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마트셀 산업 실현을 위한 전략 제시
- 등록일2016-07-21
- 조회수5321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6-07-18
-
출처
KISTEP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스마트셀
출처 : KISTEP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스마트셀 산업 실현을 위한 전략 제시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바이오소위원회는 최근 개최한 제 7차회의시 「바이오 기술이 창출하는 새로운 트랜드」
중간 보고서를 발표(’16.6.)
○ OECD에 따르면 ‘30년에는 바이오 산업시장이 전체 GDP의 2.7%(약 1조 3,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며, 이 중 공업 분야
39%, 농업 분야 36%, 헬스 분야가 2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
- ‘15년 일본 바이오 산업 시장규모는 3조 엔으로 10년간 약 2배 성장하였으며, 의료·헬스 분야가 전체 바이오 시장의 56%를 점유
○ 해외 각국은 바이오 경제의 실현을 위한 전략을 수립 중이며, 일본에서도 세포의 내부 기능을 제어하는 스마트셀 산업군* 정책 제시
* 게놈 등 생물정보에 AI 정보처리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생물의 기능을 디자인하고, 유전자 개량, 생육조건 제어 및 기타 방법을 이용
하여 생물의 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는 산업 전반을 지칭
□ 스마트셀은 DNA 해독기술, IT·AI 기술, 게놈 편집기술 등 3대 기반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완성되고, 이를 통해 바이오
강국 실현 가능
○ (DNA 해독기술) DNA 염기서열 해독 비용 감소로 단기간내 정보 대량 축적 가능
○ (IT·AI 기술) 딥러닝 기술을 염기서열 등 바이오 정보 분석에 적용
○ (게놈 편집기술) 적은 비용으로 정확한 게놈 편집 가능
< 바이오기술이 열어갈 새로운 미래 >
□ 스마트셀 산업*은 의료·헬스케어, 공업, 농업, 식량 분야에서 전 지구적 과제해결에 기여하고 세계 산업구조 변혁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
○ (의료·헬스케어) 난치병 등 기존에는 불가능한 질병 치료 가능
○ (에너지) 바이오에탄올 생산으로 수송연료의 30%를 바이오연료로 대체하고, 산유국 의존에서 탈피하여 세계 에너지 공급구조
변혁
○ (공업) 글루코스 및 옥수수 등 바이오기술로 세포기능을 개량함으로써 에너지 절전 및 자원 고갈 해소
○ (식량) 유전자 조작 식물 경작 등으로 세계의 기아개선, 식량문제 해결
□ 스마트셀 산업에 필요한 전략 4대 방향 제시
① 일본 강점을 살린 전략 기반 정비
- 생물유전자원 및 분석데이터의 전략적 축적
- 스마트셀 관련 3대 기반기술 및 유망 핵심 기술 개발
② 스마트셀 산업 실용화
- 스마트셀에 의한 제품 전략적 개발 및 시장 확보
③ 오픈 이노베이션
- 기술·산업 융합 실현 및 제약 분야 이노베이션 협력 시스템 구축
④ 사회·제도 환경 정비
- 사회 혁신을 고려한 제도 정비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