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중국 의료시장 현황 및 시사점
- 등록일2015-06-08
- 조회수600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6-01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중국 의료시장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중국 의료시장 현황 및 시사점
- 중국 의료산업 떠오르는 블루오션으로 작용 -
- 의료분야 기기 및 서비스 분석 필요 -
□ 중국 의료시장 현황
○ 중국 의료·위생 비용의 GDP 대비 비중 추이
- 중국의 의료·위생부문 총 비용은 꾸준한 증가세에 있으며, 2013년도 기준 3조2000억 위안에 달하는 의료·위생 총비용의 GDP 대비 비중은 2009년 대비 81.7% 증가한 5.6%를 기록
- 의료·위생 총비용의 GDP 비중은 1991년 4.1%에서 2013년 5.6%로 WHO 권장 수준인 5%에 도달했고, 향후 2015년 5.7%, 2020년 6.2%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자료원: Chinaventure
○ 중국 의료 및 위생 기구 수량
구분 |
2014년 2월 |
2015년 2월 |
증감 |
공립병원 |
13,392 |
13,302 |
-90 |
민영병원 |
11,432 |
12,745 |
1,313 |
1차 의료위생기구 |
916,294 |
918,189 |
1,895 |
전문공공위생기구 |
30,530 |
35,076 |
4,546 |
기타 기구 |
3,178 |
3,275 |
97 |
합계 |
974,826 |
982,587 |
7,761 |
자료원: 중국국가위생 및 산아제한위원회
- 2015년 2월 말 기준, 중국 의료 및 보건 관련 기구 수는 98만3000개에 달하며, 그 중 병원은 2만6000개, 기초 의료 기구는 91만8000개, 전문 공공위생기구는 3만5000개, 기타 기구는 3000개를 보유
- 통계에 따르면 최근 공립병원은 다소 줄어든 반면, 민영병원은 약 12% 증가. 깨끗하고 고급스런 환경과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영병원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
○ 중국 의료시스템의 발전
- 중국은 개혁개방을 표명한 1978년부터 국가 의료위생 시스템 개혁을 진행 중이며, 2005년부터는 ‘복잡한 진료 절차, 비싼 진료비(看病難,看病貴)’ 문제 해결을 목표로 개혁을 추진 중
- 최근에는 중국 의료체제 개혁과 정보화 기술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국가 의료 시스템과 병원의 디지털화가 화두로 등장해 중국 각 지역 병원과 위생국 등에서 병원정보시스템(HIS), 지역위생정보플랫폼(EHS), 전자의료기록(ERP)과 같은 시스템 구축에 주력
- 2010년, 중국 위생부는 ERP를 활용한 전국의 100개 병원을 대상으로 전자 의료기록 관리시스템을 시범 실시했으나, 현재는 일부 병원에서만 실제 활용하고 있는 상황
- 또한, 각 병원 간 사용 소프트웨어가 다르고 네트워크가 연결돼 있지 않아 의료 기록 데이터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의료기록 데이터는 개별 병원 시스템에만 보관돼 있으며, 타 병원으로 기록 전달 필요시에는 해당 기록을 병원에서 프린트해 환자가 타 병원으로 가지고 가는 실정

□ M-health 시장
○ 중국 소비자의 모바일 의료 앱 기능에 대한 요구 설문 결과
요구 사항 |
응답자 비중 |
의료기록 데이터 조회 |
85.7% |
예약 접수 |
77.1% |
약 복용 알림 기능 |
54.1% |
건강 컨설팅 제공 |
34.3% |
원격 클리닉 |
31.4% |
가정의 조언 기능 |
28.6% |
건강 관련 수치 측정 |
22.9% |
자료원: 軟信上海創新中心智庫(루안씬상해혁신중심)
- 현재 중국 내 의료보건 관련 앱은 약 2000개가 출시됐으나, 이용자수와 활용도는 낮은 편
- 모바일 의료 APP 기능에 대한 중국 일반 소비자의 희망사항은 의료기록 조회, 모바일 진료 예약, 약 복용 알림 서비스 순임.
