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동향 및 진출 방안
- 등록일2017-01-09
- 조회수6446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6-12-3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이라크#의료기기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동향 및 진출 방안
- 내수시장 미약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시장구조 -?
?-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의료기기 시장 완만한 성장 추세 -?
??
□ 시장규모
ㅇ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은 2008~2012년 석유 수출 증대에 따른 경제 발전에 힘입어 크게 성장
- BMI의 보고서에 따르면, 이라크 의료시장은 2009년 26.9%의 성장을 기록했으며 2010년에는 35.0%까지 크게 성장
- 2011년 7.1%, 2012년 10.6%, 2008~2013년 연평균 성장률 24.1% 유지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 규모 추이(2009~2018년)
자료원: BMI 보고서(2015년)
ㅇ 2013년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4억6400만 달러로 2012년 대비 44.9% 성장했으며, 2014년 약 5억3620만 달러, 2015년 약 5억5090만 달러로 2.7% 성장해 ISIL과의 전투 중에도 꾸준히 성장했음.
이라크 의료시장 규모(2013~2018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시장 규모 |
463.9 |
536.2 |
550.9 |
579.8 |
616.9 |
659.1 |
주*: 예상치
자료원: BMI
ㅇ 제품군별 시장 규모를 살펴보면 2014년 의료용품이 9920만 달러로 2013년 대비 29% 성장했으며, 2013~2018년 기간동안 진단영상기기, 치과기기용품, 정형외과 보조기기, 환자 보조기기, 기타 의료기기가 각각 연평균 7.2%, 4.0%, 0.1%, 11.0%, 11.1%로 전체 의료기기 시장은 연평균 8.4% 성장이 전망됨.
이라크 제품군별 시장 규모(2013~2018년)
(단위: 백만 달러)
구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의료용품 |
77.0 |
99.2 |
99.1 |
102.6 |
108.1 |
114.6 |
진단영상기기 |
169.0 |
160.9 |
172.5 |
191.4 |
209.5 |
229.7 |
치과기기·용품 |
18.8 |
17.8 |
17.7 |
18.6 |
20.5 |
22.6 |
정형외과·보조기기 |
31.0 |
24.4 |
23.1 |
24.8 |
27.8 |
31.1 |
환자 보조기기 |
39.5 |
52.5 |
52.7 |
54.6 |
57.7 |
61.2 |
기타 의료기기** |
128.6 |
181.4 |
185.8 |
187.8 |
193.3 |
199.9 |
합계 |
463.9 |
536.2 |
550.9 |
579.8 |
616.9 |
659.1 |
주*: 예상치
주**: 기타 의료기기(휠체어, 안과 기기, 내시경 기기, 투척장치, 주입장치, 마취기기 등)
자료원: BMI
ㅇ BMI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은 대ISIL 전투진행, 저유가로 인한 경기침체 등으로 당분간 완만한 성장(연평균 5.8%)에 그칠 것으로 전망
- 2014년 ISIL 반군사태, 지속된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경제 침체로 의료기기 수입시장도 축소
* 2015년 8월 통계에 의하면, 2014년 동기 대비 수입 42% 감소
- BMI는 이라크 ISIL 반군사태 및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경제 불황을 감안해, 2014~2018년 관련 시장 성장률을 평균 5.8%로 전망하고 있음.
