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한국 및 미국 보건산업 관련 고용 동향 및 직업 현황

  • 등록일2015-07-07
  • 조회수471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7-06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 고용 동향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브리프 Vol.184

한국 및 미국 보건산업 관련 고용 동향 및 직업 현황


Ⅰ 배경

● 보건산업은 정부의 일자리창출 정책에 따라 산업자체의 고용 및 생산 유발효과가 큰 산업임

- 국정과제(2013)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 강화”중 ‘보건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과 ‘고령 친화산업 육성’정책이 보건산업분야의 일자리창출에 효과적일 것으로 평가

- 고용률 70% 달성을 통해 창출되는 신규 일자리 중 보건·복지분야의 일자리가 80만개로 전체의 33.6%를 차지

- 고용부 「신직업 발굴 육성방안」 사업을 통해 도출된 직업 중 보건산업분야 ‘신직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원격진료코디네이터, 유전학상담전문가, 의료일러스트레이터, 의료소송분쟁조정사(상담사), U헬스전문가, 네일아티스트, 타투이스트, 빅데이터전문가 등 신직업 100개 중 보건산업 관련 직업이 44개 차지


● 이에 따라 보건산업 분야에서의 신직업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것이 미래 우리나라 일자리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


Ⅱ 국내외 보건산업 관련 고용 동향


1. 미국의 보건산업 관련 고용 동향

농업부문을 제외한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미국의 전체 산업 고용 규모는 131백만 명에서 134백만 명으로 약 2.6% 증가한 반면, 보건및사회복지 부문의 고용은 동기간동안 13.5백만 명에서 16.9백만 명으로 약 25.2%로 큰 폭으로 증가


[목 차]

1. 배경

2. 국내외 보건산업 관련 고용 동향

3. 국내외 보건산업 관련 직업 현황

4. 국내외 보건산업 관련 직업 분류 및 비교

5. 요약 및 시사점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