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모바일 의료기기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4-09-16
- 조회수561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4-09-16
-
출처
한국연구재단 웹진
- 원문링크
-
키워드
#모바일 의료기기
모바일 의료기기 현황 및 전망선정 사유
최근 BT 기술과 IT 기술의 융합을 통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형태의 질병 예방 및 건강관리 기기 개발이 급속하게 부상하고 있다. 최근 미래부가 발표한 ‘바이오헬스 신시장 발굴을 위한 미래부 R&D 추진 방안’에 따르면 정부 차원에서도 생활 습관 및 질병자가 진단을 위한 건강관리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 출처 : 모바일 의료기기(KT경제경영연구소 보고서)/2014, 주목할 만한 해외 모바일 의학 기기·서비스’ 보도자료(ETnews)/
2014 등 자료 참조
개요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 확대와 성능 향상으로 IT와 BT가 융합된 ‘모바일 의학*’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의학 분야의 발전은 IT 기업의 헬스케어 시장진입을 촉진하였으며,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의료기기의 활용도와 편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왔다.
* 모바일 의학 :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이용해 질병을 진단하거나 이를 돕는 모바일 의료기기 등을 말함
특히 모바일 의학의 발전으로 상시 모니터링이 필요한 당뇨병,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자들은 과거와 다른 새로운 건강관리 행태를 경험하고 있다. 이미 널리 보급된 가정용 혈압기와 혈당측정기 등에는 모바일을 이용한 통신 기능이 접목되었고,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네트워크로 병원과 연결하는 서비스를 지원하며 보다 즉각적인 건강관리 환경의 구현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새로운 진료 형태를 구현한 모바일 의학 기기는 의료기기 시장의 고객층도 변화 시키고 있다. 즉, 의료기기의 전통적인 고객이던 의사, 병원 등에서부터 환자 등 일반 소비자까지 고객층이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BT 기술이 IT 기술과 접목되어 다양한 모바일 의료기기 형태로 진화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바이오센서의 소형화, 고집적화와 더불어 HTS(High-Throughput Screening) 및 바이오칩을 활용한 분자진단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모바일 장치에 탑재되어 질병 진단은 물론 유전자 정보도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진단 정보는 스마트폰의 앱과도 연동되어 개인건강정보의 저장 및 병원과의 연계를 통한 처방까지 가능한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