필리핀 내 가동중인 주요 바이오매스 플랜트로는 Quezon시 Barangay Payatas에 소재한 Controlled Disposal Facility Biogas Emission Reduction 프로젝트로 '09년 6월 30,680톤의 CERs을 획득한 바 있음. 이는Bangui 풍력발전소에 이어 필리핀내 2번째로UNFCCC에 의해 승인된 프로젝트로 유명하기도 함
  ㅇ 이외에도 다수 프로젝트가 진행중인데 주요한 것으로는 Talisay Bioenergy(30MW), Victorias Bioenergy(50MW), Basis City Bioenergy(25MW), Capiz Bioenergy(25MW), Lasuerte(5MW)의 쌀겨, Inter city(5MW)를 들 수 있음
  ㅇ 또한 필리핀 정부는 Iloilo시 Passi 지역에15MW급 Central Azucarera de San Antonio bagasse co-generation plant, San Manuel Isabela 지역에 1MW급 la suerte rice hull cogeneration plant 프로젝트를 발주하기도 하였으며 투자청( BOI)에 등록을 마친 5개 바이오매스 파이프라인이 운영되고 있음

□ 바이오매스 프로젝트 투자동향

  ㅇ 재생에너지법 시행이후 바이오매스 분야에서도 국내외 투자가들의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데 영국 Global Green Power사는 재생에너지법 발효와 함께 초기 투자로 Panay, Nueva Ecija, Pangasinan 등 3개 지역에 총15MW 규모의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건설코자 관련 장비, 서비스 입찰을 추진하고 있음
  ㅇ 동3개 바이오매스 발전소 투자비용은 1개당 4천만 달러 수준이며, 발전용량은 30MW이나 우선 절반 정도를 가동할 계획이며 4번째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Negros Island 지역에 2010년에 건설 예정임. 동 사는 매년 3∼4개의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필리핀 전역에 건설하여 총 12개의 바이오매스 발전소를 운영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음

□ 바이오매스 개발잠재력

  ㅇ 필리핀은 넓은 농경지와 유리한 기후조건, 풍부한 원료 작물, 축산업의 발달과 1억 명에 달하는     인구로 인해 바이오매스 프로젝트 개발 잠재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 받고 있어 풍력, 수력 및 지열과 함께 주요 관심분야로 등장하였음
  ㅇ 풍부한 바이오매스 원료를 바탕으로 한 에너지 생산 잠재력은 원유 250만 배럴에 해당하는 236MW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주요 구성비는 Bagasse (60-70% utilization), Coconut residues (40-50% utilization), Wood, Rice husk (10-20% utilization), Municipal solid waste 등임
  ㅇ 바이오매스 발전의 주원료는 목재, 목재폐기물, 코코넛 부산물(껍질, 잎), 쌀 부산물(쌀겨, 짚), 생활쓰레기 및 동물 배설물 등임
 
- 사탕수수 부산물 (Bagasse)
    사탕수수 부산물인 Bagasse는 바이오매스 원료로 가장 각광받는 것중 하나이며 필리핀 전역에는 39개의 설탕 제조공장이 일평균 4,600톤 정도의 사탕수수를 가공하고 있어 Bagasse 발생량이 상당함
    Bagasse 공급이 특별히 풍부한 곳은 regions III, IV, VI, and VII 지역이며, 총공급 잠재량은 235MMBFOE로 추정되고 있음

  - 쌀겨(Rice hull)
    쌀겨는 과거 가정 및 농업용 연료 또는 벼농사, 벽돌제조 등에 사용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폐기되어 자연 분해되곤 했음. 쌀겨를 활용한 전력생산 시도가 과거에도 있었지만 대부분 프로젝트가 연료 공급 불안전, 재정 부족으로 실현되지 못했음
    최근 쌀겨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기술이 개발되면서 보다 실용적 인 프로젝트들이 추진되고 있음. 원유가 인상에 더해 쌀겨의 폐기처리 비용이 대두되면서 쌀겨를 에너지 원료화 하는 방안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필리핀내 Regions II, III, IV, VI (Luzon 북동부, 중부, Visayas 북부, 민도로) 지역이 쌀 생산지역으로 쌀겨 열병합 프로젝트 후보지로 주목받고 있으며 1996년 조사에서 쌀겨 공급 잠재량은 2.3~2.5 MT로 평가된바 있음

  - 코코넛 부산물 (Coconut residues, husks, shells, fronds)
    과거에도 필리핀은 코코넛 껍질, husk, fronds를 가정, 산업용 연료로 사용했었고, 코코넛   껍질로 숯을 만들에 해외에 수출한 적도 있음
    필리핀내 코코넛 부산물의 에너지원으로서 잠재력은 20MW 정도로 평가되고 있고 1997년 조사에서 코코넛 껍질, husk 공급 잠재량은 각각 1.8, 4 MT로 추정된 바 있기도 함

  - 가축배설물 (Animal Wastes)
    가축배설물은 바이오가스(메탄가스) 연료로 활용되며, 이는 오염정화 효과도 뛰어나서 관련 기술 발전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
    필리핀의 바이오가스 생산은 주로 양돈 산업과 연계되 있으며, 양돈, 바이오가스 제조 산업 모두 CDM 분야 유망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음. 필리핀의 Biogas technology는 주로 양돈 분야에서의 활용이 활발한 반면, 양계, 축우 분야는 활용이 저조한 편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