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인도의 종자산업

  • 등록일2017-07-26
  • 조회수4823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식품
  • 자료발간일
    2017-07-17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인도#종자산업
  • 첨부파일

 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도의 종자산업

 

[목 차]

1. 서론

2. 인도의 종자시장
2.1. 개황
2.2. 종자 생산 부문
2.3. 종자 수출입 부문
2.4. 인도 정부의 종자산업 육성

3. 시사점

 

[요약문]
인도 정부는 종자산업 육성을 위해 금융 서비스 지원, 국제 종자 포럼 개최, 종자 관련 간행물 발행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에서 5번째로 큰 종자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지난 10년(2005-16년)간 인도의 종자 생산량은 141만 톤에서 344만 톤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종자 수출 규모 또한 증가하여, 2001년 6,340만 달러에서 2015년 4억 9,660억 달러로 8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본고에서는 인도의 종자시장 현황과 정부의 종자산업 육성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나라 종자산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1. 서론
종자는 농업의 시작이자 끝이다. 종자로부터 농업은 시작되고, 농업 활동의 결실은 종자로 마무리된다. 종자의 중요성은 축산업과 수산업에서도 예외 없이 적용된다. 값싸고 질 좋은 고기를 얻기 위해 사료곡물이라는 형태로 경종이 이루어진다. 이런 만큼 종자는 농업의 근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농업에 있어 우수한 종자를 확보하는 일은 단 한순간도 중요한 지위에서 내려온 적이 없다. 자가 채종이 이루어지던 과거에도 뛰어난 품질의 생산물은 다음 해 농사를 위해 보관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매년 새로운 종자가 개발되고 있으며, 종자만을 전문적 으로 취급하는 글로벌 대기업들이 출현하였다. 종자 무역이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으며, 종자로 인해 발생하는 로열티 규모도 무시하지 못할 수준에 이르렀다. 종자산업에 재료 산업과 바이오산업 등이 결합하면서 종자산업은 융 복합 산업이 되었고, 전 세계적인 종자 확보 경쟁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우수한 종자 확보가 곧 농업생산성 확보로 이어 지기 때문이다. 종자시장이 큰 국가로는 미국, 중국, 프랑스, 브라질, 인도 등이 있으며, 특히 인도의 종자시장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인도는 세계적인 농업 생산국이자 인구 10억의 농산물 소비국으로서, 쌀 과일 채소 콩 등 품목에서 높은 생산량과 소비량을 보이고 있다. 또한 다른 국가들과는 달리, 최근에서야 자급자족의 형태에서 벗어나 영리적인 성격의 영농으로 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인도의 종자시장은 향후 전 세계 종자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