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스위스 제약 산업동향
- 등록일2017-07-04
- 조회수593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6-28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스위스#제약산업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스위스 제약 산업동향
- 스위스 프랑 강세 등의 악재에도 호조세 -
-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전망 -
김민혁 / 스위스 취리히무역관
□ 시장 규모
ㅇ 미국의 다국적 기업이자 제약 컨설팅 기업인 QuintilesIMS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스위스의 제약시장은 전년대비 4.7% 성장한 약 56억 스위스 프랑을 달성함. 기타 스위스의 주요 산업인 귀금속, 시계, 기계 등이 스위스 프랑의 강세와 세계 경기 등으로 인해 악화된 데 반해, 스위스의 제약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14~2016년 제약 시장 규모 변화
(단위: 백만 스위스 프랑)

자료원: QuintilesIMS
ㅇ 2015년 기준 스위스 제약시장 규모는 공장 출고가를 기준으로 했을때 전년 대비 5.3% 증가했음. 주요 원인으로는 신규 항Hepatitis-C제와 기타 신규 항바이러스제의 시장 도입이 지적되고 있음.
- 바이오 분야의 성장률은 0.4%에 그침. 전체 제약시장에서 바이오 분야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기준 17.3%로 전년 대비 0.4%p 감소했음.
2013~2015년 스위스 제약시장 규모
(단위: 백만 스위스 프랑)
구분 |
2013 |
2014 |
2015 |
총 규모 |
5,077.2 |
5,113.0 |
5,382.6 |
이중 바이오 |
918 |
925 |
929.1 |
암 |
33.3% |
33.0% |
31.4% |
류머티스 |
20.6% |
20.9% |
23.2% |
다발성 경화증 |
13.3% |
12.1% |
10.0% |
눈 관련 |
6.9% |
7.3% |
7.2% |
당뇨 |
6.6% |
6.7% |
6.9% |
혈종 |
5.4% |
5.1% |
4.6% |
접종 |
3.8% |
4.0% |
4.2% |
성장호르몬 |
2.8% |
2.7% |
2.8% |
기타 |
7.3% |
8.2% |
9.7% |
주: QuintilesIMS와 Interpharma 등의 자료들은 각 기업들과 협회의 기준에 따라 약간은 차이가 있음.
현재 제공되는 자료는 2016년도에 대한 자료를 찾기 힘듬으로 2015년도 자료 참고 바람.
자료원: Interpharma, IMS Health Schweiz(공장 출고가 기준)
- 유통 채널별 비중은 2015년 기준 약국 52%, 직접처방의사 24.1%, 병원 22.7%, 드럭스토어 1.3% 순임. 전년 대비 규모 증가율은 약국 6.4%, 병원 5.1%, 직접처방의사 3.5%, 드럭스토어 -2% 순으로 드럭스토어만 감소세를 기록함.
· 2015년 기준 유통 채널 수: 약국 1774개소, 직접처방의사 5809개소, 병원 333개소, 드럭스토어 533개소
□ 무역 동향
ㅇ 2015년부터 시작된 스위스 강세에 따른 스위스 시장의 악영향에도 고부가가치의 제약산업은 이에 구애받지 않고 수입과 수출 모두 호조세를 보임.
- swissinfo에 따르면, 시계 제작자·공작기계 업계·관광산업이 침체돼 있는 동안 스위스 제약산업은 스위스 프랑 강세와 세계 경제의 난황 속에도 제약분야를 구성함. 또한 제약회사 250개사가 880억 스위스 프랑 상당의 의약품 및 기타 제품을 수출해 전년 대비 15% 증가한 기록적인 수치를 달성했다고 전했음. 또한 제약업계는 스위스 수출의 총 가치 40%가량을 차지하며, 화학산업과 결합되면 벌어들인 외화의 절반가량을 가지함.
- 수출 증가와 더불어 수입 증가가 뒤따랐으며, 증가한 총 수입량 6조8000억 스위스 프랑 중 화학과 제약업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해당함.
제약 및 화학산업이 총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
(단위: %)

주: 스위스 프랑의 강세와 세계 경제 악화로 인해 기타 주요 스위스 수출 품목이 2015년에 하락하는 한편,
제약산업과 화학산업은 1988년부터 스위스 수출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음.
2016년 제약산업과 화학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44.77%임.
자료원: Federal Customs Administration, Get the data
□ 수출 동향
ㅇ 스위스 제약 수출입 현황
- 스위스의 수출은 2016년 3.8%(실질 -0.8%) 증가한 2107억 스위스 프랑임. 그러나 그 결과는 의약 및 의약품의 가격 추세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 수출은 분기별로 강세를 보였으나 2016년 4분기에는 하락했음.
- 수입은 2015년과 비교해 4.1% 증가(실질 +1.2 %)해 1732억 스위스 프랑으로 집계됐음. 2016년 하반기 이후 수입량이 하락했음.
· 2016년의 특이성으로는 EU와의 대외 무역이 증가했고 미국, 중국, 일본 등에서 기록적인 수출이 발생했음.
2011~2016년 분기별 스위스 제약 수입 및 수출
(단위: 십억 스위스 프랑)

