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로봇산업의 국내외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6-03-07
  • 조회수617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6-02-29
  • 출처
    KDB산업은행
  • 원문링크
  • 키워드
    #로봇산업
  • 첨부파일

출처 : KDB산업은행

 

 

로봇산업의 국내외 동향 및 전망

 

 

저자 : 권구복  KDB산업은행 연구원

 

[목 차]


Ⅰ. 로봇산업 개요
Ⅱ. 세계 로봇산업 동향 및 전망
Ⅲ. 국내 로봇산업 동향 및 전망
Ⅳ. 국내 로봇산업 발전 애로요인 및 대응방향

 

 

요약

 

로봇은 인간을 모방하여 외부환경을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고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기계를 의미한다. 로봇은 제조용 로봇과 서비스용 로봇으로 구분되고, 서비스용 로봇은 전문서비스용 로봇과 개인서비스용 로봇으로 분류된다. 최근 제조업의 생산성 경쟁 심화, 안전 이슈 부상, 저출산·고령화 심화 등으로 인해 로봇산업이 부상하고 있다.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14년 12.3% 성장했는데 주로 제조용 로봇 중심이나 최근 개인서비스용 로봇 구성비가 확대되었다. 향후 개인서비스용 로봇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제조용 로봇시장도 견조한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미국, 일본, EU, 중국 등 주요국은 각국 상황에 맞게 로봇산업을 정책적으로 적극 지원하고 있다. 기업부문에서는 전통 제조용 로봇 기업들이 중국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고, 최근 글로벌 IT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로봇산업에 진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로봇생산 규모가 ’14년 19.2% 성장했고, 주로 제조용 로봇 중심이고 내수 중심이다. 정부는 지능형 로봇 정책을 추진하여 선택과 집중을 통한 로봇R&D 종합역량 제고, 로봇수요의 전 산업 확대, 개방형 로봇산업 생태계 조성, 명실상부한 범국가적 로봇 융합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 로봇생산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 업계는 중소기업 중심이나, 최근 대기업의 로봇산업 진출이 확대되고 있다.


국내 로봇산업 발전의 애로요인으로는 첫째, 중소기업 중심의 업계 구성으로 인한 글로벌 대기업과의 경쟁 한계, 둘째, 로봇 수요와 공급의 연계 부족, 셋째, 서비스용 로봇 성장에 대한 대응 미흡 등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대·중소기업 협력 강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 규격화·표준화를 통한 원가절감 및 신뢰성 제고, 국내 IT 인프라를 바탕으로 한 기술 발전 및 생태계 조성 등이 필요하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