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미국내 K-Beauty 확산 성공키워드
- 등록일2016-09-01
- 조회수561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16-07-22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K-Beauty
- 첨부파일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미국내 K-Beauty 확산 성공키워드
-목차
Ⅰ. 미국내 K-Beauty
1. 미국 화장품 시장동향
2. 화장품 대미 수출현황
Ⅱ. K-Beauty 주요과제
1. 패키징·레이블링
2. 가격정책
3. 생소한 원료와 제품 사용법 홍보 및 교육
4. 미투제품의 등장
Ⅲ. K-Beauty 성공키워드
1. 밀레니얼 세대·아시안 아메리칸
2. 샘플·키트 상품
3. 패키징·레이블링
Ⅳ. 향후전망 및 시사점
-요약
□ 미국 뷰티시장 동향 및 전망
ㅇ 2015년 미국 스킨케어?색조화장품 시장규모는 299억 4,680만 달러로 2010 이후 연평균 4% 성장했으며 2020년까지
342억 21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
□ 화장품 대미 수출 현황
ㅇ 2015년 한국 화장품 대미 수출규모는 2억 1,751만 달러로 전년 대비 71.5% 증가했으며, 2009년 이후 매년 두 자릿수 성
장률 기록
□ K-Beauty 확산을 위한 주요과제
ㅇ (패키징/레이블링) 효과적인 소비자 공략 위해 제품 패키지에 올바른 용어를 사용하고 수출전 식품의약국(FDA) 규정에
맞는 레이블링 작업 필요
ㅇ (가격정책) 미국내 한국화장품 가격이 판매처에 따라 편차가 커 일관성 있는 가격정책 필요
ㅇ (생소한 원료와 사용법) 독특한 원료는 경쟁력이 될 수 있지만 보수적인 미 소비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노력 필요
ㅇ (미투제품의 등장) 글로벌 기업 유사제품과 경쟁해야 하나 브랜드파워와 제품 다양성에서 열세
□ K-Beauty 성공 키워드
ㅇ 한국 화장품 주 타겟층은 밀레니얼세대/아시안아메리칸 소비자
ㅇ 샘플과 트레블 사이즈로 고객에게 체험기회 제공
ㅇ 기발하고 독창적인 패키지와 레이블로 제품 차별화 시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