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재활의료기기 기술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6-08-02
- 조회수801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08-02
-
출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재활의료기기
- 첨부파일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EIT PD 이슈리포트 2016-7호-이슈5
재활의료기기 기술 동향 및 전망
저자 : 허 영 PD / 메디칼디바이스
정해근 책임 / 전자전기평가팀
류제청 박사 / 재활공학연구소
SUMMARY
● 목적
★ 재활의료기기는 고령자 및 장애인의 의료재활과 원활한 사회복귀를 위해 손실된 근골격계의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한 연구임.
★ 재활로봇은 노약자, 장애인, (재활)치료를 요하는 환자 등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추가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활복지 로봇으로 규정(재활로봇의 분류 및 용어, 2011).
● 산업 전망
★ 재활로봇의료기기는 재활활동을 주도적으로 수행하거나 보조하는 기능을 하는 로봇으로 노인과 장애인의 기능 및 일상생활활동을 보조하여 사회 복귀를 도울 수 있고,재활치료를 요하는 환자들의 신경학적 재활치료 비용증가 문제와 치료기간 및 강도유지 문제를 해소해 줄 수 있으며 노인과 장애인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돕는 기기로서 고령화 되고 있는 미래에 잠재력이 높은 분야임
● 기술동향
★ 대량의 제품화, 상품화가 가능한 기술 개발은 정부 주도가 아닌 민간의 시장경제 원리에만 맡겨도 충분한 발전 가능성이 있으나, 다품종 소량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재활로봇은 민간의 노력만으로는 높은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움.
★ 선진국에서는 국가주도의 다양한 연구개발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미국은 NIH를 중심으로, 일본은 후생 노동성이 중심이 되어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음.
● 전망 및 정책제언
★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재활로봇의료기기는 사회적 수요 증가와 정부의 재활의료기기 개발관련 국책연구사업 지원으로 꾸준히 국산화에 성공하고 있음.
★ 재활로봇의 특성상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안정성을 높여야 수혜자인 고령자 및 장애인에게 효용성 있는 국산 재활의료기기로서 향후 수출 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