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20년 중국 제약시장 전망과 이슈
- 등록일2011-01-26
- 조회수1453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1-01-26
-
출처
약사신문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제약시장#전망
2020년 중국 제약시장 전망과 이슈
거대한 잠재력 갖춘 신흥 제약시장
급변하는 중국시장 명확한 분석 필요
헬스케어 개혁 · CRO 호황 등 주목
글로벌 제약업계가 직면한 많은 도전들에 중국시장이 그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미 많은 대형 제약사들이 중국시장을 타깃으로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현재 글로벌 제약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중국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건보개혁에 따라 향후 더 큰 성장이 예상된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계속되는 비용 상승으로 전 세계 많은 제약사들의 관심이 저렴한 생산을 가능케 하는 중국으로 몰리고 있으며 그 결과 중국 제약산업 스스로도 눈부신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산업에서 중국은 현재 매출액(시장규모) 기준 4위에 랭크돼 있다. 그러나 IMS Health 등 여러 시장조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독일을 제치고 3위에 등극할 것이 유력하다. 여기에 10년~15년 후에는 현재 1위인 미국의 위치까지 위협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제약사 입장에서 중국은 말 그대로 파머징마켓(신흥제약시장)이다.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명확한 분석이 요구된다.
중국 제약시장 규모 급성장
작년 8월 16일은 중국 역사에 있어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날이다. 30년 연속 두 자릿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경제 대국에 등극했다.
그러나 이게 다가 아니다. 중국은 글로벌 경기위축 속에서도 지속적인 GDP(국내총생산) 성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 2009년 기준으로 아시아 1위 국가인 일본이 1%의 GDP 성장률을 보인 반면 중국은 11.9%의 경이적인 GDP 성장률을 기록했다. 여기에 몇몇 경제학자들은 20년 후 중국의 GDP가 미국의 두 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의 이 같은 놀라운 성장세는 많은 부문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향후 더욱 많은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제약 부문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만약 제약사의 향후 글로벌 전략에 중국시장의 중요성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 혹은 중국시장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는다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할 전망이다.
실제로 글로벌 제약산업에서 중국은 현재 매출액(시장규모) 기준 4위에 랭크돼 있다. 그러나 IMS Health 등 여러 시장조사기관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독일을 제치고 3위에 등극할 것이 유력하다.
또한 일부 시장조사기관들은 10년~15년 후에는 현재 1위인 미국의 위치까지 위협할 것이란 전망도 제기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