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아르헨티나 제약시장, 시장규모나 기회에 비해 진출은 더뎌
- 등록일2017-07-31
- 조회수5018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17-07-17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아르헨티나#제약시장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아르헨티나 제약시장, 시장규모나 기회에 비해 진출은 더뎌
- 아르헨티나 제약시장은 중남미 3위 규모 -
- 인증문제로 한국 기업 진출은 더딘 편이나 향후 개선될 전망 -
□ 아르헨 의약품 시장은 중남미 지역에서 세 번째로 커
ㅇ 2015년 중남미지역 의약품 시장규모는 1위 브라질(200억 달러), 2위 멕시코(111억 달러), 3위 아르헨티나(69억1000만 달러), 4위 콜롬비아(33억1000만 달러) 순으로 나타남
- 1인당 의약품 지출액 : 아르헨티나(159.2달러) > 브라질(96.5달러) > 멕시코(88달러)
ㅇ 2015년 69억1000만 달러인 시장은 비전염성 질환 증가 및 고령인구 비중 확대 등에 힘입어 2020년에는 97억1000만 달러(2020년)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CAGR=7.1%)
- 의약품시장 규모 예측: (’15) 69억1000만 달러 → (’20) 97억5000만 달러 → (’25) 180억 달러
-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중 : (’90) 9.07% → (’15) 10.92% → (’25) 12.39%
- 부실한 규제환경과 공공 조달시장 내 과도한 약가 인하 요구 등은 시장 성장을 저해하는 요소이나 전반적인 상승세가 예상됨.
의약품 매출규모(Pharmaceutical sales)

구분 |
2012 |
2013 |
2014 |
2015f |
2016f |
2017f |
2018f |
2019f |
2020f |
의약품 매출(10억 달러) |
7.74 |
8.09 |
6.76 |
6.91 |
5.18 |
6.55 |
7.38 |
8.6 |
9.75 |
의약품 매출, GDP 대비(%) |
1.28 |
1.33 |
1.13 |
1.13 |
1.15 |
1.16 |
1.16 |
1.17 |
1.16 |
의약품 매출, 의료비 지출 대비(%) |
25.4 |
26.1 |
26.2 |
26.2 |
26.2 |
26.2 |
26.3 |
26.4 |
26.3 |
자료원: AAPM (Associacion Agentes de Propaganda Medica), AESGP, BMI
ㅇ 최근 당뇨, 암, 심혈관질환, 치매 등 비전염성 질환이 눈에 띄게 증가했고, 이는 시장 내 전문의약품 비율을 끌어 올리고 있음
- 현재 비전염성 질환(non-communicable diseases)의 비중은 약 80%인 것으로 추산
ㅇ 우수한 의약품 생산능력 및 숙련된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어, 중남미 내 영향력을 높이고자 하는 외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 유리
□ 건강보험제도 개선, 현지 생산 능력 확대를 위한 외국 제약사와의 협력 약정 체결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 진행 중
ㅇ (의료보험제도 정비) 건강보험 보장제도의 효율성 증진을 위한 보건부 계획 발표(’16.1) → 장기적으로 제약산업 발전에 긍정적 영향
ㅇ (현지 생산 강화) 보건부는 현지 생산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해외 제약사와 협력을 추진하는 등의 노력을 보임.
