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몽골 의약품시장의 현실
- 등록일2015-08-27
- 조회수7699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5-08-27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품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몽골 의약품시장의 현실
- 수입 의약품 시장 80% 차지, 다국적 제약사에 매력적 -
□ 몽골의 의약품 시장 현황
○ 몽골은 제조산업 기반 미약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시장이며, 의약품도 마찬가지임.
- 판매되는 전체 의약품 중 70~80%는 수입품이며, 국내 제약사 34개가 나머지 의약품을 제조함.
- 몽골에는 의약품 공급업체 154개, 제약사 34개, 약국 1200개가 영업 중임.
- 몽골인들은 아직까지 국내생산 의약품에 대한 신뢰가 그다지 높지 않아 해외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국내에서 생산되는 약이 있어도 수입 의약품 선호.
- 2013년 기준으로 세계 TOP 10 제약사 중 7개 기업의 의약품을 수입하고 있음.
○ 정부 지원 부족으로 국내 제약사 발전이 어려움.
- 국제 표준인 GMP 진입을 위해 최신 설비 확증 및 전문 인력 육성에 재정적 지원이 필요한 현실임.
○ 몽골 의약품 시장규모는 약 1조600억 투그릭(약 5억4000만 달러)임.
□ 몽골 의약품 등록 현황
○ 몽골에 등록된 의약품수는 2900여 가지임. 하지만 실제로 650여 가지임.
- 이 중에서 몽골 제약사에서 제조 가능한 의약품은 400여 가지로 추정되고 있음. 현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200여 가지 의약품 중에서 60여 가지를 국내에서 제조함.
○ 2014년은 총 의약품 591개가 신규 등록됐으며, 그 중 431개가 수입 의약품임.
1994~2014년 의약품 등록 현황

자료원: 몽골 보건개발센터 보고서 2014
- 등록된 의약품을 국제 ATC(Anatomical Therapeutic Classification) 코드로 분리하면 다음과 같음.

자료원: 몽골 보건개발센터 보고서 2014
- 2014년 기준 총 등록된 55국의 485개 제약사 3600종류의 의약품 중 몽골이 10.88%, 러시아가 10.30%, 인도가 10.16%를 각각 차지함.
2014년 국별 등록 의약품

□ 수입 동향
○ 몽골에서 의약품을 판매하려면 먼저 해당 의약품을 등록해야 하는데, 등록은 아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함.
- 의약품 생산자는 GMP 국제 표준 요구를 충족해야 함.
- 수출 국가의 공인기관에서 발행한 의약품 증명서가 있어야 함.
- 의약품의 성분, 1회분 등을 화학적 검사로 정확하게 정해야 함.
- 등록할 의약품의 포장에는 바코드, 주소 상표에는 의약품, 의료기구관련법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하고, 몽골어, 영어, 러시아어 중 한 개의 언어로 표시해야 함. 위의 언어 외에 다른 언어와 병기하여 표시할 수 있음.
- 수입되는 의약품은 최소한 1개국에 등록돼 있어야 함.
- 수입되는 의약품은 해당 생산된 국가에서 사용 중이어야 함.
○ HS Code 3004 기준으로 몽골의 2014년 의약품 수입은 전년 대비 2.9% 증가된 것으로 나타남.
- 의약품 주요 수입국은 러시아, 중국, 슬로베니아, 인도, 독일, 볼가리아, 프랑스 등이며, 한국은 8위를 차지하고 총 57개국의 의약품을 수입함.
의약품(HS Code 3004 ) 수입통계
(단위: ㎏, 천 달러)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수입 |
1,962,583.9 |
2,101,139.5 |
2,070,965.2 |
수입액 |
57,591.0 |
65,277.5 |
67,226.8 |
자료원: 몽골 관세청
의약품(HS Code 3004) 대한민국 수입통계
(단위: ㎏, 천 달러)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전년대비 증감률 |
수입 |
79,621.8 |
60,610.0 |
76,043.4 |
15,433.4 |
수입액 |
1,631.5 |
2,598.2 |
3,089.7 |
491.5 |
자료원: 몽골 관세청
□ 시사점
○ 몽골 의료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나 국내 생산 및 공급량이 약20~ 30%에 불과하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 몽골에서 판매되는 의약품 3개 중 2개는 정부가 입찰을 통해 구입하므로 정부 조달 참여 필요
- 한국 업체는 정부 입찰 참가 시 현지 업체와의 공동 참가가 더 효율적임.
○ 한국 의약품에 대한 현지 바이어 의견
- 한국 제품은 품질도 좋고 가격 경쟁력이 있음. 특히 요즘은 유아 및 어린이용 약품들이 엄마들 사이에 인기가 많음.
- 또한 타국 의약품 비해 강도가 약한 것에 몽골 소비자들은 호감을 보임.
자료원: 몽골 보건개발센터 보고서 2014, 현지 각 언론기사, 몽골 관세청 통계 자료 및 KOTRA 울란바토르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