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2016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I - 알제리·모로코
- 등록일2017-05-29
- 조회수4597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5-17
-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 원문링크
-
키워드
#의약품#해외시장#알제리#모로코
- 첨부파일
출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HISS 보건산업통계
2016 의약품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인허가 및 시장정보 II - 알제리·모로코
[목 차]
I. 기획개요
II.인허가 및 시장정보 (알제리)
제1장 의약품 시장 동향
제2장 의약품 정책 동향
제3장 의약품 규제 일반
제4장 처방 및 판매, 약가관리, 약사감시
III. 인허가 및 시장정보 (모로코)
제1장 의약품 시장 동향
제2장 의약품 정책 동향
제3장 의약품 규제 일반
제4장 처방 및 공급 요건, 약가관리, 약사감시
I. 기획개요
1. 배경 및 필요성
□ 2015년 기준 약 1,200조원1) 규모에 이르는 세계 제약시장은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 확대, 고부가가치 의료기술 등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 전망됨
?의료 서비스 접근성 향상으로 인한 중국, 인도, 브라질 등 파머징국가의 시장 성장이 유망하며, 특히 러시아, 브라질은 연평균 10% 이상 성장 기대됨
?전통적인 제약 선진국 시장인 미국, 유럽, 일본 등은 매년 3∼6% 정도로 성장하며 글로벌 시장의 약 60% 이상 점유하고 있음
?세계적인 고령화로 인해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항암제 등 바이오의약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제약시장의 약 20%이상 차지
?줄기세포 재생의학, 유전체 정밀의학 등 첨단 의료기술이 접목된 제품에 대한 수요에 힘입어 바이오·제약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임
□ 반면 한국 제약산업은 약 19조원 규모로 세계시장 대비 2% 미만의 비중을 보이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투자와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
?제약시장 순위에서 한국은 2015년 기준으로 13위를 차지했으며2), 5년 전 순위와 비교했을 때 인도, 브라질 등 신흥국보다 성장 속도가 뒤처지고 있음
?제약산업 연평균 성장률 또한 1% 미만으로 더딘 성장률을 보임
?그러나 글로벌 시장에서 팔리는 우수한 신약 개발, 오픈이노베이션 성공사례 창출 등 국내를 넘어 세계시장으로의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어, 향후 전망은 고무적임
?제약산업은 첨단 과학기술, 융복합 응용기술 등이 요구되는 산업이라는 점에서 전문인력·기술력이 풍부한 우리나라의 먹거리 산업으로 적합하다는 평가
□ 국내 제약기업들은 세계시장으로의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의약품 수출 확대·글로벌 신약개발 등의 성과로 이어지고 있음
?2016년 기준 27개 신약 및 58개 개량신약을 출시하는 등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 100대 제약기업 내 국내기업 4개사가 진입하였음4)
?국내 제약사가 직접 개발한 신약의 미국·유럽 등 선진 시장 판매가 본격화 되었고, 글로벌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 사례 또한 다수 등장
?2014년까지 국내 제약사 32개사의 기술 164건이 해외 35개국에 수출된 것으로 분석되며, 2010년 이후 연평균 18.4건의 해외 기술수출에 성공한 것으로 분석5)
?원료 및 완제의약품 수출 실적은 지난 5년 간 매년 13%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음(’10년 15억불 → ’15년 29억불)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크로아티아 일반의약품 시장 동향
-
다음글
- 이란 의료기기시장 현황 및 등록절차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