○ 중국 내 의료기기 제품 동향
제품명 |
기능 |
가격 |
제품사진 |
i-Health 스마트 혈압계 |
휴대폰과 연동, 부모님 건강 상태를 가족에 자동 전달 |
199위안 |
![]() |
스마트 혈당계 |
핸드폰과 혈당기 연동, 자체 APP을 통해 혈당 측정 및 기록 |
299위안 |
![]() |
스마트 팔찌 |
운동량과 수면 상태 측정, 심장 박동 측정 기능 등 |
99~1000위안 |
![]() |
자료원: KOTRA 톈진 무역관
○ 중국 내 의료기기 브랜드별 가격 동향
제품명 |
기능 |
가격 |
제품사진 |
화웨이 Talk Band B1 |
운동량 측정, 블루투스 연동 음성통화, 수면시간 측정 |
888위안 |
![]() |
샤오미 MI Band |
운동량 측정, 수면 분석, 스마트 알람, 전화 오면 알려주는 기능 |
99위안 |
![]() |
Hellofit 스마트 심전도 측정기 |
심전도 데이터 분석, 심장병 위험 방지 |
598위안 |
![]() |
○ 중국 내 의료분야 관련 인기사이트
명칭 |
내용 |
꽈하오왕(???)
![]() |
중국 위생부가 승인한 가장 큰 온라인 진료 예약 서비스 사이트(www.guahao.com)로 전국 23개 성시의 900개 병원과 연동, 가입자 수는 3000만 명, 사이트 이용 진료예약 건수는 1억 건. 꽈하오는 진찰 접수를 뜻함. |
이즈통(?指通)
![]() |
톈진시의 이용자가 가장 많은 온라인 진료 예약 사이트로 현재 베이징, 선전, 선양뿐만 아니라 대만, 홍콩, 마카오까지 서비스를 제공. 중국 1613개의 의료기관, 8737개의 관련 부서가 이 사이트와 연동, 현재까지 약 1억3000만 명에게 진료예약과 건강상담 서비스를 제공 |
춘위장상이셩(春雨掌上?生)
![]() |
의료분야 애플리케이션으로 이용자는 앱을 통해 질병에 대한 Q&A, 전문의와의 무료 컨설팅을 진행 |
○ 중국 주요 IT기업 의료분야 현황
기업 |
내 용 |
알리바바 |
- 2015년 4월, 클라우드 연동 의료 시스템(미래병원, 구름위병원) 가동 - 2015년 내 50개 병원과 협력 진행 목표 - 온라인 진료, 건강 데이터 공유 등이 주요 기능 |
텐센트 |
- 웨이신스마트병원(微信智慧?院) - 웨이신은 텐센트가 운영 중인 SNS앱으로 한국의 카카오톡 수준의 영향력을 보유 - 현재까지 1200개 병원과 연동한 온라인진료 접수, 결제, 의료정보 제공 등 서비스 진행 |
바이두 |
- 베이징 헬스케어 클라우드(北京健康云): 북경 시민 건강데이터 작성 및 의료보험시스템과 데이터 공유 - 바이두 의사(百度?生) APP: 온라인 진료 접수, 온라인 상담, 의료진 수준 평가 등(푸젠, 후베이, 광동 3개의 성에서 서비스 제공 중) |
□ 시사점
○ 중국 의료기기 시장은 매년 20% 증가해 빠르게 성장하며, 중국 의료시장 확대로 국내 업체들의 수출이 꾸준히 증가할 전망
○ 새롭게 생겨나는 중국 의료 시스템 개혁 프로젝트 정보에 관련 우리 기업들의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함.
자료원: 百度(바이두), 軟信上海創新中心智庫(루안씬상해혁신중심), Chinaventure, 완왕(万□) 의료기록 시스템,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14년 고령친화산업 육성 사업
-
다음글
- 일본기업, 3D 프린터로 제조한 인공뼈로 EU시장 진출: NEXT21 K.K.社가 산·학·연 프로젝트로 개발한 주문제작형 인공뼈 'CT본(b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