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최근 의료기기 산업의 동향 및 전망
- 등록일2016-11-16
- 조회수584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11-16
-
출처
KDB 산업은행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기
- 첨부파일
출처 : KDB 산업은행
최근 의료기기 산업의 동향 및 전망
저자 : 권 구 복 (KDB 산업은행 산업분석부)
최근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6년에는 전년대비 4.7% 증가한 약 3,395억 달러로 예상된다. 2010년~2014년 시장규모는 연평균 4.8% 증가하였고, 2015년~2020년에도 고령화 추세, 건강 증진에 대한 인식 전환등으로 연평균 6.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중국, 독일, 일본이 의료기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에도 증가 추이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의료기기 시장 또한 성장 중이며, 2015년 시장규모는 5조 2,660억원으로 전년대비 5.3% 증가하였다. 생산은 5조 20억원으로 전년대비 8.6% 증가하였고, 수출은 3조 670억원으로 전년대비 19.0% 증가하였으며, 수입은 3조 3,310억원으로 전년대비 12.1% 증가하였다. 고령화 시대가 도래하는 바,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의료기기 산업을 품목군별로 분류할 때, 26개 품목군 중에서 ‘체내삽입용 의료용품’과 ‘생체현상 측정기기’의 비중이 높다. 품목의 하위단위인 제품군별로 볼 때,‘치과용 임플란트’와 ‘초음파영상진단장치’가 국내 주요제품이고 향후에도 지속 성장이 전망된다. 국내 주요기업으로 오스템임플란트, 삼성메디슨 등이 있고, 향후 대기업들이 의료기기 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인식하여 활발히 진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의료기기 산업은 제품에 따라 성장 속도 차이가 상이하므로, 정부?기업?금융 부문이 각각 다각적 시각에서 접근하여 산업을 발전시켜야 한다. 정부는 국내 의료기기 제품의 신뢰성 제고를 지원하고, 수요와 공급 매개의 장을 마련하여 거래비용을 경감시킴으로서 국내 생산 의료기기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은 향후 성장하는 품목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집중적으로 수요를 발굴하고, 글로벌 마케팅을 강화하여 신규시장 선점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금융은 중?장기적 시각에서 투?융자 등을 추진하고,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금수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