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보건산업 기업·전문가 패널구축 및 이슈조사
- 등록일2017-04-12
- 조회수4600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4-05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 원문링크
-
키워드
#보건산업 기업#전문가 패널구축#이슈조사#보건산업 전문가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보건산업총괄 - 보건산업 기업·전문가 패널구축 및 이슈조사
[ 목차 ]
요약
제1장 조사개요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4. 조사 개요
5. 응답자 특성
제2장 보건산업 기업 대상 경기전망 조사결과
1. 제약 부문
2. 의료기기 부문
3. 화장품 부문
별첨
[ 요 약 ]
1. 국내 경기 및 산업 시장 전망
? 2017년 국내 경기 전망에 대해 긍정적 응답 비율은 제약 산업체가 4.0%, 의료기기 8.7%, 화장품 9.0%로 낮은 반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나쁠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음. 반면 각 산업의 시장에 대한 전망은 제약 산업체의 55.2%, 의료기기 46.4%, 화장품 48.1%가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해 경기 전망과 산업에 대한 시장 전망에 다소 차이가 있음
경기전망의 긍정적 요인으로 제약과 화장품에서는 ‘세계경장성장 및 금융시장 안정에 따른 경제 불확실성 축소’가 가장 높은 반면, 의료기기에서는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정책’이 가장 높게 꼽힘
부정적 요인으로는 3개 산업 모두 ‘가계부채 증가와 투자 위축으로 인한 내수 경기 침체’가 가장 높게 나타남
산업시장 전망의 긍정적 요소로 제약은 ‘가시적인 신제품 출시 임박’이 가장 높았으며, 의료기기는 ‘고령화로 인한 헬스케어 시장 확대’, 화장품은 ‘한류영향으로 인한 수출증가’ 및 ‘요우커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과 같은 트렌드적 요소가 높게 나타남
? 2015년부터 3년간 매출 및 수출액은 3개 산업 모두 연속 상승세임 제약은 2015년 매출 및 수출액이 총 9조 5,834억 원이며, 2015년 대비 2016년의 매출 및 수출액이 약 1.6% 성장, 2016년 대비 2017년에는 약 7.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의료기기는 2015년 매출 및 수출액이 2조 1,274억 원이며, 2015년 대비 2016년 20.5%, 2016년 대비 2017년에는 약 7.2% 성장할 것으로 전망함
화장품은 2015년 매출 및 수출액이 6조 1,991억 원이며, 2015년 대비 2016년은 11.9%, 2016년 대비 2017년에는 13.8%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국내 매출의 증가 요인에 대해 제약은 ‘신제품 개발’이 가장 높아 2017년 제약산업 시장 전망의 긍정 요인으로 ‘신제품 출시 임박’을 꼽은 점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되며, 의료기기와 화장품은 ‘홍보/마케팅 강화’가 가장 높게 나타남. 반면 국내 매출의 감소 요인으로 3개 산업 모두 ‘내수 둔화 또는 감소’가 가장 높음
? 수출의 증가 요인에 대해서 3개 산업 모두 ‘글로벌 마케팅 강화’가 가장높았으며, 수출 감소 요인으로는 제약과 화장품은 ‘수출 현지국에서 경쟁사 대비 가격 경쟁력 열위’가 가장 높은 반면, 의료기기는 ‘환율 변동’이 가장 높게 나타남
? 3개 산업 모두 현재 수출을 가장 많이 하는 국가는 ‘중국’으로 나타남
제약은 중국 > 일본 > 베트남 > 필리핀 > 대만 등의 순으로 아시아 국가가 많았으며, 의료기기는 중국 > 일본 > 미국 > 베트남 > 이란 등의 순, 화장품은 중국 > 일본 > 미국 > 홍콩> 베트남 등의 순임(1+2+3순위 기준) 각 수출국에 대한 2016년 대비 2017년 수출량은 3개 산업 모두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