- 아르헨티나 정부가 중국 제약사 시노팜과 체결한 협정은 생산기술 이전 및 원료 공급 활성화를 통한 현지 생산 확대 목적
- 국내 수요의 70% 이상 현지 생산 의약품으로 충족할 수 있지만, 생산에 필요한 원료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ㅇ (제네릭 사용량 확대) 성분명 처방을 통한 제네릭 사용 증진
- 의사는 모든 처방전에서 일반명(Generic name)을 명시해야 한다고 돼 규정(Law No. 25,649/2002)
- 브랜드명을 적을 수는 있지만, 그 이유가 처방전에 적혀있지 않다면 약사 임의로 제네릭 대체 조제 가능
□ 10개의 상위 제약사가 전체 시장의 45% 이상 차지
ㅇ 아르헨티나에 위치한 100여 개의 생산 공장 중 93개는 로컬업체 소유로, 의약품 시장 내 수량 기준 65% 점유 (가격 기준 59.5%)
- 로컬 제조사의 영향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대표 기업 Roemmers, Bagos가 전체 시장의 10% 이상 차지
- OTC 부문 주요기업으로는 Elea, Raffo, Gador 등이 있으며, Sidus는 인슐린 개발, 바이오시밀러 등 R&D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냄
ㅇ 아르헨티나에 진출한 대표적인 글로벌 제약사는 Bayer, Roche, Novartis, Abbott, GlaxoSmithKline, Phoenix, IVAX 등이 있음
- 글로벌 기업 다수는 아르헨티나 현지 공장을 보유하며, 의약품 시장 내 수량기준으로 35% 점유(가격 기준 40.5%)
- 남미지역 영업을 위한 전략적 기지로서, 핵심 의약품을 출시하거나 로컬 제약사 인수, 유통사 공동 설립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출
- 스위스계 Novartis는 아르헨티나를 통해 브라질,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등에 진출했으며, 인도계 Aventis의 경우 Sanofi와의 합병 이전까지 남미 영업을 위한 기지로 아르헨티나 선택
□ 한-아르헨티나 교역 및 진출 현황
ㅇ 아르헨티나 의약품 수입은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
의약품 교역현황 및 전망(Pharmaceutical Trade Forecast)

구분 |
2014 |
2015f |
2016f |
2017f |
2018f |
2019f |
2020f |
의약품 수출(백만 달러) |
819.53 |
839.87 |
671.75 |
651.14 |
629.36 |
670.02 |
829.91 |
의약품 수출, 전년비(%) |
-6.86 |
2.48 |
-20.02 |
-3.07 |
-3.35 |
6.46 |
23.86 |
의약품 수입(백만 달러) |
2,003 |
2,047 |
1,535 |
1,940 |
2,187 |
2,548 |
2,888 |
의약품 수입, 전년비(%) |
-1.56 |
2.21 |
-25.04 |
26.39 |
12.73 |
16.51 |
13.35 |
의약품 무역수지(백만 달러) |
-1,183 |
-1,207 |
-863 |
-1,289 |
-1,557 |
-1,878 |
-2,058 |
자료원: United Nations Comtrade Database DESA/UNSD, BMI
ㅇ 2014년 기준, 對아르헨티나 의약품 수출액은 923만 달러 규모로, 원료 수출 비중이 높고, 수입액은 591만 달러 규모
|
2012 |
2013 |
2014 | |||
원료 |
완제품 |
원료 |
완제품 |
원료 |
완제품 | |
수출 |
7,825 |
3,117 |
8,210 |
831 |
7,432 |
1,798 |
계 |
10,942 |
9,041 |
9,230 | |||
수입 |
1,077 |
3,610 |
235 |
3,383 |
1,672 |
4,241 |
계 |
4,687 |
3,618 |
5,913 |
자료원: 의약품수출입협회 Facts & Survey Report, 2015
ㅇ 국내기업 진출사례로는 아르헨티나 현지 주요 제약사와의 판매계약을 통한 시장 진입, 기술이전 및 원료공급 계약 등이 있음.
기업명 |
계약형태 |
현지 파트너사 |
제품명 |
계약규모 |
대웅제약 |
판매계약 체결 |
바고 (Bago) |
보툴리눔 톡신제제 ‘나보타주 |
240억 규모의 판매계약 미국, 유럽, 남미, 이란에 이어 아르헨티나 진출 |
이수앱지스 |
원료공급 /기술이전 계약 |
엘리아 (ELEA) |
고셔병치료제 'ISU-302'' (애브서틴) |
완제 동결건조 공정에 대한 기술 이전 및 원료 공급 |
□ 시사점
ㅇ 한국 제약기업은 페루·칠레 등 다른 중남미 국가에 비해 아르헨티나와의 교류 협력 사례가 많지 않고, 정보가 다소 부족한 편이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음.
- (전략 1) 우리 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아르헨티나 기업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 및 제공
- (전략 2) 아르헨티나 현지 제약기업과 유관기관(협회 등)에 한국 제약기업 디렉토리북, 홍보자료 발송 등 정보 제공 및 협력 지원
자료원: BMI Research, Argentina Pharmaceuticals and Healthcare Report Q4 2016, 의약품수출입협회 Facts & Survey Report 2015, , AAPM (Associacion Agentes de Propaganda Medica), AESGP, United Nations Comtrade Database DESA/UNSD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