□ 시장 특징
ㅇ (의료 수요 다대) 이라크는 2003년 이후 종파분쟁, 내전, 미 점령군에 대한 봉기에서부터 시작된 2014년 ISIL 반군사태 등의 치안 부재로 인한 2015년 연간 사상자가 2만2000여 명을 상회하는 등 긴급 의료 수요 다대
- 국내 피난민 수 역시 400만에 가까우며, 전력 등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2015년 한때 전염병(콜레라)이 창궐
- 기후 및 치안불안 등으로 인해 운동을 기피하는 문화적 분위기 형성, 단백질 중심의 식습관 등으로 인해 비만 비중이 높으며 성인병 등에 취약
ㅇ (인프라 부족) 사담 후세인 정권시절 30년에 걸친 경제재제, 2003년 미국의 이라크 침공 이후 인프라 붕괴로 의료진과 의료시설이 크게 부족한 상황
- 이라크 정부는 석유 수출입 감소로 인한 재정적자에 처해 있으며, 이로 인해 병원 건설 프로젝트 취소, 의료 부문 예산 축소, 국가지원 무료 의료서비스 취소 등 전반적인 의료 인프라 건설 위축
- 이라크 정부는 의료 부문 외자 투자 유치 등의 해결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이라크 사태 및 치안 불안 등으로 투자 감소 추세
ㅇ (높은 수입의존도) 이라크는 의료기기 국내생산이 거의 없어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
- 2013년까지 석유 수출 증대에 따른 경제 활성화로 인한 정부의 적극적인 의료 정책 및 병원 프로젝트 증가에 힘입어 의료기기 시장 또한 활성화
- 소득 증대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의료시장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했고, 의료기기 수입도 크게 증가
ㅇ (사회주의적 의료시스템) 과거 사담 후세인 정권시절의 유산으로 인해 사회주의적 의료시스템을 채택
- 일부 민간병원이 영업 중이나, 정부운영 병원의 경우 치료비가 전액 무료
- 의약품, 의료기기 조달을 보건부 산하 의료조달공사(Kimadiya)가 전담
ㅇ (부패와 관료주의) 2003년 미국의 침공에 따른 민주정부 수립 이후, 사회 불안과 혼란을 틈탄 관료주의와 부정부패 관행 심각
- 보건부의 일괄 조달, 의약품 등록, 판매 인허가 등의 과정에서 관련 공무원 부패 심각
□ 수입시장 및 경쟁 동향
ㅇ 이라크 의료기기 수입시장은 지난 5년간 중동 지역 경제 발전에 힘입어 2014년까지 수입이 5억3620만 달러로 전년대비 15.6%까지 크게 증가했으나, 최근 들어 이라크 경제 침체로 인해 의료기기 수입시장은 2018년까지 완만한 증가 전망
-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인구의 고령화, 만성적 질병 증가, 경제 발전으로 인한 개인 소득의 증대로 집에서 간단히 진단이 가능한 진단 의료기기 수요 증대가 클 것으로 전망됨.
ㅇ 2014년 이라크 의료기기 수입시장은 독일(22%), 네덜란드(20.4%), 영국(11.9%), 터키(8.2%), 미국(7.9%) 순으로 5개국 수입이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 전체 수입의 과반을 차지
ㅇ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메이저 브랜드로는 독일의 Siemens, 네덜란드의 Phllips, 미국의 GE 등
- 이 외에도 Drager, Elekta, Shimadzu, Smith Medical, LG 등의 브랜드가 의료기기가 이라크에 진출해 있음.
ㅇ 한국산 의료기기 또한 이라크 내 한국산 제품 전반에 대한 높은 신인도로 인해 이라크 시장으로의 수출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
- 그러나, 유럽 제품이 이미 시장에 많이 유통되고 있으며, 이들 제품에 비해 한국 제품의 인지도는 아직까지는 낮은 편임.
