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한국, 싱가포르 화장품 수입국 4위로 우뚝 'K-뷰티의 힘'
- 등록일2017-07-12
- 조회수15478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17-07-03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싱가포르#k-뷰티#화장품
- 첨부파일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한국, 싱가포르 화장품 수입국 4위로 우뚝 'K-뷰티의 힘'
- 2016년 싱가포르 내 한국 화장품 수입액 전년 대비 90% 급증 ?
- 패스트 뷰티, 혁신적 원료로 트렌드 주도하며 현지 소비자 사로잡아 -
- 극과 극의 제품이 공존하는 경쟁시장, 숨은 수요 파악해 자신만의 시장 확보해야 ?
성지은 / 싱가포르 싱가포르무역관
□ 상품명
ㅇ 화장품(HS Code 3304)
□ 선정 사유
ㅇ 2016년 싱가포르의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전년 대비 90% 증가라는 폭발적 성장을 보임.
- 저렴한 로드숍부터 고가의 프리미엄 브랜드까지 최근 2년간 싱가포르 내 한국 화장품 매장 수 2.5배 증가
- 글로벌 기업의 동남아 진출 교두보이자 해외 화장품 기업의 연구소 밀집지인 싱가포르는 단일 시장 이상의 가치를 가지고 있음.
- 올해 초 아모레퍼시픽이 R&I(Research & Innovation) 연구소를 개소하며, 현지 공동연구 및 아세안 진출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보다 커지는 만큼 최근 동향과 향후 전망 파악의 필요성이 대두됨.
□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연평균 3% 지속 성장, 불황 타격 적음.
- 싱가포르의 뷰티 및 퍼스널케어 산업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내수 및 관광객 지출 감소, 노동비 증가 등 다양한 악재에도 불구하고 큰 타격 없이 꾸준히 성장함.
- 2011년부터 연평균 3%대로 지속 성장했으며 2016년 총 매출액 15억7420만 싱가포르 달러(약 1조2644억 원)로 전년 대비 약 2% 증가함.
<싱가포르 화장품, 퍼스널케어 시장 규모>
(단위: 백만 싱가포르 달러)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프리미엄, 일반 케어 제품 두루 인기
- 제품 항목 별 매출액을 살펴보면 프리미엄 케어 제품이 7억8330만 싱가포르 달러로 가장 높고, 일반 케어가 6억4110만 싱가포르 달러로 그 뒤를 이음. 고급 프리미엄 제품과 대중적 일반 제품이 비교적 고르게 양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연평균 성장률은 색조화장품, 선 케어, 스킨 케어가 각각 5.6%, 5.2%, 4%로 가장 높음.
<항목별 매출액>
(단위: 백만 싱가포르 달러)

주: 서로 겹치는 항목 있으므로 각 부문 총합이 전체 매출액보다 큼
자료원: 유로모니터
□ 경쟁동향
ㅇ 미국, 유럽 글로벌 거인 틈 K-뷰티 약진
- 시장 점유율 상위 10위권은 전통적 화장품 강자인 미국, 유럽 브랜드가 큰 비중을 차지함. P&G, 에스티로더 등 미국 기업이 총 25%로 1위이고 로레알, LVMH 등 프랑스 기업이 18%로 2위
- K-뷰티로 대변되는 한국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지는데, 2012년 1.5%의 점유율로 18위에 있던 아모레퍼시픽은 2016년 3.2%의 점유율로 7위에 올라섰음. 이 회사 브랜드인 라네즈는 지난해 LVMH의 크리스찬 디올을 제치고 10위로 진입함.
