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6-01-21
- 조회수767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01-21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기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전망
- 원격진료 수요 증가할 것으로 기대돼 -
- 비만, 만성질환 증가로 수요 증가 -
□ 멕시코 의료기기 현황
○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은 브라질에 이은 라틴아메리카 2위 규모의 시장
- 2014~2019년 의료기기 시장은 평균 6.3%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 2015년 달러 대비 시장규모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는 페소화 가치하락에 따른 것으로 페소 대비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 중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백만 달러, 백만 페소)
연도 |
달러 |
페소 |
2014 |
4,036 |
53,720 |
2015* |
3,918 |
57,802 |
2016* |
4,257 |
62,582 |
2017* |
4,649 |
67,424 |
2018* |
5,014 |
72,214 |
2019* |
5,465 |
77,605 |
주: * 2015년 이후 자료는 전망치
자료원: BMI(Bussiness Monitor International)
○ 2011년 기준, 멕시코 병원 수는 공공병원 1279개, 민간병원 3234개로 총 4513개로 조사됨.
- 2011년 기준, 의사 수는 25만3555명,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2.2명, 간호사 수 29만5907명, 인구 1000명당 간호사 수 2.6명, 치과의사 수 9015명, 약사 수 5만7397명으로 나타남.
○ 높은 비만율과 당뇨, 암, 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짐.
- 대부분의 병원은 최신 의료기기 및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낙후지역 의료기기 보급이 필요한 상황으로, 수요 증가 전망
○ 2014년 멕시코 의료기기 산업 종사자는 14만8597명, 의료기기 유통 및 생산업체는 2344개로 조사됨.
- 멕시코 내 기업 중 655개 업체가 수출업체이며, 2014년 총 수출규모는 77억 달러로 의료기기 세계 9위 수출국이며, 라틴아메리카 최대 수출국임.
- 세계 2위의 파이프식 바늘 수출업체이며, 세계 5위 의료용 주사기 및 카테터 수출국
- 의료기기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92.5%의 의료기기를 수출함.
- 대부분의 의료기기가 미국 기업의 멕시코 내 생산 후 미국으로 역수출되는 구조
- 현재 수입이 점차 증가하나 아직은 수출의 절반 규모로 의료기기 무역수지는 양호함.
의료기기 무역수지
(단위: 백만 달러)

자료원: PROMEXICO
□ 멕시코 의료기기 생산 및 소비현황
○ 2013년 멕시코 의료기기 생산 규모는 144억 달러이며, 2014~2020년 복합연간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은 6.4%에 달해 2020년 21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됨.
○ 2013년 멕시코 의료기기 소비 규모는 109억 달러이며, 2014~2020년 복합연간성장률은 4.0%에 달해 2020년 139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기대됨.
□ 한국의 대멕시코 교역현황
○ 2013년 의료기기 대멕시코 수출은 약 2267만 달러로, 76개 기업이 88개 품목을 수출함.
- 초음파영상진단장치, 시력보정용 안경렌즈, 의료용 핸드피스 등이 주로 수출됨.
대멕시코 주요 수출 품목
(단위: 천 달러, %)
품목 |
금액 |
비중 |
초음파영상진단장치 |
5,388 |
23.8 |
시력보정용 안경렌즈 |
2,311 |
10.2 |
의료용 핸드피스 |
1,698 |
7.5 |
치과용 임플란트 |
1,466 |
6.5 |
체지방 측정기 |
1,391 |
6.1 |
개인용 온열기 |
936 |
4.1 |
개인용 조합자극기 |
806 |
3.6 |
환자감시장치 |
727 |
3.2 |
자기공명전산화단층촬영장치 |
700 |
3.1 |
의료용 프로브 |
602 |
2.7 |
기타 |
6642 |
29.3 |
합계 |
22,671 |
100 |
자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멕시코 의료기기 산업 현황 및 투자 이점
○ 2010~2015년 사이 미국은 1억7200만 달러를 멕시코에 투자해 제 1투자국이 됨.
- 그 뒤를 아이슬란드가 4800만 달러, 캐나다 1100만 달러, 뉴질랜드 300만 달러 등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남.
○ NAFTA 협정 등을 이용한 무관세 혜택
- 현재 멕시코는 47개국과 FTA를 체결하며, 세계 최대 경제블록인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 발효를 앞두고 있음.
○ 저렴하고 훈련된 노동력
- 현재 멕시코에는 230개 이상의 생명공학, 생체공학 대학 학부, 대학원 학과가 존재함.
- 2000~2012년 멕시코 공학 졸업생의 복합연간성장률(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은 6%로 조사됨.
- 2012년 11만 명이 넘는 공학 졸업생을 배출함.
□ 전망 및 시사점
○ 현재 멕시코는 넓은 영토와 지역 간 경제 불균형으로 낙후 지역 의료서비스 지원이 필요함.
- 이에 원격진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2015년, 멕시코 정부는 연방정부 부처 IT 시스템 표준으로 우리 전자정부의 기반인 전자정부 표준프레임 워크를 채택하는 등 한국 IT 기술에 대한 신뢰가 높음.
- 현재 국내에서는 원격진료가 합법으로 인정되지 않으나 2015년 한국의 에스에이치전자(싸이메디)가 아프리카 기니공화국에 원격진료를 수출하는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적극적인 시장 공략에 나선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 멕시코에 의료기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 위생등록 절차를 거쳐야 하는 등 행정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사전에 멕시코 위생보호 위원회(COFEPRIS) 등을 통해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함.
○ 멕시코 보건부는 2014~2018 국가 인프라스트럭처 프로그램을 발표하는 등 의료 인프라 투자를 늘릴 계획으로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기, 유방촬영진단기, 초음파진단기 등 첨단 의료기기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됨.
- 멕시코 정부의 주요 프로젝트별 입찰 계획 및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정부 입찰 공식 홈페이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필요
- 정부입찰 공식 홈페이지: https://compranet.funcionpublica.gob.mx/web/login.html
자료원: Promexico, 한국보건산업진흥원, BMI 및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