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과 플랫폼 경쟁의 시작

  • 등록일2015-07-15
  • 조회수510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7-08
  • 출처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웨어러블
  • 첨부파일

출처 :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확산과 플랫폼 경쟁의 시작


□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을 이을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주목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이 선진시장을 시작으로 둔화되는 상황에서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각
○ 삼성전자ㆍ구글ㆍ애플 등 주요 IT 기업들이 신시장 형성, 기존 모바일 기기와의 시너지 등을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진출을 본격화
-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밴드ㆍ시계ㆍ안경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들이 출시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전망과 업체별 성장 전략
○ 1966년에 MIT에서 수행된 Head-Mounted Display(HMD)가 적용된 이반 서더랜드(Ivan Sutherland)의 연구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구의 시초
※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란 신체에 부착하여 컴퓨터 행위를 할 수 있는 모든 것으로 일부 컴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까지 포함
○ 웨어러블 디바이스 활용산업군은 크게 피트니스 및 웰빙, 헬스케어 및 의료, 제조업 및 군사, 인포테인먼트 등으로 구분
○ 기술적 관점의 유형에 따라서는 안경, 시계, 팔찌형태의 휴대형, 패치와 같이 피부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형태의 부착형, 그리고 인간의 신체에 직접 이식하거나 복용하는 형태의 이식/복용형으로 분류
○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13년 760만 대에서 ’14년 1,750만 대(130%↑), ’15년에는 4,860만 대(179%↑)로 가파른 성장세 기대
- 2020년에는 약 1억 8,000만 대의 시장을 형성하며 56ㆍ8%의 CAGR을 기록할 전망
- 제품별 비중은 스마트워치가 ’14년 32ㆍ4%에서 ’15년 61ㆍ7%로 상승하면서 웨어러블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
○ 구글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과 플랫폼 구축을 위한 노력을 활발히 전개
- 다양한 웨어러블 기기가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상호 작용하며 잘 작동하는 것이 구글의 궁극적인 목표
- ’13년 5월 안경 형태의 모듈형 웨어러블 ‘구글 글래스(Google Glass)’를 공개하였으며 ’14년 3월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용 OS인 ‘안드로이드 웨어’ 발표와 동시에 디바이스 개발 전용 소프트웨어 개발도구(SDK)를 공개
○ 애플은 애플워치를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확장 전략을 구사
- 아이폰, 아이패드 등에서 구축한 ‘프리미엄 콘텐츠 소비 플랫폼 전략’을 웨어 러블 디바이스 생태계로 확장
- 애플워치는 아이팟시장을 대체하는 동시에, 스마트TV 및 스마트카, 스마트홈 네트워크 등 차세대 스마트 기기와 기존 아이폰/아이패드를 애플 생태계 속에서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관측
○ 웨어러블 시장 대한 삼성전자의 전략은 플랫폼 강화와 다양한 제품 출시
-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전략은 시장 선점과 갤럭시 생태계 구축
- 2013년 9월 갤럭시 기어를 출시하며 세계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 본격 진출한 이후 2014년에는 ‘기어2’, ‘기어2 네오’, ‘기어 핏’, ‘기어라이브’, ‘기어S’ 등 후속작을 잇따라 선보이며 초기 시장을 주도
- 더불어 타이젠을 적용한 ‘삼성기어’의 소프트웨어개발도구(SDK)를 공개해 독자적인 웨어러블 생태계 구축전략을 지속 추진

□ 웨어러블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생태계 조성과 서비스 발굴 강화해야
○ 정부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
- 핵심 부품·소재 국산화 제고, 대·중소기업 상생, 산·학·연 협력 등에서 지원과 조정자 역할을 통해 웨어러블 시장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조성
-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국가적 차원의 개인정보 안전장치를 위한 법ㆍ제도 마련 필요
○ 기업은 혁신적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을 통해 초기 시장을 선점함과 동시에 생태계조성과 융합 서비스 발굴에 매진
- 웨어러블 애플리케이션(앱) 생태계 구축을 놓고 ‘타이젠(삼성)’과 ‘안드로이드웨어(구글)’ 그리고 ‘iOS(애플)’ 등 3대 세력 간의 경쟁이 본격 시작한 만큼
-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제품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더불어 대중적 구매를 촉발할 수 있는 혁신적 디바이스를 지속적으로 출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