<상위 10개 기업 별 시장 점유율> <브랜드 별 점유율>
(단위: %)
순위 |
기업명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순위 |
브랜드명(기업) |
2013 |
2014 |
2015 |
2016 |
1 |
로레알 |
15 |
14.9 |
14.8 |
14.5 |
14.5 |
1 |
SK-II(P&G) |
3.6 |
3.7 |
3.8 |
3.8 |
2 |
P&G |
11.3 |
11.1 |
10.9 |
10.9 |
9.4 |
2 |
더바디샵(로레알그룹) |
2.7 |
2.8 |
2.7 |
2.7 |
3 |
에스티로더 |
6 |
5.9 |
6 |
6 |
6.1 |
3 |
시세이도(시세이도) |
2.2 |
2.1 |
2.1 |
2.2 |
4 |
유니레버 |
4.3 |
4.3 |
4.3 |
4.4 |
4.4 |
4 |
랑콤(로레알그룹) |
2 |
2 |
2 |
2 |
5 |
LVMH |
3.3 |
3.5 |
3.7 |
3.6 |
3.6 |
5 |
클라란스(클라란스) |
2 |
1.9 |
1.9 |
1.9 |
6 |
시세이도 |
3.8 |
3.5 |
3.2 |
3.3 |
3.4 |
6 |
에스티로더(에스티로더) |
1.5 |
1.5 |
1.5 |
1.6 |
7 |
아모레퍼시픽 |
1.5 |
1.9 |
2.3 |
2.8 |
3.2 |
7 |
도브(유니레버) |
1.4 |
1.4 |
1.4 |
1.4 |
8 |
콜게이트 |
3.2 |
3.2 |
3.1 |
3.2 |
3.1 |
8 |
키엘(로레알) |
1.1 |
1.3 |
1.3 |
1.4 |
9 |
존슨앤존슨 |
3.5 |
3.4 |
3.3 |
3.3 |
3.1 |
9 |
더페이스샵(LG생활건강) |
1.5 |
1.4 |
1.3 |
1.3 |
10 |
코티 |
2.1 |
1.8 |
1.7 |
1.6 |
2.9 |
10 |
라네즈(아모레퍼시픽) |
0.9 |
1 |
1.2 |
1.3 |
… | ||||||||||||
16 |
LG생활건강 |
1.5 |
1.5 |
1.4 |
1.4 |
1.3 |
21 |
에뛰드(아모레퍼시픽) |
0.7 |
0.8 |
0.8 |
0.9 |
자료원: 유로모니터
□ 소비자 동향
ㅇ 제품 다양해질수록 '심플(simplicity) 지향' vs '진정성(authenticity)지향' 고객 취향의 양극화
- 수많은 신규 브랜드와 제품이 쏟아져 나와 선택의 폭이 커질수록 고객 취향은 양극단 현상을 보임.
- 올인원 및 멀티기능 제품을 통해 간소화된 스킨케어를 추구하는 심플 지향파가 있는 반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한 단계별 스킨케어 과정이 제품 효과를 극대화한다고 믿는 진정성 지향파로 나뉨.
- 이러한 고객층 양극화는 '올인원 슬리핑 마스크'와 '3단계 시트 마스크'처럼 완전히 다른 제품군의 공존을 가능케 함.
ㅇ 천연화장품, 더마코스메틱(derma-positioned products) 수요 상승
-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이 있기는 하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싱가포르 소비자의 관심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이는 고가의 천연·오가닉 제품이나 기술집약적 더마코스메틱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짐.
- 특히 인터넷을 통해 제품 성분 및 제조 원리에 대한 확인이 쉬워짐에 따라, 합성 화학 성분을 피하고 천연 원료로 만들어진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 환경오염이 유발한 피부질환에 대한 인식 역시 높아져 건강한 피부에 대한 수요는 점점 늘어남.
ㅇ 끝없는 신제품 출시, 제품 수명 주기 짧아지고 경쟁 치열
- SNS와 블로그가 인기를 끌면서 다양한 브랜드의 등장으로 고객의 정보력이 높아졌으며, 이는 스킨케어와 자기관리에 대한 취향의 고도화로 이어짐.
- 까다로운 고객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신제품이 끊임없이 소개되므로 제품 수명 주기는 짧아지고 경쟁은 한층 치열해짐.
