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동향

  • 등록일2017-06-07
  • 조회수820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동향

 

김하민 러시아 모스크바무역관

 

□ 러시아 농축산업 확대

 
  ㅇ 2014년 러시아 정부의 서방산 식품 수입금지조치로 러시아 농축산 기업들이 생산을 확대하면서 동물용 의약품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음. '러시아 수의협회'에 따르면, 러시아의 동물용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6억3000만 달러이며, 2017년에는 약 6억9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ㅇ 러시아의 농축산업 발전으로 러시아의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소비에 대한 자급률(self-sufficiency rate)은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가금류의 경우 2020년경에 자급률이 100%에 이를 것으로 전망
 


주요 육류의 러시아 자급률(%)

 

8-1.png

자료원: Business Monitor Online
 

러시아 축산산업 생산 및 소비량 

 

8-2.jpg

자료원: Business Monitor Online

 

□ 전체 시장의 70%를 해외 수입에 의존
 
  ㅇ 동물용 의약품은 품목 특성상 단기간 내 러시아에서 개발·제조되기 어려워 여전히 수입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데, 러시아 전체 동물의약품 시장에서 수입제품의 비중은 약 70%로 추산됨. 나머지 30%인 러시아산 제품 중에는 외국산 원료를 수입해 제조돼 외국제품 브랜드로 판매되는 제품도 많음.
 
  ㅇ 2016년 러시아의 동물용 백신(HS Code 300230) 수입 규모는 2015년 대비 7% 증가했으며, 동물용 원료의약품(API, HS Code 3004)의 수입 규모도 2015년 대비 52% 증가한 837톤을 기록했음. 
 
  ㅇ 러시아의 동물의약품 회사인 RNX Pharma사에 따르면 2016년에 러시아가 수입한 동물의약품 규모는 220억 루블이며, '사료첨가물과 프리믹스(feed additives and premixes)'의 수입 규모는 91억 루블임. 
 
  ㅇ 2016년에 러시아의 동물용 의약품 수요는 12.7% 증가한 반면, 수입은 4.4% 증가해 수입규모 확대 여지가 매우 높음.

 

러시아의 월별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첨가물(feed additives) 수입 규모

                                                                                                          (단위: 십억 루블)

 

8-3.png



자료원: RNX Pharma
 


  ㅇ 러시아가 수입하는 원료의약품 종류도 2015년에 61개에서 2016년 72개로 크게 증가했으며, 최근 7년간 수입된 원료 의약품 종류 수는 3배가량 증가
 

□ 면역제, 항균제, 살충제 중심의 시장구조
 
  ㅇ 2016년 상반기에 러시아가 가장 많이 수입한 동물용 의약품은 면역의약품(immune biological drug), 항균제(system antibacterial drug), 살충제류(antiphrastic drug, insecticides and repellents) 순으로 나타남.

 

2016년 상반기 주요 동물 의약품별 러시아 수입규모(%)

 

8-4.png

자료원: RNX Pharma


  ㅇ 백신의 경우 네덜란드, 미국이 러시아 전체 수입규모의 58%를 점하고 있음. 한국은 2016년 러시아의 동물용 백신 수입 대상국 순위에서 14위를 차지했음. 

러시아 동물용백신(HS Code 300230) 수입현황

                                                                                                           (단위: 천 달러, %)



8-5.jpg

 

자료원: http://www.trademap.org

 
  ㅇ 동물용 항생제(Medicines containing other antibiotics, HS Code 3004 20)의 경우 2016년 러시아의 수입시장 규모는  4억

4000만 달러로 주요 수입대상국은 이탈리아, 인도, 프랑스이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은 매우 미미한 수준임. 
 


동물용항생제(HS Code 3004 20) 수입 대상 국가   

                                                                                                                                    (단위: 천 달러, %)


8-6.jpg

자료원: http://www.trademap.org
 

?□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 ?
?  ㅇ 러시아가 한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동물의약품 규모는 아직 그리 높지 않아 전체 수입시장 점유율에서 한국은 백신분야 14위, 항생제 분야 30위 내외의 수준을 점하고 있음. 그러나 동물용 백신제품의 경우 한국으로부터의 수입 규모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에는 전년대비 45% 증가했음. ?
?

