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15년 OECD 등 국제기구통계 생산 및 관리 보고서

  • 등록일2016-01-21
  • 조회수512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01-19
  • 출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국제기구 통계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년 OECD 등 국제기구통계 생산 및 관리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보건통계의 범주

제3장 OECD 회원국의 보건통계 생산수준 비교

제4장 OECD 보건통계 제출 현황

제5장 OECD요구 미생산 보건통계의 생산방안

제6장 보건복지분야 국제기구 제공통계 관리

제7장 결론 및 정책 제언

참고문헌

 

 

1. 연구의 배경


? 통계는 빠르게 변화하는 우리생활에 밀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사회가 점차 발전할수록 보다 다양하고 세부적인 통계를 필요로 하게 됨. 통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며,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정보는 미래를 예측해 볼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함. 우리는 정책수립이나 추진 그리고 평가시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보다 과학적인 자료에 기반한 정확한 판단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임.


? 경제사회가 발전할수록 삶의 질과 관련되는 보건이나 복지통계에 관심이 높아짐. 우리나라도 OECD에 가입하면서 부진하였던 보건·복지통계의 양적인 증대와 질적인 향상을 위해 노력하여 왔음.

 

? OECD에서는 경제분야 뿐만 아니라 보건 등 다양한 분야의 통계를 회원국에 제공을 요구하고 있음. 이와 같은 관련 통계는 국가발전에 요긴하게 사용되기 때문임. OECD에서는 통계 요구시 해당통계의 정의와 산출방법을 함께 제공해 주고 있음. 이에 따라 회원국은 가능한 OECD에서 정의한 기준과 산출방법에 따라 통계를 생산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음.


? 이와 같은 통계의 생산 및 수집 방법은 생산통계의 비교성을 높여 통계의 품질과 활용도를 높이게 됨. OECD 제공통계는 자료원과 생산방법이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통계의 활용도를 더욱 높이게 되며, 해당 통계의 미생산 국가에서는 통계생산 시도를 보다 용이하게 하여 통계 생산 확산에도 기여하게 됨.


? OECD에서 요구하는 통계는 그 필요성에 따라 추가되거나 제외시켜 회원국에 요구하기 때문에 매년 동일하지는 않음. 이와 같이 추가나 제외하는 과정은 OECD 회원국과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결정하게 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