□ 수입동향 및 K-뷰티 현황
ㅇ 2016년 한국 화장품 수입액 전년 대비 90% 폭발적 증가
- 싱가포르 국제기업청(IE Singapore)에 따르면 싱가포르 내 한국 화장품 수입액은 2016년 1억4708만 싱가포르 달러(약 1207억 원)를 기록하며 4위에 오름. 이는 전년도 수입액인 7724만 달러 대비 90% 이상 증가한 수치로 10위권 내 교역국 중 최고치
<싱가포르 화장품(HS Code 3304 기준) 수입 현황>
(단위: 천만 싱가포르 달러, %)
순위 |
국가 |
2015년 |
2016년 |
증감률 |
1 |
프랑스 |
784,033 |
935,294 |
19 |
2 |
미국 |
308,575 |
355,623 |
15 |
3 |
일본 |
199,041 |
258,914 |
30 |
4 |
한국 |
77,246 |
147,086 |
90 |
5 |
중국 |
124,835 |
128,046 |
3 |
6 |
영국 |
85,708 |
94,164 |
10 |
7 |
이탈리아 |
36,211 |
67,932 |
88 |
8 |
벨기에 |
30,988 |
57,751 |
86 |
9 |
말레이시아 |
38,134 |
50,217 |
32 |
10 |
독일 |
48,513 |
38,875 |
-20 |
자료원: IE Singapore
ㅇ K-뷰티 매장, 2년 사이 2.5배 증가
- 2015년 50여 개였던 한국 화장품 매장 수는 2017년 상반기 124개로 2년간 약 2.5배 증가함.
- 자체 매장뿐 아니라 화장품 편집숍, 드럭스토어부터 백화점, 면세점에 이르는 다양한 판매처에 K-뷰티 브랜드가 진출해 있음.
<싱가포르 내 한국 화장품 브랜드 진출 현황>
기업 |
브랜드 |
매장 수(개) |
최초진출시기 |
아모레퍼시픽 |
라네즈 |
30 |
2003 |
에뛰드하우스 |
19 |
2009 | |
설화수 |
8 |
2012 | |
이니스프리 |
9 |
2013 | |
LG생활건강 |
더페이스샵 |
23 |
2007 |
빌리프 |
7 |
2012 | |
VDL |
5 |
2013 | |
후 |
1 |
2015 | |
에이블씨엔씨 |
미샤 |
9 |
2004 |
스킨푸드 |
스킨푸드 |
8 |
2010 |
토니모리 |
토니모리 |
2 |
2010 |
잇츠한불 |
잇츠스킨 |
3 |
2016 |
총 |
124 |
- |
□ K-뷰티 트렌드
ㅇ 싱가포르 밀레니얼 사로잡은 패스트 뷰티
- 일명 로드숍 브랜드로 분류되는 중저가 K-뷰티 브랜드들은 최신 트렌드를 즉각 반영해 빠르게 제작함으로써, 기존 백화점 브랜드에 비해 혁신적으로 단축된 상품 회전율을 자랑함.
- 이는 싱가포르 막강한 소비층으로 떠오른 2030 밀레니얼 세대에 주효했고 패스트 패션에 이은 패스트 뷰티의 선두주자로서 K-뷰티의 입지를 높임.
ㅇ 혁신적 원료, 감각적인 패키지로 차별화
- 천연 원료, 꽃, 찻잎, 달팽이, 해마, 당나귀유 등 독특한 동양의학 재료를 활용한 혁신 이미지 역시 K-뷰티의 차별화 요인으로 꼽힘.
- 디즈니, 카카오톡 등의 인기 캐릭터를 활용한 귀엽고 감각적인 패키지 역시 인기 요인
ㅇ 한류 스타 활약으로 남성 그루밍 문화 주도
- 한류에 힘입어 이민호, 김수현 등 남자 스타들이 뷰티 브랜드 홍보대사로 활동하자, 남성들도 보다 적극적으로 미용에 투자하는 일명 그루밍(grooming)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
- 에뛰드 하우스 싱가포르의 브랜드 매니저에 따르면, 싱가포르 남성 소비자들의 평균 화장품 지출이 늘고 있으며 주 구매 품목은 아이브로우 펜슬 및 BB쿠션 같은 제품이라고 함.
□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등 수출 관련 절차

ㅇ 아세안 화장품 위원회 제정 ACD 준수
- 대싱가포르 화장품 수출에는 아세안 화장품 위원회(ASEAN Cosmetic Committee)가 제정한 ACD(ASEAN Cosmetic Directive)가 적용됨.