자료원: SNB(SNBCHF.com)
- 2016년 기준 주요 수출대상국은 미국(22.9%), 독일(11.67%), 영국(7.61%), 벨기에(5.6%), 중국(5.16%) 순이며, 한국 대상 수출은 6억6000만 달러로 0.99% 비중을 차지함(16위). 주요 수출품목은 의약품 59.22%(HS Code 3004), 면역혈청?물품 등 39.1%(HS Code 3002)임. 2017년 1분기 기준 수출규모는 18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4.1% 증가함.
- 2016년 기준 주요 수입대상국은 독일(29.1%), 미국(16.6%), 이탈리아(13.1%), 오스트리아(9.4%), 스페인(7.8%) 순이며 한국 대상 수입은 1억8000만 달러로 0.75% 비중을 차지함(13위). 주요 수입품목은 의약품 67.4%(HS Code 3004), 면역혈청·물품 등 30.3%(HS Code 3002)임. 2017년 1분기 기준 수입규모는 68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0.9% 증가함.
□ 산업동향 및 이슈?트렌드 등
ㅇ 2016년 기준 주요 수치
- BMI에 따르면 기준 제약 분야 소비지출은 약 70억9000만 스위스 프랑(약 69억6000만 달러) 수준인 것으로 추정됨. 이는 총 GDP 대비 1.1%, 전체 보건 지출의 9.2%에 해당함. 고부가가치 혁신약품으로 시장이 구성됐으며, 특허약이 전체 제약 판매의 66%(약 47억 스위스 프랑) 차지함. 제네릭과 OTC의 비중은 각 14%, 20%에 달함. 스위스 제약회사의 생산제품의 약 90%를 수출하며 완제품의 비중이 약 70% 수준에 달함.
ㅇ 인허가
- Swissmedic을 통해 신약 허가에 약 11개월 소요, 매우 빠른 편. 허가 소요비용은 약 7만 스위스 프랑임(빠른 진행은 10만5000스위스 프랑).
ㅇ R&D 지원
- Swiss Federal Commission for Technology and Innovation(KTI)를 통해 연간 약 1000개 산학 협력 프로젝트에 연구비용 최대 50%를 지원 중. 매출 대비 10% 이상 연구에 투자하는 스위스 중소기업은 EU의 Eurostar 지원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음.
□ 전망
ㅇ 내수산업
- 스위스의 제약 내수시장은 고령인구 비중의 확대, 높은 소득 및 의식 수준으로 인한 고품질 약품 선호 경향 등으로 지속 확대가 예상됨. 단, 보건분야의 지출 감축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 가격 규제가 나타날 수 있음.
ㅇ 수출산업
- 제약 분야의 수출은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지속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됨. 원가절감을 위해 인도, 중국 등의 아웃소싱 확대가 가능하긴 하나 현지 생산 품질을 고려할 시 아웃소싱은 당분간은 단순물질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됨.
□ 참고 자료
ㅇ 주요 제약분야 기업
구분 |
매출액(백만 CHF) |
종업원 수 |
홈페이지 |
Roche Holding AG |
48,145 |
91,747 |
|
Novartis AG |
46,943 |
118,700 |
|
Lonza Group AG |
3,803 |
10,000 |
|
Actelion Ltd. |
2,045 |
2,547 |
|
Ferring Pharmaceuticals |
1,605 |
5,000 |
|
Vifor Pharma AG |
967 |
70 |
|
Siegfried Holding AG |
480 |
2,383 |
|
ISBA Institut Biochinique SA |
450 |
1,400 |
|
Acino International AG |
275 |
1,276 |
|
Bachem Holding AG |
208 |
859 |
자료원: Handelszeitung(2015년 매출액 기준)
ㅇ 주요 드럭스토어·약국 프랜차이즈
구분 |
매출액(백만 CHF) |
종업원 수 |
홈페이지 |
TopPharm AG |
400 |
1500 |
|
Mueller Handels AG Schweiz |
200 |
미공개 |
|
Topwell-Apotheken AG |
120 |
520 |
|
Swidro |
89 |
미공개 |
|
Yves Rocher SA |
34 |
미공개 |
자료원: Handelszeitung(2015년 기준)
자료원: KOTRA 취리히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