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혁신에 대한 투자: 실리콘밸리의 동학

  • 등록일2014-12-15
  • 조회수446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4-12-05
  • 출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원문링크
  • 첨부파일

실리콘밸리의 역동성은 기술적 돌파구와 이를 활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에의 전망에 좌우되어왔음. 특히 닷컴버블 이후의 점진적 회복은 초기 인터넷 시대의 약속이 기술의 발전으로 점차 실현되는 과정에서 가능하였음. 현재 실리콘밸리의 활력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컴퓨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부상에 대한 기대임. 저렴한 컴퓨팅 자원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 빅데이터, 고도의 알고리즘 및 이에 기반한 인지컴퓨팅(cognitive computing), 로봇 등이 결합하면 기업, 소비자를 모두 아우르는 새로운 플랫폼의 대두가 가능할 것이며 이미 실리콘밸리는 이러한 미래에 투자하고 있음. 또한 생명공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도 실리콘밸리의 주요 투자 영역이 될 것임. 실리콘밸리 생태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거대 M&A의 이면에는 컴퓨팅 분야 및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발전 속도가 가속화되고 거대 ICT 기업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유망 기술 보유 벤처가 자신의 지적 자산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벤처캐피탈도 이러한 기회를 최대한 활용 하려는 전략이 숨어 있음.


실리콘밸리의 역동성은 작은 혁신이라도 살릴 수 있는, 거대 벤처캐피탈을 보완하는 다양한 보완적 장치를 스스로 발전시키는 능력에도 기인함. 엑셀러레이터, 크라우드 펀딩, 크라우드 소싱 등이 대표적인 보완 아이디어의 예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거대 벤처캐피탈간의 중간 다리(bridge)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이러한 특성들이 결합하여, 인간의 육체적/지적 노력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가 실리콘밸리의 ‘문샷’ 투자를 이끌고 있음.


컴퓨팅의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대처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에 대한 미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우리도 과감한 문샷 프로젝트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본 리포트는 특히 인공지능, 이와 연계된 로봇 플랫폼, 생명공학/의료/헬스 기초기술 등을 문샷 영역으로 제안하고 있음. 이러한 정책은 최근 활기를 띠기 시작한 국내 벤처 생태계에 추가적인 동력 제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됨. 또한 국내 벤처캐피탈도 글로벌화 노력을 통하여 해외 벤처캐피탈과 국내외 재능에 대한 경쟁을 하여야 할 것임.

 

[목차]
1. 실리콘밸리의 위상과 실리콘밸리 벤처캐피탈의 특성
2. 기술 추세의 장기적 변동과 실리콘밸리
3. 미래 유망 기술과 실리콘밸리
4. 밴처 생태계에 대한 거대 인터넷기업의 영향력 증대와 벤처캐피탈
5. 정책시사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