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동력, 농업
- 등록일2012-10-30
- 조회수862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2-10-24
-
출처
농촌진흥청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장품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동력, 농업
- 농산업의 블루오션, 프리미엄 화장품 -
요 약 :
① 피부보호, 종교의식, 계급표시에서 시작된 화장
남에게 아름다운 모습과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화장은 깨끗한 피부에서 시작되어 향기로 마무리 된다는 것이 정설이며, 이를 위해 겉모습이나 향기를 향상시키는데 쓰이는 물질을 화장품이라고 한다. 화장품은 바디, 두발, 기초, 색조, 향수의 다섯 가지로 분류한다.
② 자연주의 바람과 함께 진화하는 화장품 산업
피부미화, 청결 등을 위한 화장품이 이제는 자연주의 바람과 함께 노화예방과 질병 치유의 개념으로 확대되어 이용되고 있다. 지속가능성이라는 맥락에서 그린 뷰티(green beauty)를 표방한 제품생산과 마케팅을 통해 이익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화장품 업체들은 모두 안전성, 공통된 표준, 표시기준 등 규제화된 환경에 직면하고 있다.
③ 우리 화장품 산업의 경쟁력, 한방 화장품
한방화장품은 약사법에 규정한 전통 한의서 11종에 기재된 약재로 만든 화장품을 지칭하며, ‘10년 한방 화장품 산업은 전체 화장품 시장의 23.6%를 차지하며, 1조 3,642억 원 규모로 성장하였다. 한방 화장품의 무기는 비방(秘方)과 원료(原料)로, 이는 농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원료의 산지 직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며, 지자체 차원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속적인 소득원확보라는 측면에서 특산 화장품을 직접 개발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④ 농업에 대한 선입견을 깰 때 새로운 시장이 탄생
농업을 단순히 식량생산 중심의 산업으로 단정 짓는 선입견을 깨고, 공격적인 마인드로 식량생산, 식의약 소재 개발, 산업소재 개발 등으로 우리 농산업의 외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천년 이상 민족이 사용해온 차별화된 전통지식을 발전시킨 우리 전래의 처방을 응용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며, 전통지식의 상품화를 지원하는 원료의 인증, 감독기능의 일원화, 국산 농산물 사용기업의 인센티브 제공 등에 대한 정책에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의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