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국내 개발 제품 임상 비중 늘어

  • 등록일2011-02-18
  • 조회수12197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1-02-18
  • 출처
    KFDA
  • 원문링크
  • 키워드
    #바이오의약품#임상
  • 첨부파일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국내 개발 제품 임상 비중 늘어
- 2009년 25.4%에서 2010년 39.7%로 -

 

 

 

□ 지난해 국내 기업들의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이 세포치료제를 중심으로 활기를 띈 것으로 나타났다.

 

□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은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의 2010년 임상시험 승인건수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 바이오의약품의 임상시험 승인 건수는 2009년(67건)의 경우 국내 기업이 개발 중인 제품의 임상이 17건으로 25.4%를 차지하였으나, 2010년(73건)에는 국내 개발 제품의 임상 비중이 39.7%(29건)으로 증가하였다.


   - 이는 전체 임상 승인 사례 수의 증가율 9.0%(67건 → 73건)를 월등히 웃도는 것으로 증가율은 70.6%(17건 → 29건)에 달한다.

 

□ 특히 세포치료제의 경우 2009년의 6건에서 2010년 12건으로 2배 증가하여 국내 개발 제품의 임상 승인 건수의 대폭 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최근 미국 FDA에서 면역세포치료제인 “프로벤지”를 허가하는 등 매년 13%씩 성장하여 2015년에는 960억 달러의 규모가 예상 「세포치료제: 새로운 기술의 시작」, 2010 바이오경제연구센터 Report III, 한국바이오협회 (2010)되는 세포치료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국내 기업들의 그 간의 노력이 가시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 또한 단클론항체를 포함하는 유전자재조합의약품과 유전자치료제의 임상도 세포치료제에 비해서는 소폭이기는 하나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향후 국내 제품의 허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다만 백신을 포함한 전체 바이오의약품의 품목 허가에 있어서는 수입품목의 증가폭이 37.5%(16품목 → 22품목)인 반면 국내 제품은 20%(25품목 → 30품목)의 증가에 그쳐 아직까지는 국내 시장에 진입하려는 외국 제품이 더 많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 식약청은 그 동안 가이드라인 및 해설서 발간, 제품별 지속적인 사전 상담 등을 통해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 기업의 노력을 지원해 왔다며


 ○ 세포치료제의 지속적인 개발 증가와 함께 바이오시밀러, 바이오베터 등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국내 개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앞으로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