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화장품 - 2015 화장품 제조·유통 조사

  • 등록일2017-02-28
  • 조회수5035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화학・에너지
  • 자료발간일
    2017-02-23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 원문링크
  • 키워드
    #화장품#제조조사#유통조사#화장품제조#2015화장품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화장품 - 2015 화장품 제조·유통 조사

 

[ 차 례 ]

 

요약문

 

제1장 서론 및 조사설계
1. 연구 개요
2. 조사 내용 및 방법
3. 조사방법 및 표본설계

 

 

제2장 조사 결과
1. 조사 현황
2. 업체 일반 구조
3. 업체 매출 구조
4. 업체 유통 구조
5. 업체 인력 구조
6. 연구개발 현황
7. 유전자원 이용 현황
 

 

제3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부록
1. 주요 용어 해설
2. 조사 매뉴얼
3. 설문조사표

 

 

요 약 문

 


1. 연구목적
?화장품산업은 전반적인 저성장 경제상황에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미래 신성장동력산업으로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분야이나, 현재 화장품관련 산업에 대한 통계는 제조판매업체에서 보고한 생산실적과 수출입실적 위주로 정부의 정책수립 및 기업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음

 
?또한 통계청에서 전체 산업 관련 조사를 수행하고 있으나, 화장품산업 정보만을 획득 하기에 산업분류체계가 상이하고 조사항목이 부족하여 정확한 산업의 규모 및 동향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본 조사를 통하여 매출현황, 유통현황 및 화장품 분야 인력현황 등 세부 통계를 조사하여 관련 정책 결정 및 산업체의 의사 결정 등에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자 함

 

 

2. 연구내용
?본 조사는 화장품 제조판매업체를 대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조사하고자 함
- 매출 및 일반 현황
- 유통 및 인력 현황
- 연구개발 현황
- 유전자원 이용 현황

 


3. 연구방법
?국내외 화장품 산업과 관련된 정부 및 민간 부분의 조사 내용 및 결과를 분석하고 타 산업 실태 조사와 관련하여 국내 조사표, 조사방법 등 관련 자료를 수집?고찰함
?본 조사는 조사원이 업체들을 방문하여 업체 관계자에게 직접 작성하게 하며, 제한적 배포 조사의 경우 방문면접조사와 동등하게 검증함

 

4. 연구결과
?2015 화장품 제조?유통 조사를 분석한 결과 화장품 제조판매업체는 4,597개이며, 화장품 제조판매업체로서 매출은 19조 5,509억원으로 추정됨. 이 중 국내매출은 17조 4,082억원, 수출은 2조 1,427억원으로 나타남
?제조판매업체로서 매출 중 자사브랜드로 판매한 매출은 15조 5,798억원이며, 그 중 직접 생산하여 판매한 매출은 7조 7,243억원, 타사에 위탁생산하여 자사브랜드로 판매한 매출은 7조 8,554억원임. 그리고 화장품을 수입하여 상품으로 판매한 매출은 3조 9,711억원으로 나타남

 

?설립근거별로 개인사업체 매출은 7,851억원(4.0%)이며, 법인회사 매출이 18조 7,658억원(96.0%)으로 법인회사 매출 비중이 크게 나타남
?제조판매업 기능성화장품 매출은 5조 3,621억원이며, 이는 전체 화장품 제조판매 매출액의 27.4%임. 기능성화장품 매출액 중 자사브랜드로 판매한 화장품의 매출비중은 76.1%, 수입하여 판매한 매출 비중은 23.9%로 나타남

 

?한방화장품을 제조판매하는 업체는 252개로 전체 제조판매업체(4,597개)의 5.5% 정도이며, 한방화장품 매출은 2조 3,884억원으로 전체 매출(19조 5,509억원)의 12.2%에 해당함. 유기농화장품을 취급하는 업체는 426개로 제조판매업체의 9.3% 정도이며, 유기농화장품 매출은 7,405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3.8% 수준임

 

?화장품 제조판매업체가 자사브랜드로 판매한 화장품의 국내 유통채널별 판매 구성비를 살펴보면, 온라인쇼핑몰이 37.2%로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다음으로 일반전문점(21.4%), 의료기관(병원 및 의원) 및 약국(10.8%), 방문판매(5.3%), 면세점(4.1%), 브랜드숍(2.4%) 등 순으로 나타남

 

?수입한 화장품의 국내 유통채널별 판매구성비를 살펴보면, 온라인쇼핑몰을 통한 판매가 38.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일반전문점(13.6%), 방문판매(7.4%), 백화점(5.8%), 브랜드숍(5.3%) 등 순으로 나타남
?제조판매업 화장품 분야 인력은 61,676명으로 추정됨. 이를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비중이 58.3%로 남성(41.7%)에 비해 많으며, 국내제조와 수입으로 나누어 보면, 국내제조 인력이 47,915명(77.7%)으로 수입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인력 13,761명(22.3%)보다 많음. 종사상지위별 인력현황을 보면, 상용근로자가 58,476명(94.8%)으로 대부분을 차지함

 

?화장품 제조판매업체(4,597개) 중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업체는 1,527개(33.2%)이며, 그 중 연구소를 보유한 업체는 624개임. 화장품 제조판매업 연구개발비 규모는 1조 8,629억원으로 추정되며, 연구소를 보유한 업체의 연구개발비가 1조 5,292억원(82.1%)으로 대부분을 차지함. 전체 연구개발비 중 화장품 분야 연구개발비는 7,032억원(37.7%)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