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바이오기업 최근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5-05-08
  • 조회수11734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바이오기업 최근 동향 및 전망


● 선정사유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바이오산업은 수익성과 고용창출효과가 높아 IT를 이어받아 경제를 살릴 구원투수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맞춤·재생의료 기술 발달로 태동기 바이오산업인 줄기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융합의료기기 시장이 급성장 중이다. 또한 삼성, LG, SK 등 대기업에서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를 선정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대기업 진출 현황 >

2-3_1.png



● 국내 바이오 벤처 동향

산업통상자원부의 2013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보고서에 의하면 우리나라 바이오산업체는 총 971개사며, 이중 코스닥 상장 기업은 86개사다. 국내 바이오벤처는 국내·외 자본시장의 변화로 양적인 팽창이 가속화되어 왔다. 바이오 벤처와 더불어 LG생명과학, SK에너지 등 국내 대기업의 바이오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또한 국내 바이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세에 기여했다.

또한, 최근 바이오 기업은 매출·영업이익률의 증가로 코스닥 시장의 핵심으로 부상해 바이오 R&D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수익 전환기로 들어섰다. 국내 벤처업계 자료에 의하면 바이오·의료 분야 투자가 2014년 2,92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00.1%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ICT 제조업은 전년대비 33.9% 감소해 전반적인 위축 상황이다.

● 향후 시장 전망

바이오 의약품 분야는 항암 백신, 유전자치료제 등 표적 치료제 및 맞춤형 의약품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기술 융합을 통한 응용분야 확대로 웨어러블 기기, 비침습 진단기기 등 BT-IT-NT 융합형 진단·치료기기를 개발 중이다.

의료서비스 분야는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 패러다임을 변화해 헬스케어 등으로 영역을 넓혀갈 것으로 보인다. BT-ICT 융합기술을 활용한 건강관리, 조기진단, 맞춤의학 및 정밀의학 등에 대한 R&D 투자가 확대될 전망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