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독일, 빅데이터 결합한 보건의료시장 진출 기회
- 등록일2016-04-25
- 조회수526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04-2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의료시장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독일, 빅데이터 결합한 보건의료시장 진출 기회
- 개인정보 데이터를 활용하는 디지털 의료시장 진입에 주목 -
□ 독일, 기술력 대비 디지털 의료업계 기술 개발 부진
○ SAP의 창립자 플라트너(Plattner)씨는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환자의 정보를 수집, 분석해 빠른 솔루션을 찾을 수 있으니 ‘독일은 현재 발전을 위해 더욱 분발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함.
- 특히 독일은 다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데이터와 관련 지식이 존재함에도 개인정보 관련 문제로 디지털화된 보건의료기술의 장점을 사용하지 않고 있으니 빠른 기간 내 바뀌어야 할 것"이라고 플라트너 씨는 답함.
- 미국의 경우 애플(Apple), 구글(Google), 아비엠(IBM) 등 의료시장 간의 결합을 위해 10억 달러를 연구에 집중 투자 중. 기업컨설팅 전문가인 아서 리틀(Arthur D. Little) 씨에 따르면, 전 세계 디지털 의료시장 규모는 2020년까지 약 233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함.
세계적 디지털 의료시장 시장규모
(단위: 십억 달러)

자료원: Handelsblatt 자료 및 통계
○ 디지털 의료시장과 빅테이터 활성화를 실현시키기 위해 실습과 시범사업을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
- 이는 독일 정부에서 보다 디지털 의료시장 시범사업이 가능하도록 관련 정책 조건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이 외 건강관리회사, 제약회사, 의료기기 제조사, 의사, 연구원, 소프트웨어 벤더 등 의료시장의 다양한 분야 관계자들이 협력하는 것이 필수임.
- 의료시장 전문가들은 의료시장의 미래는 무선정보 송부시스템, 환자 감시시스템, 전자 건강기록서 등이 일상화된 빅데이터의 시대라고 전망함.
□ 독일이 프로젝트 시범 논의하는 동안 미국은 이미 솔루션 개발 착수
○ 아이비엠(IBM), 왓슨 헬스(Watson Health) 시스템 지속적으로 연구
- 1년 전부터 5000명의 직원이 왓슨 아이비엠 컴퓨터의 인지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디지털 의료시장에 사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듦.
- 이 시스템의 개발로 아이비엠이 보유한 방대한 양의 정보 관리가 가능해짐.
- 왓슨 시스템은 암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분석도구로서 의료 전문가의 다양한 최신지식을 수집하고, 환자의 질병 빅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해 효율적 활용을 위해 모든 의료진에게 제공하고 있음. 발 빠른 진단을 통한 맞춤형 테라피 및 치료 구현이 실현됨.
○ SAP, 종양학협회(ASCO)와 협력해 빅데이터 확보 추진
- 약 3만5000명의 의료진이 돌보는 약 100만 명 환자 기록정보가 SAP-데이터베이스 하나(Hana)에 저장됨.
- 여러 의료진에게 수집된 다양한 연구자료와 환자기록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된 자료를 통해 성공적인 치료방법과 암에 관련해 새로운 통찰력과 연관성 등을 얻고자 하는 것이 이 빅데이터 시스템 개발의 목적 중 하나임.
- SAP의 창립자 플라트너씨는 독일의 경우 각 병원과 의료진이 굉장히 많은 양의 정보를 갖고 있으나, 모든 데이터를 각자 시스템에만 저장하기 때문에 정보교환이 불가능하다고 함. 데이터를 서로 교환해야만 다양하고 확실한 최신정보를 바탕으로 ‘보다 더 확실한 질병 추정을 할 수 있어, 초기부터 치료가 가능하므로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다고 밝힘. OECD 국가는 국내 총생산(GDP)의 11~17%가 의료비이며 초기 치료가 가능하다면 약 30% 의료비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 전망 및 시사점
○ 독일은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에 관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정보 수집에 요령이 있어야만 시범사업이 실현될 수 있을 것임.
○ 독일과 유럽은 향후 공공 정보공개를 통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범위 확대와 이를 통한 보건의료 서비스 향상에 초점을 둘 전망이며, 데이터 개방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은 점점 강화돼 디지털 의료기기 제품 연구 발전에 중점을 두고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함.
자료원: Handelsblatt 보도자료, Arthur D. Little 및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