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생명산업의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1-02-16
- 조회수1786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생명산업의 현황 및 전망
목 차
I. 생명산업 개념 및 범위
II. 생명산업 규모 및 R&D
III. 바이오의약산업
IV. 바이오농식품산업
V. 바이오화학산업
VI. 부록(국내 생명공학산업 세부산업별 시장 규모, 부처별 BT 세부기술 R&D 투자 추이 등)
Ⅰ. 생명산업 개념 및 범위
1. 생명(생명공학)산업 정의
□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의 생명공학산업 정의 및 분류
○ 지식,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을 목저그로 생물 또는 무생물을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생물체 혹은 그 일부, 산물 및 그로부터의 모델에 과학과 기술을 적용하는 활동으로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의 기술'을 말함1)
○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는 산업자원부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 '생물기술, 산업제품의 표준화 기반구축' 상버의 제2세부 과제인 '생물산업/생물공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구축 및 생물산업 구조분석' 사업에서 이루어진 결과로, 향후 기술 발전을 감안한 정기적인 개정 작업이 이루어질 예정
○ 생명공학산업의 범위는 'A. 생명공학 이외의 방법으로 생산하지만 연구 개발 단계에서 주요기술로써 생명공학기술을 사용', B. 생명공학 기술을 제조, 생산과정에 직접 이용', C. 생명공학기술로 만들어진 원재료를 이용하지만 생명공학기술 이외의 방법으로 생산', 'D. 연구개발 단계나 생산과정 중 생명공학적 과정에 이용되는 기계, 장비나 공장 생산', 'E. 위 A, B, C, D의 제품을 구입하여 재판매 또는 계약에 의한 판매대행'을 포함
[그림 1] 생명공학기술 분류체계 구조도
○ 국내에서 생명산업(생명공학산업)은 대분류 항목 8개, 중분류 항목 52개로 구성
○ 대분류는 기존 국내 바이오산업 분류와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를 반영하여 분류
○ 중분류는 생명공학 기술이 이용되어 판매되는 재화나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해 제공하는 서비스의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대분류의 산업활동과 연계하여 분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2011년 Bioin 베스트 동향 선정 및 바이오인 만족도 조사로 인하여 해당 원문을 활용 중입니다. 관련출처 관계자께서는 양해부탁드리며, 설문조사기간 이후에는 해당출처에서 자료를 직접 확인 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