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 등록일2015-06-02
- 조회수40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5-28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 디바이스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5-5호-이슈1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지능형 가속기의 현황과 발전방향
SUMMARY
■ 목적
★새롭고 다양한 사용자 경험 및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처리해야 하는 정보량이 급격히 늘어가고 있음
★서비스 다양성, 시스템 복잡성, 능동적 정보처리 등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사항을 시스템의 크기, 복잡도, 소비전력의 증가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유망한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는 지능형 가속기 기술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해 조망해 보고자 함
■ 주요현황
★반도체기술의 발전과 딥-뉴럴(Deep Neural)과 같은 새로운 학습이론의 등장에 따라 2010년부터 뇌의 구조와 기능을 모방하는 형태의 프로세서가 IBM의 코어릿(Corlet)을 시작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2014년부터 퀄컴(Qualcomm)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차세대 Co-processor인 제로스(Zeroth)를 발표하고 인지컴퓨팅 플랫폼이 들어간 스냅드래곤 820 AP(Application Processor)를 양산함
★미국을 선두로 영국, 독일, 중국, 일본 등이 국가차원에서 뇌 모방형 프로세서 연구를 실시 또는 완료하였으며 모바일,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자동차, 무인비행기, 스마트공장, 운영체제,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 적용되고 있음
★가트너와 MIT의 미래기술 예측결과 뇌 모방형 하드웨어 기술을 중요한 미래기술로 정의하고 있으며 미래 컴퓨팅 주도권 확보를 위한 기반 기술로 예측하고 있음
■ 시사점 및 정책제안
★새로운 서비스 및 디바이스의 등장에 따라 기존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패러다임 기술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향후 활용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되는 뇌 모방형 반도체 핵심기술의 조기 확보가 필요하며, 원천기술 및 응용 반도체 개발을 위해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