?

?2016년 러시아의 동물의약품 수입 대상국가에서 한국의 순위?

 

8-7.jpg


2016년 상반기 러시아 동물의약품 수입시장 상위 10위 기업들의 점유율 및 성장률

 

8-8.jpg



자료원: RNX Pharma

 

2016년 상반기 러시아 동물의약품 수입시장 상위 15위 제품 점유율 및 성장률

 

8-9.jpg

ㅇ 러시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동물용 의약품은 백신으로 전체 동물용 의약품 생산의 약 60%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는 '항균 및 항 기생충 약품'이 많이 생산됨. 용도 측면에서는 조류용 의약품 생산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미생물을 사용하는 '프로바이오틱' 의약품 생산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는데 러시아는 내성 균주 생성 및 저장, 대량생산 시스템을 갖춘 것으로 알려짐.

 


러시아 주요 동물용 의약품 제조사

 

8-10.jpg

자료원: Techart

 

2013년 러시아의 동물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조사(2013년)

 

8-11.jpg

자료원: Strategic Programme for Research Technology Platform BioTeh2030 and Frost Sullivan

 

ㅇ 러시아에서는 동물용 사료가 많이 생산되나 아직까지 사료에서 곡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75% 정도로 EU의 40%보다 매우 높은 편임. 사료에 배합되는 프레믹스나 단백질 및 비타민 보충제 등은 수입 의존도가 매우 높음.

 

ㅇ 프레믹스나 사료 보충제에 필요한 일부 물질이나 재료를 생산하는 러시아 기업으로 볼고그라드 지역의 Volzhsky OrgSynthez 사가 있는데, 이 회사는 연간 25 톤의 메티오닌(아미노산)을 생산할 수 있으며, 생산 물량의 약 70%를 내수용으로 판매하고, 나머지는 수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주요 수입상
 
  ㅇ 러시아 동물 의약품 시장에서 수입은 크게 두가지 경로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서구 대기업들이 러시아에 법인을 두고 자사 제품을 위주로 수입해 러시아 내에서 판매하는 경우나 농기업 등과 네트워크를 보유한 중소 디스트리뷰터들이 수입해 공급하는 경우가 있음. 
 

 
러시아 주요 동물의약품 수입회사(제조 기능도 보유)

 

8-12.jpg

 

 

 

 □ 시사점


 ㅇ 약 6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는 러시아 동물의약품 시장은 러시아의 서방산 식품 금수조치의 지속과 러시아 정부의 농축산업 진흥 정책 확대로 당분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단기간 내 러시아 내에서의 의약품 개발과 대량생산이 어려운 만큼 러시아의 수입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ㅇ 네덜란드, 프랑스, 독일, 미국 등 서구 기업들의 수입시장 점유율이 여전히 매우 높으나 우리 기업 제품의 높은 품질과 가격 경쟁력에 대한 시장의 인식도 크게 향상되고 있어 우리 기업이 진출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음.

 

 ㅇ 단기간 내 거래가 어려운 품목의 특성상, 중장기 적으로 유력 전문 전시회에 꾸준히 참가해 잠재 바이어를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네트워킹하면서 신뢰를 쌓는 마케팅이 필요. 어느 정도 수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 지사나 법인 설립을 통해 현지 바이어들을 밀착 지원하는 방안이 지속적인 관리와 친밀한 관계 유지를 중시하는 이 분야의 특성상 더 큰 거래를 계속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음.

 

 ㅇ 중장기적으로 지속 확대되는 러시아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을 활용해 의약품 완제품뿐만 아니라 원료를 수출해 바이어가 현지 생산해 공급하게 하는 방법도 거래 리스크를 예방하고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할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음.

 

 ㅇ 동물의약품 인증은 매우 복잡하고, 규정 해석에 따라 인증기간이나 비용이 크게 달라지는 측면이 있으므로 현지 인증 전문기관이나 회사, 복수의 바이어들에게 사전에 세부적으로 문의해볼 필요가 있음.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