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카자흐스탄(Kazakhstan) 제약시장 진출정보
- 등록일2017-03-22
- 조회수4702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3-07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 원문링크
-
키워드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제약시장#진출정보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우즈베키스탄(Uzbekistan)·카자흐스탄(Kazakhstan) 제약시장 진출정보
제약산업지원단
김경현, 정순규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원자재 수출 위주의 경제구조를 형성해왔음
최근 정부는 장기적인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자국 제조업을 육성하고, 기술도입과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투자를 늘리고 있음
수입에 의존하던 제약산업도 중점적으로 육성하려는 부문 중 하나로, 주요 정책방향을 고려한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수립이 필요해보임
[ 목 차 ]
1. 최근동향
2. 제약시장 분석
3. 무역환경
4. 제약시장 진출현황 및 전략
5. 요약 및 시사점
Ⅰ 최근동향
1. 우즈베키스탄
가. 제약시장 동향
우즈베키스탄 제약산업 규모는 2015년 기준 약 9.5억불로, 연평균 6% 이상 꾸준히 성장하여 2025년 17.6억불(약 2조원) 규모를 형성할 전망
?정부 주도의 안정적인 경제성장 및 가처분 소득 증가가 의약품 소비량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임
?영국, 터키, 인도, 독일 등에서 우즈베키스탄 제약 분야 외국인직접투자(FDI) 활발함
1991년 독립 이후 외자사 제품 및 원료가 제약시장의 대부분을 점령하면서, 정부는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산업 육성을 위한 수입대체 정책을 추진하고 있음
?보건부 등록 의약품(6,866개) 중 약 78%는 수입산이며, CIS 국가 제품이 25% 차지
?수입대체 정책 주요 목표 : 필수의약품 백신 수혈시스템 자급, 생산 품목 확대(신규 100여 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