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남아공 천연의약품 시장 현황
- 등록일2017-01-17
- 조회수555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1-10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남아공#천연의약품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남아공 천연의약품 시장 현황
- 천연의약품 판매총액 상승세 -
- 수면유도 관련 제품과 소아 식품 보조제에 대한 관심 증가 -
□ 개요
ㅇ 2016년 남아공 천연의약품 시장 총 판매액, 전년대비 9% 상승해 6억7000만 랜드
ㅇ 천연의약품 관련 모호한 규제가 소비자 신뢰도 및 신제품 개발에 영향
ㅇ 소아용 식품 보조 허브 제품은 2016년 성장률 13% 기록
ㅇ ‘Pharma Natura’가 전체 판매액의 11% 차지하며 업계 내 판매 순위 1위
ㅇ 판매액은 향후 연평균 성장률 3%로, 2021년에 7억9000만 랜드 전망
□ 현황
ㅇ 총판매액 증가, 이유는?
- 건강을 염려하는 소비자들이 신체 전반에 영향을 주는(부작용이 따를 수 있는) 의약품을 대체할 천연 약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
- 또한, 중산층 이상의 소비자들은 흑인 커뮤니티의 전통 생약 치료제가 아닌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고가의 천연의약품에 관심이 많으며, 구매량이 증가하는 추세
- 또한, 천연의약품과 관련된 규제(CAM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가 2013년 말 도입되며 이 산업 소규모 업체들에 재정적 부담이 가중돼, 제품 가격 상승으로 총판매액 증가에 영향을 끼침.
ㅇ 잔존하는 부정적인 인식
- 흑인 커뮤니티에서 불법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생약 치료제를 처방하는 전통 치료사(무속인) '쌍고마'의 영향으로, 천연의약품의 효능에 대한 소비자들의 신뢰가 불확실함.
ㅇ 천연의약품 내에서 판매량이 높은 분야: 기침, 감기, 알레르기, 열 치료제, 비타민, 식품 보조제
ㅇ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분야: 수면 유도 관련 제품, 소아 관련 제품
- 시중 판매 중인 수면제/수면유도제의 부작용을 염려하는 소비자들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허브 약재를 찾음.
- 수면 관련 제품은 천연의약품 전체 판매량의 3%를 차지하는 틈새시장이지만, 관련 주식의 주가는 68% 증가할 정도로 관심 급증
- 2016년 소아의 식품 보조 생약 제품은 천연의약품 전체 총판매액의 13%를 차지
- 천연의약품이 비교적 고가이지만, 자녀들의 건강에는 가격보다 건강과 안전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심리에서 기인
종류별 총판매액
(단위: 백만 랜드)
|
2013 |
2014 |
2015 |
2016 |
국소 진통제 |
51.2 |
57.6 |
64.6 |
72.4 |
수면 유도 제품 |
14.1 |
15.7 |
17.6 |
19.8 |
기침, 감기, 열, 알레르기 |
144.7 |
154.9 |
166.3 |
179.4 |
소화불량 치료제 |
50.9 |
55.7 |
61.0 |
67.2 |
피부 치료제 |
18.7 |
20.1 |
21.7 |
23.6 |
소아 식품 보조제 |
10.1 |
11.2 |
12.5 |
14.1 |
식품 보조제 |
206.7 |
223.0 |
240.0 |
258.7 |
강장제 |
27.5 |
30.5 |
33.7 |
36.9 |
합계 |
523.8 |
567.7 |
617.4 |
671.9 |
자료원: Euromonitor
□ 경쟁적 동향
ㅇ 브랜드 파워 적고, 이름 없는 소규모 브랜드 제품 다수
- 소비자가 선호하는 제품은 브랜드와 관계없이 품질이 좋고 유통망이 잘 형성돼 있는 제품과, TV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많이 노출된 제품임.
- 그나마 가장 파워 있는 브랜드는 Pharma Natura로, 전체 판매액의 11% 차지
- 기타 Weleda, Vitaforce, Vicks, Bettaway, Herbaforce 등의 브랜드가 있음.
판매 순위 1위 업체 Pharma Natura의 시중 판매 제품
주: 소화불량 및 구토 증세 완화 제품, 가격은 97.95랜드(한화 약 8000원)
자료원: Clicks
□ 시사점 및 전망
종류별 총판매액 전망
(단위: 백만 랜드)
|
2017 |
2018 |
2019 |
2020 |
국소 진통제 |
76.4 |
80.4 |
84.1 |
87.5 |
수면 유도 제품 |
21.2 |
22.7 |
24.5 |
26.6 |
기침, 감기, 열, 알레르기 |
183.5 |
188.1 |
193.0 |
198.5 |
소화불량 치료제 |
70.4 |
73.9 |
77.7 |
81.9 |
피부 치료제 |
24.2 |
25.0 |
25.8 |
26.7 |
소아 식품 보조제 |
15.0 |
15.9 |
16.7 |
17.6 |
식품 보조제 |
264.4 |
270.7 |
277.3 |
283.6 |
강장제 |
38.0 |
38.9 |
39.5 |
39.7 |
합계 |
693.1 |
715.7 |
738.6 |
762.1 |
자료원: Euromonitor
ㅇ 천연의약품 관련 규제(CAMs)의 영향
- 규제 때문에 제품 가격은 증가하겠으나, 소비자의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
- 인증을 받지 않는 전통 치료사(무속인)의 불법 처방 약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고, 검증된 제품은 소비자들이 신뢰할 수 있게 될 것
ㅇ 총판매액 지난 6년간 성장률 14%, 향후 5년간 성장률 17% 전망
- 중산층 이상의 소비자들이 점점 더 천연의약품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됨.
- 특히 스트레스가 많고 잠이 부족하지만 양약 수면제의 부작용을 우려하는 현대인의 특성상, 수면 유도 제품은 8%의 성장률 전망
ㅇ 이미 한국에서 효과가 검증되고 품질 좋은 천연의약품 진출 기대
- 검증된 효과와 좋은 품질을 알릴 수 있는 적절한 광고가 뒷받침되면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전망
자료원: Euromonitor, Clicks 및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자료 종합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