- 저가의 중국산이 대량 수입 및 유통되고 있어 시장 진입 및 제품 마케팅, 가격경쟁력 확보가 우선 과제
- 이라크 의료기기 시장은 최근 IT가 융합된 스마트 의료기기의 수요가 늘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질병 예방 및 질병 진단과 관련된 진단 기구 수요 증가
□ 한국의 대이라크 의료기기 수출 동향
ㅇ 우리나라의 대이라크 의료기기 수출은 매년 증가 추세
의료기기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국명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수출액 |
증감률 | |
이라크 |
3,763 |
23 |
4,171 |
11 |
5,296 |
27 |
주: MTI 733, 8146, 8147, 950 기준
자료원: KITA
□ 품목별 수출동향(2015년 기준 수출 순위 상위 5대 품목)
ㅇ 2015년 기준 상위 수출품목은 초음파영상 진단기기, 기타 내과용, 외과용, 수의용 기기, 의료 및 수의용 기기 등
- 초음파영상 진단기기는 2014년 대비 119.4% 증가
품목별 수출동향
(단위: 천 달러, %)
순위 |
품목명 |
HS Code |
2014년 |
2015년 | ||||
수출액 |
증감률 |
비중 |
수출액 |
증감률 |
비중 | |||
1 |
초음파영상 진단기기 |
901812 |
780 |
-32.8 |
18.7 |
1,712 |
119.4 |
32.3 |
2 |
기타(엑스선,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사용기기) |
902214 |
1,185 |
284.4 |
28.4 |
1,371 |
15.7 |
25.9 |
3 |
그 밖의 기기(의료·수의) |
901890 |
262 |
-54.1 |
6.3 |
496 |
82.2 |
9.4 |
4 |
기타 |
901819 |
157 |
89.2 |
3.8 |
328 |
108.6 |
6.2 |
5 |
기타 |
901849 |
73 |
-22.6 |
1.8 |
263 |
259.2 |
5.0 |
자료원: KITA
□ 진출 방안
ㅇ 이라크 내 수요 증대 제품 및 수출 유망한 제품의 경우, 사전에 이라크 보건부 벤더로 등록
ㅇ 이라크 보건부와의 우호적인 관계 확립 및 보건부 상대 적극적인 마케팅 필수
- 직접 방문이 어려운 관계로, 인근 두바이 등의 박람회나 전문전시회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
- 또한, KOTRA 제공 지사화 서비스 가입 시 현지 에이전트 등과의 상시적인 업무 연락 및 모니터링에 도움
- 이라크를 직접 방문하기 어려울 경우, KOTRA 주관 행사 및 관련 전시회에 이라크 보건부 관련 인사 초청 및 교육프로그램 제공, 한국 제품의 우수성 어필 필요
- 이라크 보건부 입찰 시, 요구사항에 신속한 대응을 위한 사전 준비 철저
ㅇ 이라크 의료시장 트렌드 파악 및 적극적인 대응
- 이라크 의료 전시회 참가, 의료기기 수입 바이어 및 유통채널에 대한 시장 정보 파악
- 현지 의료시장을 파악하고 있는 유능한 현지 에이전트와의 협력 체제 구축
- 미국이나 독일 등 이라크 시장 선점 업체 제품 대비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적절한 가격 설정
ㅇ 제품에 대한 현지 사후지원 서비스 강화
- 제품의 판매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품 공급 등 사후지원 서비스 강화
- 부품이나 기타 서비스에 대한 보증서 발급
ㅇ 한국 의료기기 수출 정부 관련 기관의 현지 시장 및 담당기관에 대한 정보 제공 시스템 확립
- 수입 절차, 등록절차, 관세 등 수출 시 업체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 제공 시스템 확립
- 수출 애로 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현지 관련 기관과의 협조 체계 확립
□ 유의사항
ㅇ 이라크는 현지 진출 시 현지 에이전트를 통하지 않고는 시장 진입이 어려운 실정
- 현지 대리인 및 에이전트 고용 시 반드시 이라크 통상부로부터 무역업 허가를 받았는지 확인 필수
- 최근 이라크 정부 납품 및 투자가를 사칭한 온라인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으므로 사기 방지를 위해 반드시 KOTRA 바그다드 무역관으로 연락해 확인하길 권장
ㅇ 이라크 정부기관의 행정 미비로 인한 애로사항
- 제출 서류나 요구사항을 반드시 기한 내 제출해 불필요한 지연을 방지하는 것이 좋음.
- 정부기관이라도 연락할 수 있는 번호가 없으며, 이메일로 연락 시 답변을 받기까지 장시간 소요
· 이라크는 유선전화 시스템이 완전히 붕괴돼 있는 상태로, 공공부문이나 공무원 역시 무선전화만을 활용하기 때문에 전화번호 제공을 꺼리는 경향이 있음.
자료원: BMI Report, KITA 및 KOTRA 바그다드 무역관 자료 종합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