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바이오마커 시장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3-08-13
- 조회수1390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바이오마커 시장동향 및 전망
I. 바이오마커 정의 및 활용 분야
1. 바이오마커 정의
현대의학은 단순하게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건강수명의 연장을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미래의학은 치료의학 중심이 아니라,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예측의학(Predictive Medicine), 맞춤의학(Personalized Medicine)의 3P를 구현하는 것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그림 1>.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하여 조기발견, 조기 치료 등을 위한 수단으로서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마커는 정상이나 병적인 상태를 구분할 수 있거나 치료반응을 예측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표지자를 말한다. 미국 NIH의 biomarker definition working group은 1999년 “objectively measured and evaluated”를 바이오마커의 조건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바이오마커가 상태를 나타낼 뿐 아니라 변화된 상태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건강한 상태와 질환이 생길 때의 변화를 조기에 찾아낼 수 있는 질환 감별 표지자가 해당하며 급성심근경색증의 초기 표지자인 트로포닌 같은 바이오마커가 해당한다. 표지자가 해당하며 급성심근경색증의 초기 표지자인 트로포닌 같은 바이오마커가 해당한다. 급성심근경색증은 발생 후 얼마나 빨리 치료를 시작하느냐가 사망률과 직결되므로 초기의 임상증상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바이오마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와파린 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경우, 약물유전자에 따라 치료반응이 달라지는데, 이 약물유전자의 결과를 토대로 용량을 변경하거나 약물을교체하여 개인 맞춤형 치료를 하는데 이용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