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의료산업의 수급구조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등록일2015-01-08
- 조회수455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4-12-30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산업
- 첨부파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브리프 Vol.157에서 제공합니다.
[보건의료산업의 수급구조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보건의료산업의 수급구조
3. 경제적 파급효과
4. 요약 및 시사점
Ⅰ. 서론
1) 배경 및 필요성
⊙ 최근 보건의료산업은 새로운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의 원천으로서 미래 우리나라 경제를 견인할 신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음
- 고령화 시대의 도래, 소득수준의 증가 및 건강중심 트렌드의 확산 등 사회ㆍ경제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미래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수요를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됨
- 이러한 차원에서 현 정부도 국정과제 내 보건 및 고령친화산업의 육성을 포함1)시켜 경제부흥을 위한 보건의료산업 육성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 이와 같이 보건의료산업 육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은 물론이고 최근 몇 년간 양적ㆍ질적 측면에서 급속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건의료산업의 수급 및 투입ㆍ산출 등 산업 간 연관구조에 중점을 두고 2010-2012년도 산업연관표를 바탕으로 양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함
- 단, 취업/노동유발계수의 경우 자료의 한계로 인해 2010년도 기준 161부문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함
2) 보건의료산업의 정의 및 범위
⊙ 보건의료산업은 의료서비스산업, 제약 및 의료기기산업을 통칭하며, 범위가 넓고 서비스업과 제조업이 혼재되어 있다는 특징을 지님
⊙ 산업연관표 상에서 보건의료산업은 161부문 기준 의료 및 보건(154), 의약품(42), 의료 및 측정기기(90)로, 384부문 기준 의료 및 보건(365-367), 의약품(122), 의료용 기기(243)로 분류함
- 2010년 실측표 이후 384부문 산업연관표가 제공되지 않음에 따라 2010-2012년 시계열 관측을 위해 통합소분류(161부문)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분석의 세분화가 어려움
- 특히 의료 및 측정기기 부문에서 측정기기(측정 및 분석기, 자동조정 및 제어기기)가 통합되어 의료기기산업을 세밀하게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음
⊙ 한편 보건의료산업의 산업구조와 더불어 거시적 국가경제 측면에서 동 산업을 이해하고자 전산업을 총 5개 부문(1차 산업, 제조업, SOC, 서비스업 및 보건산업)으로 분류하여 부문 간 비교ㆍ분석을 수행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