- ACD의 규정 내용은 크게 화장품의 정의와 범위, 안전성 요건, 성분 규정, 라벨링, 제품의 효능, 제품 정보, 분석방법 총 7가지로 이뤄짐.
·세부 규정: www.hsa.gov.sg/content/hsa/en/Health_Products_Regulation/Cosmetic_Products/Overview.html
ㅇ HSA 제품 등록
- ACD 준수 여부가 확인되면, 보건과학청(HSA)에 제품 등록 후 이에 대한 접수확인 받아야 함.
- 제품 등록은 온라인 서비스(PRISM)를 이용해 가능하며, PRISM 등록을 위해서는 CRIS 인증*이 필요함.
* CRIS 인증: http://www.hsa.gov.sg/content/hsa/en/Health_Products_Regulation/CRIS.html
- CRIS 인증 후, HSA PIN 혹은 SingPass 발급 받고 PRISM을 통해 HSA에 제품 등록 가능함.
- PRISM에는 화장품 명, 함유 성분, 제조방법, 회사 명, 브랜드 명, 제조업자, 물품창고 등 수출품 관련 세부사항을 작성해야 함. 관련 서류 제출과 더불어 등록비를 납부해야 하고 PRISM에 제품 신고를 하는 것 외에는 별도의 라이선스 등은 필요하지 않으며, 제품 신고는 싱가포르에 등록된 회사만 가능함.
ㅇ 수입 신고
- 수입 신고를 위해 HSA 내 화장품 담당 부서(Cosmetic Control Unit)에 수출 화장품 관련 정보(제품명, 효능 등), 회사 브랜드명 등을 제출해야 함. 일반적으로 인보이스, 패킹리스트, B/L, A/N, 수입 신고서, 성분 분석 증명서, 원산지 증명서, BSE 증명서 등의 서류 준비가 필요함.
ㅇ 세금 납부
- 싱가포르는 주류, 담배, 자동차, 유류 제품 4가지 외에는 무관세이므로 화장품은 관세 없음.
- 단, 한국의 부가가치세와 비슷한 상품 및 서비스세인 GST 7% 납부해야 함.
□ 시사점 및 전망
ㅇ 극과극 상품 공존하는 경쟁 시장, 혁신 상품으로 자신만의 시장 확보가 관건
-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은 고가의 프리미엄 라인과 중저가 패스트 뷰티 상품이 고루 인기 있는가 하면, 초간단 올인원 제품과 단계별 스킨케어 제품이 동시에 등장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고객수요가 분포돼 있고 이에 따른 업체 간 경쟁도 치열함.
- 이처럼 정형화되지 않은 시장에서는 '일반적인 고객층'을 만족시키는 전략보다는 각자 브랜드가 가진 스토리와 강점을 바탕으로 한 상품으로 자신만의 시장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 즉, 기존 시장 '접근'보다는 나만의 시장 '발굴'과 '확보'가 중요함.
ㅇ 기술집약적 제품으로 신뢰와 혁신 이미지 갖추기
- 건강한 피부 관리와 웰빙을 추구하는 싱가포르 소비자들은 화장품 성분과 제조 원리에 과거 보다 높은 관심을 보임. 또한 동양의학 재료 활용한 K-뷰티 제품이 혁신 이미지를 갖고 있음.
- 따라서 천연 원료를 이용한 오가닉 제품이나 연구개발을 강조한 기술집약적 더마코스메틱 제품으로 품질에 대한 신뢰와 혁신 이미지를 모두 잡을 수 있음.
ㅇ 숨어있는 그루밍족, 관리하는 남자 공략
- 한류의 영향으로 관리하는 남자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미용에 투자하는 남성 고객이 늘어감에 따라 숨어있는 그루밍족의 수요를 찾아내 K뷰티 시장규모 확대를 꾀할 수 있음.
- 가령, 연중 열대성 기후에 노출된 싱가포르 남성들을 위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 보습 세럼, 마스크팩 등 새로운 니즈 파악 후 이에 어필할 제품 소개할 수 있음.
자료원: 유로모니터, IE Singapore, BMI,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각 브랜드 홈페이지, The Straits Times, 중앙일보, News1, 식품의약품안전처,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